진단
예상했던 대로다. 전라북도 산하 기관인 전북자원봉사센터에서 더불어민주당 입당원서 사본이 무더기로 발견돼 충격과 파장이 크다. 다가올 6월 지방선거는 물론 지나온 선거에도 영향을 미칠 소지가 있다는 지적이 나올 정도다.
[해당 기사]
경찰, 전북자원봉사센터 전격 압수수색 '주목'...자원봉사센터는 무엇하는 곳?
26일 전북도와 전북경찰청 등에 따르면 전북경찰청 반부패·경제범죄수사대는 지난 22일 전북자원봉사센터 협력사업처 등을 압수수색해 협력사업처 간부 A씨와 직원 B씨의 컴퓨터 하드디스크와 관련 서류 등을 확보했다.
2018년부터 최근까지 공금 횡령 혐의 외에 입당원서 다량 발견, ‘충격·파장’ 커

경찰은 압수수색 당시 A씨의 캐비닛에서 더불어민주당 입당원서 사본 1만여 장을 학보하면서 문제가 걷잡을 수 없이 커지고 있다. A씨 등은 입당원서 사본을 누군가로부터 건네 받아 엑셀파일로 정리하는 작업을 했으며, 이 명부를 통해 '권리당원'으로 관리하고자 한 것으로 알려졌다.
경찰은 발견된 입당원서가 개인의 정보동의 없이 선거에 이용된 것으로 보고 있다. 게다가 A씨 등은 2018년부터 지난해까지 전주·고창·부안에서 동아리 형태로 활동하는 봉사단체 3곳에 사업비를 지원하는 과정에서 일부 공금을 빼돌린 혐의도 받고 있다.
A씨 등은 3년 동안 전주·고창·부안 등에서 활동하는 봉사단체 3곳에 지원비 명목으로 보조금 1,800만 원을 횡령한 혐의를 받고 있는 가운데 전북자봉센터는 전주에 있는 단체 2곳에는 각각 200만 원씩 4차례에 걸쳐 모두 1,600만 원을 지원했고, 고창·부안 단체 1곳에는 지난해 1차례 200만 원을 지원한 것으로 파악됐다.
경찰은 이들을 개인정보보호법 위반과 횡령 혐의 등으로 불구속 입건했으나 지방선거를 앞두고 특정 후보 캠프에 개입했는지 여부에도 관심을 갖고 살펴볼 예정이어서 결과에 촉각이 곤두선 상황이다.
우연일까?..."특정 후보 개입 됐다면 선거 브로커 결탁 가능성" 지적

이처럼 경찰이 횡령 등의 혐의로 전북자원봉사센터를 압수수색한 가운데 압수물 중 ‘민주당 당원 입당원서’ 사본이 무더기로 발견된 것은 우연이 아니란 지적이 나온다.
특히 송하진 전북도지사가 더불어민주당 경선 과정에서 컷오프되면서 자원봉사센터에서 관리한 명부가 다른 후보 측으로 흘러갔을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다는 지적이어서 경찰의 수사가 어느 선까지 다가갈지 관심이 증대되고 있다.
경찰은 입당원서 사본의 입수 경로와 특정 캠프의 개입 여부 등을 살펴볼 방침이다. 이 외에도 경찰은 해당 단체들이 실제 활동하는 봉사단체인지, 이름만 내건 단체인지 등을 확인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이번 사건과 관련해 전라북도 자원봉사센터에 다시 따가운 시선이 쏠리고 있다. 자원봉사를 활성화하기 위해 설립된 센터는 전북지역 시·군에 조직망을 갖추고 150여 협력기관과 단체 등을 둔 단체로 회원만도 60여만 명을 확보한 대단위 조직이기 때문이다.
전북자원봉사센터, 선거 기간에 무엇했나?

지난 2007년 법인화 된 전라북도 자원봉사센터는 자원봉사단체라는 명칭을 내세우고 있으나 그동안 도지사 측근들이 중요 핵심 보직에 임명돼 선거 개입 우려를 낳아 왔다. 더욱이 센터 운영 비용을 전북도로부터 지원받기 때문에 자칫 센터의 일부 조직이 정치화될 수 있다는 지적을 끊임 없이 받아왔다.
특히 지방선거를 코앞에 둔 민감한 시기에 불거진 이번 사건과 관련해 민주당 도지사 경선 후보들도 잇따라 신속한 수사를 촉구했다. 하지만 센터 간부가 입당원서를 누구로부터 넘겨받았는지, 또 입당원서를 다른 선거캠프에 넘겨줄 계획은 있었는지 아직 확인되지 않고 있지만 경찰 수사가 이를 밝혀낸다면 파장은 일파만파로 확대될 전망이다.
입당원서를 놓고 자원봉사센터 측과 특정 캠프 간에 모종의 거래가 있었는지 여부도 관건이다. 거래가 이뤄졌다면 선거철만 되면 암약하는 토호 선거 브로커단과도 연결됐을 소지가 높다는 지적이 나온다.
민주당 도지사 후보들 “철저 수사” 한목소리...경찰 수사 시선 '집중'

민주당 전북지사 경선 후보인 김관영·안호영 경선 후보는 선거 질서를 훼손한 이번 사태와 자신들은 무관하다면서 철저한 수사를 촉구했다. 김 후보는 이날 ”선거 질서를 훼손하는 그런 행위에 대해서는 엄단해야 한다고 생각하기 때문에 모든 행위에 대해서는 철저한 수사와 또 진상 규명 거기에 대한 처벌이 따라야 한다“고 밝혔다.
안 후보도 ”어떤 캠프와 관련이 있는지 그리고 그렇게 해서 만들어진 자료들이 어떻게 현재 활용되고 있는지 이런 점에 대해서는 신속하게 수사기관에서 수사를 해서 수사를 할 필요가 있다“고 강조했다.
그러나 경찰 수사의 칼 끝이 전라북도 자원봉사센터를 넘어 전북도와 특정 캠프로 향할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다. 경찰의 수사 결과에 많은 시선이 집중되고 있는 이유다.
/박주현 기자
관련기사
- 경찰, 전북자원봉사센터 전격 압수수색 '주목'...자원봉사센터는 무엇하는 곳?
- ‘선거 브로커·마피아’...골 깊은 ‘토호 정치적폐’ 도려내지 못한 결과는?
- 전북자원봉사센터에서 무슨 일이...경찰 수사 속도, 전·현 도지사 관련 여부 ‘촉각’
- 민주당 입당원서 무더기 유출 전북도 전 간부 구속, 수사 확대...파장 어디까지?
- 전북자원봉사센터 민주당 경선 개입 '윗선' 누구?...선거 브로커 등 한 지역 집중 "개탄"
- 관권선거·사조직 논란 ‘전북자원봉사센터’, 보조금 횡령까지...“해체가 답” “몸통 수사 철저”
- "배보다 배꼽이 더 큰 자원봉사센터·옥상옥 조직"...도대체 무슨 일을 하기에?
- 송하진 전 지사 측근에 깊숙이 다가간 전북자원봉사센터 선거 개입 '수사 칼끝'
- '전북자원봉사센터 관권선거 의혹' 송하진 전 도지사 부인 등 14명 기소...“끝내 몸통은 비껴가”
- 검찰, 송하진 전 도지사 부인 ‘징역형’ 구형...기소 후 8개월여만, '봐주기 수사' 이어 '거북이 재판' 비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