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분석

이상직 국회의원에 대한 비리와 이스타항공의 경영 부실에 따른 노사 갈등 문제 등에 대해 지역 정치권과 언론, 행정기관 등이 수수방관하거나 미온적인 태도를 취해 따가운 눈총을  받아 왔다. 

많은 비리 혐의로 수사를 받고 있는 이 의원을 두둔하는 사례들까지 등장해 거센 비판과 의구심이 일기도 했다. 심지어 일부 지역언론은 애향심을 호소하며 "도민들이 나서서 이스타항공을 살려야 한다"고 주장하기도 했다.  

이스타항공은 이상직 청탁 회사?...공무원, 언론인, 정치인 인사 청탁 '수두룩' 

그런데 이스타항공 창업주인 이상직 의원의 비리 의혹과 이스타항공 사태를 방관하거나 두둔해 온 소위 '보이지 않는 큰손들'이 수사 과정에서 서서히 윤곽을 드러내는 모양새다. 

마침 이 의원에 대한 체포 동의안이 21일(오늘) 국회 본회의 표결에 부쳐지기에 하루 앞선 20일 서울 언론들이 이러한 의혹을 파헤쳐 보도했다. 

MBC와 YTN이 20일 '단독'이라며 보도한 내용 중 이스타항공의 인사에 이상직 의원이 방대하게 개입한 인사 청탁과 이 의원이 동료 국회의원들에게 보낸 친서 논란이 단연 주목을 끌었다.

MBC 4월 20일 보도(화면 캡쳐)
MBC 4월 20일 보도(화면 캡쳐)

"이상직 의원 청탁 이스타항공 지원자 138명 중 합격자 최소 78명" 충격

MBC는 이날 ‘지원자 이름 옆에 '의원님'…이스타 항공 특혜 채용 의혹’이란 제목의 기사를 통해 “이상직 의원이 회사를 사금고 마냥 운영한 의혹이 있다”며 “그것은 바로 아는 사람, 힘 있는 사람들이 채용 청탁을 하면 기준과 절차를 무시하고 이스타항공 직원으로 뽑아준 것”이리고 뒷 배경을 추적해 보도했다.

기사는 음성 녹음 파일을 공개하면서 문제점을 상세히 보도했다. 녹음 파일에 등장한 인물은 바로 이스타항공의 최종구 전 대표이사였다. 그는 이상직 의원의 최 측근 인물로 알려졌다.

그는 부하 직원을 상대로 "합격시켜야 할 승무원 지원자가 누구인지 거듭 확인하며 대상 인물이 모두 20명이 넘는다"고 기사는 밝혔다. 이어 "이름하고 주민(등록)번호만 돼 있고 출신학교랑 내가 써놨잖아. 생년월일만 있는 것도 있고 그렇잖아. 다 확인해서 해야 돼"란 최 전 대표의 음성 파일이 그대로 전해졌다. 

또한 “이러한 명단에는 이 외에 이상직 의원이 따로 준 명단도 있다”고 밝힌 기사는 다시 최 전 대표의 말을 인용해 "의원님까지 해가지고 어마어마하게 (명단을)줬어. 사장님이 (뽑으라고) 지시한 인원하고 중복되는 사람도 있어"라고 말한 내용이 공개됐다.

이처럼 이날 MBC가 확보해 보도한 이스타항공 인사팀 문건 중에는 전체 채용 과정 중 7차례를 기록한 내용으로 지원자 이름 옆 곳곳에 이 의원 추천 인물들이 적혀 있는 것으로 확인됐다.

 민주당 중진 의원, 중견기업 회장, 외교관, 체육협회 이사, 해군 제독, 방송사 PD, 언론사 보도본부장 등 포함

MBC 4월 20일 보도(화면 캡쳐)
MBC 4월 20일 보도(화면 캡쳐)

문제는 더 있다. 기사는 “이 의원 보좌관 출신인 김유상 이스타항공 현 대표와 최종구 전 대표 이름이 적힌 지원자까지 포함하면 이상직 의원 관련 채용자는 적어도 78명, 청탁이 오간 전체 지원자는 138명으로 파악된다”고 보도해 충격을 주었다.

채용 청탁자는 민주당 중진 의원부터 중견기업 회장, 외교관, 체육협회 이사, 해군 제독, 방송사 PD, 언론사 보도본부장 등이 포함돼 그동안 얼마나 많은 인사 청탁이 이뤄졌는지 알 수 있다. 

이 외에도 “이 의원이 청탁을 받은 이스타항공 지원자 138명 중에는 합격자가 최소 78명 정도이며 합격자 중에서는 내부 기준인 키 165㎝가 안 되는 사람, 영어 토익점수를 내지 않은 사람 등이 있다”는 내용이 추가로 보도됐다.

또한 “이스타항공 전현직 임원들은 문건에 공무원 자녀가 자주 등장하는 점에 대해 이 의원이 이스타항공을 키우고 정치적 입지를 넓히기 위해 문제가 된 청탁을 적극적으로 활용했다"는 내용이 보도돼 시선을 끌었다.

이들이 공개 채용 과정에서 부당한 채용을 지시했다는 의혹이 검찰 수사를 통해 밝혀지면 업무방해 혐의로 5년 이하 징역 또는 1,500만원 이하 벌금형이 적용될 수 있다.

특히 이 의원의 선거구인 전주지역에서 인사 청탁을 받은 인사들에게 지지표를 부탁했다면 이는 문제가 더 커질 수 있다. 종합적인 추가 수사가 필요해 보인다.

YTN 4월 20일 보도(화면 캡쳐)
YTN 4월 20일 보도(화면 캡쳐)

이상직, "딸 안전 위해 회삿돈으로 외제차 샀다" 웃픈 해명

한편 YTN은 이날 ‘이상직, 공금횡령 혐의에 내놓은 해명이..."딸 안전 위해 포르쉐 사"’란 제목의 기사에서 “이 의원이 국회 체포 동의안 표결을 앞두고 동료 의원들에게 보낸 친서를 단독으로 확보했다”며 “딸의 안전을 위해 회삿돈으로 포르쉐를 사줬다는 둥 이해하기 어려운 엉뚱한 해명들로 가득 찼다”고 전했다.

기사는 이어 “이 의원의 친서를 보면 검찰 수사에 대한 억울함을 호소하며, 특히 검찰이 적용한 횡령 혐의 금액을 두고 이미 지난 2017년 이전에 모두 변제했다고 강조했다”면서 “빼돌린 돈을 다시 회사에 돌려줬다고 해도 횡령 혐의 자체가 사라지지 않는다는 점을 고려할 때 법적으로나 상식적으로 받아들이기 어려운 설명”이라고 보도했다.

이어 기사는 “회삿돈으로 딸에게 값비싼 외제차를 리스해준 부분에 대해서는 사실 자체를 인정하면서도 과거 교통사고를 당했던 딸의 안전을 고려했다는 이해하기 쉽지 않은 해명을 내놓았다”며 “이 역시 개인 돈이 아닌 회삿돈을 쓴 사실은 인정되기 때문에 설득력이 떨어진다”고 지적했다. 

많은 '큰손들'이 그를 아무리 두둔해도 이미 겨냥한 수사의 칼끝은 피할 수 없을 듯하다. 따라서 눈덩이처럼 쌓여만 가는 혐의에 대해 소명할 시간이 상당히 필요해 보인다. 의정활동은 언제 수행하며, 주민들과 굳게 약속한 공약들은 언제 다 이행하려는지...    

/박주현 기자

관련기사

저작권자 © 전북의소리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