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큐레이션] 2021년 12월 2일
대학 기본역량진단에서 탈락하면서 전임 총장이 자진 사퇴하는 등 혼란을 겪고 있는 군산대가 새 총장 선거를 놓고 구성원들이 교수대 비교수로 나뉘어 극심한 대결과 갈등을 빚고 있다.
특히 관련법 개정에도 불구하고 교수들이 자신들에게 유리한 총장 선출 방식을 고수한데 대해 직원들이 법적 대응을 예고하며 총장 선거를 거부해 내홍이 확산되고 있다.
[해당 기사]
군산대 총장 선거 진통... 대학기본역량 탈락 벌써 잊었나?
교수 1인 1표, 교직원 1인 0.25표? '차별' 논란

1일 군산대에 따르면 곽병선 전 총장의 사퇴로 60일 이내인 12월 5일까지 교육부에 총장임용후보자를 추천해야 됨에 따라 교수와 직원, 학생 등 구성원이 참여하는 비율을 놓고 협상을 진행하는 등 본격적인 선거준비에 돌입해 오는 21일 총장 선거를 치르기로 했지만 상황이 여의치 않다.
당초 오는 6일과 7일 이틀간 후보자 등록을 받기로 하는 등 5명 가량이 출마할 것으로 예상됐다. 그런데 1인 1표인 교수들과는 달리 교직원은 0.25표만 인정하기로 함에 따라 투표 참여 비율 인상을 요구했던 교직원 노조는 "명백한 차별"이라고 반발하며 총장 선거를 거부하고 법적 대응에 나서기로 해 파장이 점점 커지는 양태다.
논란이 되고 있는 선거인 반영 비율은 교수 100%, 교직원 16.3%, 학생 8%로 결정, 교수는 1인 1표, 교직원은 1인 0.25표, 학생은 1인 0.00445표를 행사하는 셈이어서 형평성 논란이 가열되고 있다.
이에 교직원 노조는 ”대통령 선거도 1인 1표인데 왜 총장 선거에서만 교직원들이 0.25표로 차별을 받느냐“며 ”민주적인 선거를 보장하라“고 반발하고 있다.
군산대 총장 선거 표류, 교직원들 ”법적 대응“ 예고

교직원 노조는 ”교수들이 주도한 총장추천위원회가 일방적으로 직원 투표 비율을 산정했다“며 ”투표를 거부하고 법정 대응에 나서겠다“고 밝혔다. 최정범 전국공무원노조 군산대지부장은 방송과의 인터뷰에서 ”직원투표 산정비율 확정 처분 효력정지 가처분 신청 등 법적 범위 내에서 할 수 있는 모든 수단과 방법을 다 해나갈 것“이라며 ”총장 선거 무효소송과 임명 반대 운동도 펼칠 계획“이라고 밝혀 새 총장이 선출돼도 갈등은 계속될 전망이다.
이처럼 군산대 총장추천위원회는 이달 안에 총장 후보자를 뽑아야 하는 상황에서 더욱 난감한 처지가 됐다. 전주대에 이어 군산대까지 총장 선출을 둘러싼 갈등과 파국이 계속 이어지자 도민들의 따가운 시선이 집중되고 있다.
/박주현 기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