선거 이슈

"장수에서 사는 것이 자랑이었던 주민들은 그동안 방관했던 장수의 부끄러운 속살을 고통스럽게 직면하고 있다"
'청정 지역'으로 널리 소문났던 장수군이 6·1 지방선거기간 내내 '금품·혼탁 선거'로 얼룩진 가운데 지역사회 전체가 극심한 분열과 갈등으로 몸살을 앓고 있다.
급기야 장수군수 후보 지지 의사를 부탁하며 금품을 건낸 의혹을 받던 한 60대 주민의 극단적 선택으로 인한 죽음 소식이 전해지면서 지역사회가 극도로 술렁이며 뒤숭숭한 분위기다.
참다 못한 장수군 시민사회단체들 "책임 있는 사죄·사퇴 촉구" 한목소리

이에 참다 못한 장수농민회와 장수YMCA 등 9개 시민사회단체로 구성된 '2022 장수 지방선거 시민사회단체 대응기구'가 나섰다. 이들 단체는 30일 '장수군수 선거 파국 상황'에 관한 성명을 내고 선거과정에서 불거진 '금품 수수 의혹'과 관련해 거론되는 후보와 관련자들의 책임 있는 사죄 및 사퇴를 한목소리로 촉구했다.
단체는 성명 서두에서 "지방선거를 앞두고 장수군수 선거과정에서 금품을 전달했다는 의혹을 받고 조사를 앞둔 주민이 극단적 선택을 시도한 후 끝내 숨을 거뒀다"면서 고인이 건강을 회복해 일상으로 돌아오기를 바랐던 많은 주민들과 지역사회는 비통한 마음 금할 길 없다"고 애도를 표했다.
그런 뒤 성명은 "올해 선거 브로커와 폐기물 업체 정치자금 수수의혹, 여론조작, 대리투표로 인한 재선거, 돈 살포, 돈다발 압수수색 등 부정부패와 금권선거 의혹이 계속되고 있다"며 지난 23일 극단적 선택을 한 A씨의 수상한 죽음에 대해 의문을 제기했다.
성명은 이어 "A씨는 주민 B씨에게 '장영수를 지지해 달라'는 부탁을 하며 현금 20만원을 건넨 의혹을 받았다"며 "그런데 소환조사가 예정된 상황에서 당사자가 연락을 끊고 사라진 후 극단적인 선택을 시도했다"고 밝혔다.
"금방 해명 될 사안임에도 극단적 선택, 말 못할 사정과 배경 무엇인지 여러 의문 제기된다"

그러면서 "결국 사경을 헤메다 28일 저녁시간에 운명했다"며 "해당 금액이 개인 간 주고 받은 품삯에 불과하다면(유서 내용에서 처럼) 조사과정에서 금방 해명이 될 사안임에도 짧은 기간에 극단적인 선택으로 죽음에 이르게 된 말 못할 사정과 배경은 무엇인지 여러 의문이 제기된다"고 성명은 밝혔다.
또한 단체는 "이번 선거 과정에서 벌어진 금품수수 사건에 대한 본질을 직시하려 한다"며 "한 주민의 소중한 생명이 죽음으로까지 이어진 핵심 원인이 과연 무엇인지, 그 최종 책임은 누구에게 있는지, 냉철하고 분명하게 밝혀낼 것"이라고 강조했다.
이어 "특정 후보의 지지를 요구하며 돈 봉투를 나워주는 구시대적 행태가 단순히 개인의 일탈로 치부돼서는 안 된다"고 지적한 성명은 "특히 책임져야 할 이들은 법과 제도를 피해 빠져나가고 꼬리자르기로 일관하며 어떠한 책임도 지지 않고 있다"며 "침담한 심정을 금할 수 없다"고 밝힌 뒤 세 가지 사항을 강력히 지역사회에 요구했다.
"생명을 앗아간 사건에서 실명 거론된 후보와 관련자들은 고인과 군민 앞에 사죄하고 합당한 책임을 다할 것"
첫째는 "주민의 소중한 생명을 앗아간 이번 사건에서 실명이 거론된 장영수 군수 후보와 관련자들은 고인과 군민 앞에 사죄하고 합당한 책임을 다할 것"을 요구했다. 둘째는 "장수시민사회단체와 공명선거 실천협약을 통해 '금품·향응제공 등 돈 선거 배격과 부정행위 일절 금지'를 군민 앞에 약속한 만큼 이를 어긴 모든 후보들은 책임지고 사퇴할 것"을 촉구했다.
마지막 세번 째는 "공정한 선거를 책임지고 있는 선거관리위원회와 경찰은 대대적인 수사 확대를 통해 사건의 실체를 명명백백하게 규명하고 고인을 죽음으로 내몬 책임자를 강력하게 처벌할 것"을 요구했다.
"장수에서 사는 것이 자랑이었던 주민들은 그동안 방관했던 장수의 부끄러운 속살을 고통스럽게 직면하고 있다"는 이들 단체는 "이번 사건을 돈선거와 부정부패를 추방할 중요한 계기로 삼을 것이며 주민 주도의 강력한 견제·감시기구를 만드는 첫 출발점으로 삼을 것이라고 다짐했다.
무엇보다 장수지역 시민단체들은 "이번 사건과 관련해 거론되고 있는 후보와 관련자들은 고인과 군민 앞에 사죄하고 합당한 책임을 다해야 한다"며 "'금품·향응제공 등 부정 선거 금지' 약속을 어긴 후보들 모두 책임지고 사퇴하라"고 요구한 점이 가장 큰 메시지로 다가온다. 과연 선거관리위원회와 경찰은 이번 사건의 실체를 명명백백하게 가려낼 수 있을지 주목된다.
/박주현 기자
관련기사
- “건넨 돈은 밀린 일당”...금품 전달 의혹 후 숨진 남성 유서 공개, 철저한 수사 필요
- 청정 장수지역 '돈 선거'가 빚은 참극...20만원 전달 의혹 60대 남성 끝내 숨져, 파문 '확산'
- 장수군수 선거 관련 금품 전달 의혹 60대 '극단 선택' 시도...연이은 악재로 '뒤숭숭'
- 현금 뭉치, 허위사실 난무...선거문화 해치는 악재들 전북지역 '기승'
- “장수군수 선거 여론 조작 정황 포착"...수사 뒤늦게 ’급물살‘
- ‘허위학력 의혹’ 남원시장, ‘여론조작 혐의’ 장수군수...낙마 ‘위기’
- ‘무관심 선거·묻지마 투표’의 저주인가?...전북교육감 비롯 8명 시·군 단체장 수사선상 ‘불안불안’
- 경찰, ’선거 여론조작 의혹' 전‧현직 장수군수 가족 등 37명 송치...전·현 군수만 비켜가 ‘의심’
- '장수 여론조작 사건' 전·현직 군수 측근 36명 무더기 기소...“꼬리 자르기” 비난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