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푸르밀 사태' 속보
유제품 전문기업인 푸르밀의 사업 종료 여부를 판가름할 네 번째 노사 교섭이 8일 전주공장에서 진행된 가운데 노사가 구조조정 규모를 놓고 팽팽하던 입장을 벌여 왔던 종전과 다르게 상당 부분 입장이 좁혀진 것으로 전해졌다.
푸르밀 노동조합은 이날 오전 푸르밀 전주공장에서 4차 노사교섭을 진행 후 그동안 노조 측이 제시해 온 ‘30% 인력 감축 후 사업 유지’ 방안을 놓고 사측이 긍정적인 입장을 제시했다고 밝혔다.
노조 “30% 구조조정안 동의”, 사측 “사실 아니다, 공식 입장 추후 밝힐 것”...여지 남겨
이날 김성곤 푸르밀 노조위원장은 교섭 직후 “본사 비상대책위원장을 포함한 위원들이 내려와서 갑작스럽게 교섭을 진행했다”며 “논의 끝에 사측이 노조가 제시한 30% 구조조정안에 동의했다”고 밝혀 그동안 가라앉았던 분위기가 일순간 반전되는 듯했다. 김 위원장은 “임직원 감원 후 사업을 당분간 자체 운영하기로 했다”며 “당분간 회사를 운영하면서 인수업체를 찾기로 했다”고 덧붙였다.
그러나 이날 교섭 내용의 확인 결과 사측은 “4차 교섭에서 노사가 30% 구조조정안에 전격 합의했다는 내용은 사실이 아니다”는 입장을 밝혀 다시 분위기가 급반전됐다. 사측은 “협의 내용이 신동환 대표와 대주주 신준호 전 회장 등의 결정이 반영되지 않은 만큼 최종 확정된 사안이 아니다”며 다만 “사측의 공식적인 입장은 추후 내놓을 예정”이라고 덧붙여 일단 여지는 남겨둔 상태다.
앞서 지난 4일 진행된 3차 노사 교섭에서 사측은 ‘임직원 50% 구조조정’ 또는 ‘법인 완전 청산’을 제안한데 반해 노조 측은 ‘임직원 30% 구조조정’안을 제시한 뒤 이번주 초까지 답변을 달라고 요청한 상태에서 이뤄진 이날 교섭에 많은 관심이 쏠렸었다.
노조 제시안 사측 일단 긍적 메시지 감지...최종 결과에 '운명 좌우'

다행이 노조 측이 제시한 방안에 사측이 일단 긍정적 신호를 보인 것으로 감지되고 있으나 결국은 노조가 제시한 30% 구조조정안에 대한 경영진의 최종 결정이 어떻게 나올지가 푸르밀 운영의 가장 큰 변수로 떠올랐다.
앞서 푸르밀은 이달 30일 사업을 종료하기로 하고 지난달 17일 370여명 전 직원에게 메일을 보내 일방적인 정리해고를 통지했다. 당시 사측은 “코로나 사태 등으로 4년 이상 매출 감소와 적자가 누적돼 자구 노력으로 회사 자산의 담보 제공 등 특단의 대책을 찾아봤지만 성과가 없어 부득이하게 사업을 종료하게 되었다”고 밝혔다.
이러한 일방적인 정리해고 통보에 노조 등의 반발이 이어지자 사측은 회사 매각을 전제 조건으로 직원 50% 구조조정안을 노조에 제시했으나 노조는 규모를 30%로 줄여 매각을 추진하라고 요구한 상태다.
/박주현 기자
관련기사
- ‘재매각’ 추진해 온 푸르밀, ‘법인 청산’ 쪽으로 기울어...다음주 운명 결정, 1천여명 ‘불안’
- [임실] “푸르밀 조기 정상화, 납품 농가 대책 마련 촉구”...임실군의회 결의안 채택
- 한 달 남은 푸르밀 사업 종료, 전북지역 피해 우려부터 희망퇴직 논란까지
- 푸르밀, 노조와 상생안 논의하다 돌연 ‘희망퇴직’ 공고…“꼼수” 비난
- 푸르밀 노조, "해고 통보 철회 촉구" 상경 집회...사측 '묵묵부답'
- ‘사업 종료’ 통보 받은 푸르밀 임실 낙농가, 서울 본사 항의 방문...오늘은 노조 상경 집회
- '전 직원 해고' 통보 푸르밀, 정부 고용지원금 4억원 넘게 받아...'공분' 확산
- '푸르밀' 돌연 사업 중단·정리해고로 지역사회 피해 '일파만파'...정부·지자체 수습 적극 나설 때
- [임실] 푸르밀 전주공장 44년 만에 문 닫아....지역사회 큰 '충격·파장'
- ‘푸르밀 사태’ 전북 정치권 ‘나 몰라라’ 빈축...타 지역 정치권 ‘관심’ 대조
- 푸르밀 노조, 14일까지 희망퇴직자 모집 공고...노사 협상 ‘물꼬’ 트였나?
- 푸르밀 '30% 감원 조건' 정상화...'사업 종료 철회'까지 숨은 주인공은?
- 갈길 먼 ‘푸르밀’, 열흘 후 직원 100여명 일시에 떠나...전주공장 ‘엑소더스 도미노’ 우려
- [임실] 푸르밀 전주공장 45년 만에 '역사 속으로' 사라지나, 올 연말 문 닫기로...지역경제 '타격'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