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슈 현장

전주리싸이클링타운 사업 시행자가 해당 시설을 통해 다른 지역 음식물 폐수(음폐수)를 최소 19만톤 이상 처리하고 수익을 챙긴 의혹을 받고 있는 가운데 시민사회단체들이 전주시의 부당 행정에 대한 감사원 감사 청구인 모집에 나섰다.
또한 음식물 폐수 반입 중단을 위한 대시민 서명 운동과 함께 전주시민의 자산인 리싸이클링타운을 부정한 돈벌이 수단으로 전락시킨 책임을 물어 운영권 회수도 촉구하는 등 전주시가 시의회에 보고한 자료조차 믿을 수 없다고 비판하고 나서 파장이 계속 이어지고 있다.
전주지역 시민사회단체는 18일 전주시청 앞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음식물처리시설 위탁업체인 에코비트가 허위 보고서를 제출하고 전주시 시설로 외부 음폐수를 반입해 돈벌이를 하고 있다"며 "이를 묵인한 전주시 책임자를 문책하고 에코비트 사업권을 환수할 것“을 촉구했다.
단체는 "리싸이클링타운 음폐수 반입은 지난 2018년 6월 8일 허용됐고, 음식물처리시설 개선공사 기간은 지난 2018년 4월부터 2019년 1월까지이다"며 "전주시는 이 기간 음식물을 외주처리하고 소화조 적정부하를 위해 외부 음폐수 반입을 허용했다"고 질타했다.
또한 "전주시는 업체가 제출한 보고서를 검토도 없이 3일만에 승인했다"며 "몰랐다면 직무유기요, 알고도 협조한 것이라면 직권남용에 배임, 횡령에 해당한다"고 지적한 뒤 "전주시 부당 행정에 대한 감사원 감사 청구에 돌입하고 내달 감사청구인 모집과 음폐수 반임 중단 대시민 서명운동에 나서겠다"고 밝혔다. 아울러 "전주시민의 자산을 부정한 돈벌이 수단으로 사용하는 에코비트 사업권을 환수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앞서 민주노총 공공운수노조 전북평등지부 전주리싸이클링타운분회도 지난 11일 전주시청 앞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전주리싸이클링타운 운영사는 그동안 타지역에서 발생하는 음폐수 수백톤을 처리하면서 100억원의 이익을 얻었다"며 "수소 이온농도(pH) 4.0 미만의 강한 산성을 지닌 타지역 음폐수까지 처리하면서 전주리싸이클링타운은 시설 곳곳이 망가져가고 있다”고 주장했다.
/박경민 기자
관련기사
- “전주리싸이클링타운, 타지역 음폐수 처리 즉각 중단하라"
- '전주리싸이클링타운' 외부 음폐수 반입 수익 ‘들통’, 악취·벌레 등 ‘음식물 쓰레기 대란’까지...전주시 왜 이러나?
- "전주시, 리싸이클링 사용료 인상 중단하고 직영으로 전환해야"
- 전주리싸이클링타운, ‘협약서 위반·악취' 논란 이어 '임금 문제' 노사 갈등 고조…'쓰레기 대란' 우려
- "전주종합리싸이클링타운 유입 악취 농도 '최고 3만배' 수준...업체에 맡기지 말고 전주시가 직접 운영해야"
- 말 많고 탈 많은 전주종합리싸이클링타운, "인감 날인 없는 엉터리 협약서로 추진”...누굴 위한 전주시 행정?
- "전주리싸이클링타운, 사모펀드 50% 소유·높은 이자...투기성 자본 먹잇감, 전주시가 직접 운영해야”
- "전주리싸이클링타운 '부실·불법·부당 운영'…전주시 무기력한 쓰레기 행정 규탄“ 여론 고조, 왜?
- 전주리싸이클링타운 가스 폭발 사고 ‘예고된 인재’...'음식물 쓰레기 대란' 우려 속 '전주시 책임론' 비등, 이유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