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주노총 공공운수노조 기자회견
“외부 음식물 폐수(음폐수)를 반입한 전주리싸이클링타운은 '깜깜이 회계' 공개하고 공공성 강화 방안을 마련하라"
민주노총 공공운수노조 전북평등지부 전주리싸이클링타운분회는 11일 전주시청 앞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전주리싸이클링타운 운영사는 그동안 타지역에서 발생하는 음폐수 수백톤을 처리하면서 100억원의 이익을 얻었다"며 "수소 이온농도(pH) 4.0 미만의 강한 산성을 지닌 타지역 음폐수까지 처리하면서 전주리싸이클링타운은 시설 곳곳이 망가져가고 있다”고 주장했다.
“매년 전주시로부터 130억여원 지급받지만 돈 쓰임 전혀 공개하지 않아...깜깜이 회계”

또한 노조는 “음폐수가 곳곳에서 줄줄 새고 있고 시설은 빠른 속도로 부식되어 가고 있다"며 "리싸이클링타운은 폐기물 처리 비용으로 매년 전주시로부터 130억여원을 지급받지만 돈의 쓰임에 대해서는 전혀 공개하지 않고 있다. 영업비밀이라는 이유로 비공개되는 '깜깜이 회계'도 문제"라고 지적했다.
그러면서 "전주리싸이클링타운이 공공성을 갖춘 사회기반시설로 운영되기 위해 경영자료를 투명하게 공개하고 타지역 음폐수 처리를 중단해야 한다"며 "이러한 내용이 단체협약에 반영되도록 적극 투쟁해 나갈 것"이라고 강조했다.
”전주시, 협약에 없는 ‘상시 음폐수 반입' 허가하려 한다" 비판
앞서 민주노총 전북본부와 전북환경운동연합을 비롯한 32개 환경·시민단체는 지난 6일 전주시청 앞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전주리싸이클링타운 사업 시행자가 해당 시설을 통해 다른 지역 음폐수를 최소 19만톤 이상 처리한 사실을 확인했으며, 최대 200억원에 이르는 비용을 받은 것으로 추정된다”며 “이로 인해 정작 전주에선 음식물 쓰레기 수거가 늦어지고, 다량의 악취와 시설 부식이 발생하는 등 시민들이 피해를 받았다”고 비판했다.
또한 단체는 “전주시의 리싸이클링 실시협약을 보면 사업시행자는 수익 사업을 시작하기 전에 시의 승인을 얻고 사업에서 발생한 수익은 전주시에 배분했어야 했지만 업체는 전주시의 승인 전 사업을 시작했고 수익금 역시 배분하지 않았다"면서 “전주시는 협약에 없는 음폐수 반입이 문제라고 생각했는지 협약을 변경해 ‘상시 음폐수 반입'을 허가하려 한다"고 비판했다.
그러면서 단체는 “돈벌이에 눈이 멀어 전주시민과 노동자에게 각종 피해를 안기는 업체는 운영 자격이 없고 전주시는 지금이라도 책임을 다하고 업체에 대해 조사하고 사업권을 환수해 직접 시설을 운영할 것"을 촉구했다.
/박경민 기자
관련기사
- '전주리싸이클링타운' 외부 음폐수 반입 수익 ‘들통’, 악취·벌레 등 ‘음식물 쓰레기 대란’까지...전주시 왜 이러나?
- "전주시, 리싸이클링 사용료 인상 중단하고 직영으로 전환해야"
- 전주리싸이클링타운, ‘협약서 위반·악취' 논란 이어 '임금 문제' 노사 갈등 고조…'쓰레기 대란' 우려
- "전주종합리싸이클링타운 유입 악취 농도 '최고 3만배' 수준...업체에 맡기지 말고 전주시가 직접 운영해야"
- 말 많고 탈 많은 전주종합리싸이클링타운, "인감 날인 없는 엉터리 협약서로 추진”...누굴 위한 전주시 행정?
- "전주리싸이클링타운, 사모펀드 50% 소유·높은 이자...투기성 자본 먹잇감, 전주시가 직접 운영해야”
- 시민단체, 전주리싸이클링타운 '비리 의혹'·전주시 '부당 행정' 감사 청구인 모집…“사업권 회수해야”
- "전주리싸이클링타운 '부실·불법·부당 운영'…전주시 무기력한 쓰레기 행정 규탄“ 여론 고조, 왜?
- 전주리싸이클링타운 가스 폭발 사고 ‘예고된 인재’...'음식물 쓰레기 대란' 우려 속 '전주시 책임론' 비등, 이유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