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명박·박근혜 시대 언론 통제 전략(15)] 기연파경(欺軟怕硬) 전략
‘약자에 강하고 강자에 약하다’는 말을 중국 사자성어(四字成語)로는 ‘기연파경(欺軟怕硬)’이라고 한다. 언론시장에서도 정치권력은 조·중·동같은 언론시장을 독과점하다시피하는 강자를 내편으로 만들고싶어하고 약자는 무시하는 편이다.
이명박 정부는 취임 전과 재임기간 우호적 관계를 유지한 조·중·동에 대해 선물을 마련했다. 종합편성채널(종편)이라는 방송을 안겨주기 위해 미디어법까지 제정, 위헌논란을 가져왔지만 신문시장 지배적 사업자로 여론 독점이 우려되는 조·중·동이 신청한대로 방송을 허가했다.
'종편' 선물...권력-조·중·동 밀월 관계 '돈독'

종편을 허가한 것에 그치지않고 초기 방송시장 진출의 어려움을 덜어준다는 논리로 케이블 의무 전송과 직접광고 영업허가, 방송분담금 면제 등 각종 특혜를 제공했다. 이런 지원의 연장선상에서 박근혜 정부에서도 조·중·동은 권력과 밀월 관계를 유지했다. 조·중·동은 물론, 동아가 소유한 채널A는 ‘박근혜 후보를 띄웠고 대통령이 된 후는 더욱 홍보에 앞장섰다.’ 동아일보는 지면을 통해 박근혜 한복외교를 ‘빛의 정치’라며 대대적인 지면을 할애하여 광고했다.
대신 야당은 ‘빨갱이’로 채색하며 비난하는데 열을 올렸다. 심지어 ‘5.18 광주민주화 운동’은 ‘북한 특수부대가 내려와 투입됐다’ ‘김대중은 북한이 보낸 간첩’이라는 이념공세를 늦추지않았다. 조선일보와 중앙일보 역시 이런 색깔론을 확산, 전파하는데 게을리하지 않았다. 박근혜 정부에서 ‘간첩 조작사건’이 벌어져도 진실을 외면했다. 대신에 TV조선은 박근혜를 출연시켜 ‘형광등 1백개의 아우라’라는 식으로 과장 홍보했다.

‘조·중·동을 우리편으로 만드는 전략’은 이명박·박근혜 정부의 합작품이었다. 정치권력이 신문시장을 지배하는 조·중·동에게 방송을 허가하여 ‘날개’를 달아준 결과, 말 잘듣는 '친구‘로 만들었다. 정치권력이 줄 수 있는 특혜는 이뿐이 아니다.
"박근혜 시절, 정부 광고 46% 조·중·동에 집중"
더불어민주당 안민석 의원에 따르면 박근혜 대통령의 재임 기간인 2013년부터 2016년까지 10대 일간지에 집행한 정부 광고의 46.1%가 조선일보, 중앙일보, 동아일보에 집중된 것으로 나타났다. 안 의원이 한국언론진흥재단으로부터 제출받은 정부광고 집행 내역에 따르면, 2013년부터 2016년까지 총 정부광고 집행 액은 약 2,111억 원이었다.
이중 973억 원이 조·중·동 광고에 집행됐다. 2013년에는 정부광고 502억 9,000만 원 중 243억 5,000만 원(48.4%)을 조·중·동에 집행한 것으로 나타났다. 조·중·동의 정부 광고 집행 액수는 동아일보가 2013년 대비 2016년에 9.9% 증가해서 가장 많이 늘었다. 다음으로 조선일보는 9.3% 증가했다.
반면, 유일하게 중앙일보는 0.2%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중앙일보가 감소한데는 분명한 이유가 있다. 바로 JTBC 때문으로 풀이된다. 박근혜 정부는 유일하게 말듣지않는 ‘JTBC'방송 때문에 힘들어했고 압력도 가했지만 말을 듣지않았다. 정부 광고를 대폭 줄이는 것은 일종의 응징이었다.

조·중·동과 흡사한 논조의 문화일보 역시 광고 특혜 리스트에 오른 것은 주목할만하다. 2016년 10대 일간지에 집행한 정부 광고 액수는 총 582억 2,000만 원이었다. 동아일보가 93억 2,000만 원으로 가장 많았고, 다음으로 조선일보 84억 5,000만 원, 중앙일보 81억 2,000만 원 순이었다. 이어 서울신문 55억 5,000만 원, 문화일보 51억 9,000만 원, 한국일보 45억 1,000만 원, 한겨레 44억 5,000만 원, 경향신문 44억 4,000만 원, 국민일보 42억 3,000만 원, 세계일보 39억 5,000만 원 순으로 정부 광고가 집행됐다.
안 의원은 “발행 부수로는 여덟 번째인 문화일보에 조·중·동 다음으로 정부광고를 많이 집행한 것은 발행부수의 비율에 맞춰 광고를 집행했다고 볼 수도 없다”며 “박근혜 대통령 재임기간 동안 보수 언론사라고 할 수 있는 조·중·동에 정부 광고를 몰아준 것이 아니냐는 지적을 받을 수 있는 상황”이라고 전했다. 그는 “이번 자료를 통해 보수 정부가 자신의 입맛에 맞는 언론사에만 정부 광고를 몰아준 것이 아닌지 의심스럽다”고 말했다.
조·중·동, 권력의 우군으로 두려는데는 현실적이고 분명한 이유가...
정치권력이 조·중·동같은 주요 언론사를 우군으로 두려는데는 현실적이고 분명한 이유가 있다. 예를 들어 보자. 국정원 간첩 조작사건은 국가의 공조직이 무고한 시민을 간첩으로 조작하기 위해 서류를 위조하는 등 범죄행위를 했음에도 불구하고 조·중·동은 납득할 수 없는 보도를 했다. 서류조작을 한 가해자격인 국정원에 대한 비판보다는 거꾸로 피해자인 유우성 씨를 마치 간첩인 것 처럼 보도했다.

'서울시 공무원 간첩 조작 사건‘은 국정원이 탈북 화교 출신인 유우성 씨를 간첩으로 만들기 위해 여동생 유가려 씨를 불법구금하고 허위진술을 유도했다는 것이 ’뉴스타파‘ 보도로 확인됐다. 그 과정에서 국정원의 폭행과 회유가 있었고, 수사 과정에서 문서들이 조작되었음이 확인됐다.
미디어오늘 <서울시 간첩조작 사건, 동아일보와 국정원의 특별한 관계>(9/3 문형구 기자 http://bit.ly/2BmW8QI)보도에선 정치적 목적으로 국정원이 탈북자 간첩조작 사건을 만들었고, 이를 동아일보에게 보도하도록 함으로써 정치적 목적을 달성했다고 보도했다. 민주언론시민연합은 이 사건을 이렇게 분석했다.
미디어오늘은 당시 동아일보가 최초 보도했을 때의 시점을 문제 삼았는데요. 당시 동아일보는 아직 국정원에서 유우성 씨를 구속 수사 중이라고 보도했으며 검찰에 송치될 예정이라고 보도했습니다. 이에 미디어오늘은 "검찰은 사건을 넘겨받지 않았고, 국정원은 정보기관이라는 특성상 '출입기자'를 두지 않는다는 점에서 이 기사는 국정원의 언론플레이로 보기에 충분한 요소를 갖고 있다"라고 판단했습니다.
민언련은 이어서 문제점을 이렇게 지적했다.
동아일보는 <"유씨 아버지가 '아들 북보위부 일한다' 말해">(2014/2/24 최우열 기자 http://bit.ly/2Anxcff) 항소심에서 국정원이 유 씨의 무죄를 뒤집기 위해 유우성 씨의 중국 출입경 기록을 조작했단 사실이 밝혀졌을 때 이 사건의 최초 신고자라는 탈북 여성 A씨를 인터뷰해 오히려 증거 조작을 폭로한 민변과 야당을 비판했었습니다. 게다가 며칠 후 국정원 직원이 200만원을 A씨에게 전달해 '대가성 인터뷰'의 의혹을 샀는데요. 결국 동아일보는 유우성 씨가 간첩 혐의를 벗고도 한참 뒤에서야 <바로잡습니다/"유씨 아버지가 '아들 北보위부 일 한다' 말해" 관련 정정보도문>(3/6 http://bit.ly/2Agswaj)이라며 "사실 확인 결과, 유우성이 간첩행위를 하였다는 보도 내용은 사실이 아니고, 최종적으로 간첩 혐의에 대하여는 무죄가 확정되었으므로, 이를 바로잡습니다"라고 보도했습니다.
이념으로 포장된 ‘이권 챙기기’의 조·중·동이 지배하는 사회는 위험
조선과 중앙도 이런 보도방향에 대해 ‘간첩’을 강조하며 오보행렬에 동참했다. 이런 국정원 개혁에 반대하는 것도 조·중·동은 같은 목소리를 냈다. 이들 언론은 단순히 이념적 성향이 달라서 문재인 정부를 비판하고 이명박·박근혜 정부를 지지하는 것이 아니다. 문재인 정부에서 과거처럼 이권개입하고 특혜를 누릴 수 없다는 분명한 현실인식이 있기 때문에 집권초부터 비난과 반발 보도를 일삼고 있다.
방통위에서 종합편성채널에 부과된 과도한 특혜를 회수하거나 종편심사과정에서 한두개에 대해 허가를 취소하게 되면 아마 사생결단식으로 정치권력 공격에 나설 것이다. 조·중·동 언론권력이 이제 거꾸로 정치권력을 위협할 정도로 기세등등해졌다.
2018년 문재인 대통령이 여전히 70% 안팎을 넘나드는 높은 지지율을 받는동안은 조·중·동의 공격이 효과를 보지못하지만, 작은 빈틈이나 실수라도 나타나면 조·중·동의 정치권력길들이기식의 비난, 과장, 여론몰이식은 집중될 것이다.
이념으로 포장된 ‘이권 챙기기’의 조·중·동이 지배하는 사회는 위험하다. 철지난 이념논란을 확산시키며 국민의 이익보다 회사의 이익을 우선한다. ‘부패 기득권 세력’으로 비판받아도 ‘사과 같지 않은 사과’로 진실과 정의 앞에 겸손이 없다.
조·중·동, 과거도 현재도 미래도 주목해야 할 한국사회 지배 언론
조·중·동은 좋아하는 사람과 싫어하는 사람이 극적으로 양분되는 대중매체다. 개인적 취향에 따라 호불호가 갈리는 것은 자연스런 현상이다. 어느 언론이든 진실왜곡, 권력홍보, 정의외면, 인권유린, 조작 등은 해서는 안될 공통품목이다. 이는 조중동뿐만 아니라 모든 언론이 지켜야 할 필수항목이다.
조·중·동의 과거는 박정희, 전두환 군사정권에 맞서 진실을 추구한 측면보다 권력의 편에서 권력자의 우상화 영웅화에 앞선 과거가 있다. 조·중·동은 ‘육사의 혼이 빚은 전두환’ ‘운동은 만능선수’라는 식의 독재자를 영웅으로 만든 잘못이 있다.
조·중·동은 가까운 과거와 현재를 잇는 이명박과 박근혜 정부시절 각종 특혜를 받으며 몸집을 키우고 이권을 챙기는 과정에서 권력감시와 견제를 소홀히 한 책임이 가볍지않다. 박근혜 전 대통령의 탄핵과 유죄 판결에 그를 옹호라고 과장한 조·중·동은 사과부터 해야하지 않을까.
그런데 조·중·동의 현재는 어떤가. 국민이 70여%의 높은 지지율을 보냈던 문재인 대통령에 대해 2017년 5월 취임부터 2018년 집권 1년차에 불과함에도 불구하고 사사건건 비난하지 않았던가. 국정농단 세력에 대한 적폐 청산을 중단하라고 소리치고, 국정농단으로 지목된 국정원 개혁에 대해서는 ‘간첩은 누가 잡느냐’며 반발하고 있다.
인터넷·SNS, 조·중·동의 강고한 연대 흔들게 될 것
조·중·동 가운데 종합편성채널 허가권이 최소되면 어떻게 반응할까. 언론권력으로 비대해진 조·중·동은 한국사회 불편한 공룡으로 행세하고 있다. 여론을 가장하여 자기의 주장을 내세우고 권력 비판을 내세워 특정 정당의 대변인 역할을 하고 있다.
조·중·동의 미래는 어떻게 될까. 그 미래는 조·중·동의 오늘이 결정할 것이다. 조·중·동은 변하지않고 이익집단으로 특정 정파의 재집권을 위해 참고, 저항하며, 판세를 뒤엎기를 야당과 함께 보조를 맞출 것이다. 자신의 이익을 극대화 시켜줄 권력이라면 누구와도 손을 잡을 것이다. 반대로 세무조사, 비리수사와 같은 비록 정당한 법집행이라 하더라도 조금의 공격이 가해지면 지면을 사유화(私有化)하여 언론자유를 부르짖을 것이다.
인터넷상에서 많은 정보와 뉴스가 제공되지만 국민 역시 자기가 좋아하는 뉴스, 언론사만 편식하는 경향이 있기 때문에 조·중·동은 변화에 큰 자극을 받지않을 것이다. 대신 관변단체, 댓글부대가 사라지고 이념 분쟁을 조롱하는 젊은 세대의 취향과 인터넷, SNS는 조·중·동의 강고한 연대를 흔들게 될 것이다.
/김창룡(인제대 미디어커뮤니케이션학과 교수)
관련기사
- 공영방송 KBS·MBC ‘비극의 세월호 보도 사건’ 잊어선 안 돼
- 시민단체·외곽단체 활용 여론 통제...'꼼수 전략' 횡행, 왜?
- 당근과 향응으로 언론 장악...'권언유착', '진실 왜곡'
- 소송으로 겁주기...권력 유지 위한 언론 통제
- 공영방송 이사진을 내편으로 채우기...'권모술수'
- 이명박·박근혜, '권력-언론 핫라인' 구축...진실 통제, 언론자유 위협, 국민·정의 무시
- 청와대, 꽉 막힌 병적인 불통...언론자유 후퇴, 국민 알권리 침해
- "언론을 항상 이용하려는 정치 집단의 속성...뉴스 본질 흐리게 하는 주범들"
- 왜 언론의 허위보도·명예훼손을 막기 힘든가?
- 언론이 자발적으로 권력과 코드 맞추는 이유는?
- "권력에 대한 견제·감시 소홀히 하면 국민은 피눈물 흘리게 된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