[뉴스 큐레이션] 2022년 8월 9일

전주시장 선거 브로커 사건이 수사에 속도를 내지 못하고 미적거리는 반면 전라북도자원봉사센터 불법 선거 동원 의혹에 대한 검찰과 경찰 수사는 속도를 내는 모양새다.

특히 송하진 전 도지사의 비서실장과 비서관 등을 지낸 핵심 참모들이 줄줄이 입건되면서 최고 윗선이 누구인지 관심이 쏠리고 있다.

전주지검, 전 전북자원봉사센터장 구속기소...수사 속도 붙나

KBS전주총국 8월 5일 뉴스(화면 캡처0
KBS전주총국 8월 5일 뉴스(화면 캡처0

전주지검은 8일 전북도 자원봉사센터에서 더불어민주당 입당원서 사본을 관리한 전 센터장 김모 씨를 공직선거법 위반 등의 혐의로 구속기소했다고 밝혔다.

김씨는 민주당 입당원서 사본 1만여 장을 입수해 전북자원봉사센터에서 관리해 선거에 이용하려한 혐의로 기소됐다.

김씨는 입당원서 사본을 엑셀 파일로 정리해 '권리 당원화‘해 관리하려 한 것으로 전해진 가운데 경찰의 수사가 시작되자 휴대전화를 교체하는 등 증거인멸을 시도하려 한 정황도 제기됐다.

한편 전북경찰은 김씨 이외에도 현 전북자원봉사센터장과 전 전북도 비서실장과 과장을 지낸 송모 씨, 장모 씨, 고모 씨, 한모 씨 등 전북도 고위공무원 5명을 공직선거법 위반 혐의로 추가 입건해 조사 중이다.

민주당 입당원서 1만여장 유출...지시는 누가 했나? 

송하진 전북지사가 지난 3월 31일 전북도청에서 3선 출마를 공식 발표하고 있다.(사진=전북도 제공)
송하진 전북지사가 지난 3월 31일 전북도청에서 3선 출마를 공식 발표하고 있다.(사진=전북도 제공)

경찰은 최근 해당 사건과 관련 공직선거법 위반혐의로 사건 관계인 10여 명을 추가 입건하는 등 수사를 대폭 확대했다고 밝혔다. 경찰은 또 이들이 불법으로 당원 정보를 모아 선거 조직을 꾸린 뒤 전북도지사 후보 경선에 동원하려 한 것으로 보고 있다.

그러나 문제는 구속되거나 입건된 사람들 모두 당시 송하진 전 전북지사 핵심 측근 인물들이란 점에서 주목이 쏠린다. 현재까지 드러난 이들 혐의가 사실이라면 그동안 조직적인 관권 선거가 전북도 산하 자원봉사센터를 중심으로 지속적으로 이뤄져 왔다는 것을 의미한다.

송하진 전 지사, 민주당 경선 후보에 올랐더라면?

지난 4월 17일 송하진 전 도지사 지지자들이 송 전 지사 경선 참여 보장 촉구를 위한 기자회견 열었다.
지난 4월 17일 송하진 전 도지사 지지자들이 송 전 지사 경선 참여 보장 촉구를 위한 기자회견 열었다.

따라서 당시 송하진 전 지사가 더불어민주당 공천 과정에서 경선 후보에 탈락하지 않고 경선 후보에 올랐더라면 상황은 지금과 달랐을 것이란 지적이 나올만 하다. 실제 경찰이 지난 4월 22일 자원봉사센터를 압수수색해 확보한 엑셀 파일 문서에는 권리당원 1만여 명의 정보가 담겨 있었다.

전북도자원봉사센터의 관권·조직을 선거에 동원한 정황들이 속속 드러나면서 더불어민주당 전북도지사 지방선거 경선 과정에 다시 초점이 모아지고 있다. 만약 송 전 지사가 당시 경선 후보로 올랐더라면 3선 연임에도 큰 영향을 미쳤을 것이란 분석이 나오고 있다.  

특히 자원봉사센터장을 지낸 전 도청 팀장이 구속되고, 송하진 전 지사의 비서실장과 비서관을 지낸 핵심 참모 들 외에 현직 센터장이 추가로 입건됨에 따라 경찰은 전북자원봉사센터가 선거 개입의 구심점 역할을 했을 가능성에 무게를 두고 수사에 속도를 내고 있다. 

따라서 윗선으로 향하고 있는 전북자원봉사센터 불법 선거 개입 의혹에 대한 수사가 어디까지 실체를 밝힐 수 있을지 초미의 관심이 쏠리고 있다. 

/박주현 기자

관련기사

저작권자 © 전북의소리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