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디어 이슈

"범죄 전력뿐 아니라 토호유착 및 정언유착 의혹 등 언론사 대표로서 부적절하다는 비판을 받아온 서창훈 전북일보 회장이 신문윤리위원회 신임 이사장으로 선임돼 큰 충격을 주고 있다...더 이상 언론계를 부끄럽게 하지 말고, 독자를 참담하게 하지 말고 스스로 물러나라."
전국언론노동조합과 언론개혁시민연대에 이어 전국 8개 지역의 민주언론시민연합이 전북일보 서창훈 회장의 신문윤리위원회 이사장직 퇴진을 한목소리로 촉구하고 나섰다.
전국민주언론시민연합네트워크는 11일 공동성명을 내어 ”신문윤리위원회가 공표한 신문윤리강령은 ‘언론이 사회적 공기로서 막중한 책임을 지고 있다’는 점을 강조하고 있다“며 ”서창훈 회장은 ‘사회 공기’로서 언론의 일차적 책임, 즉 언론인과 언론사들이 윤리규범을 준수하는지를 살피는 신문윤리위원회 이사장을 맡을 자격이 아예 없는 인물“이라고 지적했다.
전국민언련네트워크 ”범죄 전력·토호유착 서창훈 회장, 신문윤리위원회 이사장 당장 사퇴하라“

이어 전국민언련네트워크는 “서창훈 회장은 2005년 전북일보 사장 시절 신문사 별관 매각대금을 임의로 사용하고, 자신이 이사장으로 있는 우석대학교 등록금을 계열사로 빼돌리는 등 횡령 및 탈세 혐의로 징역 3년에 집행유예 4년, 추징금 10억 원을 선고받았다”며 “2018년 전북일보 최대주주가 된 부동산 개발 회사 자광의 대한방직 부지 개발 옹호 보도를 주도했다는 의혹을 샀다. 전북일보와 자광은 이런 행태를 비판한 지역 시민사회 활동가들을 고소·고발했다가 비판 여론이 쏟아지자 돌연 취소하기도 했다”고 밝혔다.
또한 “20대 대선에서는 현직 언론사 회장 신분으로 이낙연 전 더불어민주당 대표 대선캠프 상임대표에 이름을 올려 지탄을 받았다”며 정언유착 논란도 제기하면서 “신문윤리위원회는 국민에게 약속한 신문윤리강령 및 실천요강에 부합하는 인물로 이사장을 다시 선임하라”고 주문했다.
그러면서 전국민언련네트워크는 “서창훈 전북일보 회장은 더 이상 언론계를 부끄럽게 하지 말고, 독자를 참담하게 하지 말고 스스로 물러나라”며 “그렇지 않으면 신문윤리위원회는 누구도 신경 쓰지 않는 허울뿐인 자율규제기구로 전락하는 미래밖에 없을 것”이라고 강조했다.
이밖에 “막대한 공적 지원을 받는 만큼 신문윤리위원회가 책무를 다하고 있는지는 의문”이라고 물음을 던진 전국민언련네트워크는 “처벌 규정 없는 솜방망이 제재 위주의 자율심의에 대한 실효성 논란은 끊이지 않았다”며 "지금 신문윤리위원회는 어느 때보다 언론자율기구로서 사회적 책임과 자율규제의 실효성을 높이기 위한 방안을 시급히 강구해야 할 상황"이라고 지적했다.
언론개혁시민연대 “서창훈 한국신문윤리위원회 이사장을 향한 우려는 당연”

앞서 9일 언론개혁시민연대도 논평을 내어 “한국신문윤리위원회 서창훈 이사장의 취임을 두고 지역사회를 비롯한 언론계 전반에서 우려가 제기되고 있다”며 “서 이사장이 이 같은 우려와 관련해 분명한 입장을 밝힐 것”을 요구했다.
논평은 이어 “서창훈 이사장은 현재 언론이 봉착하고 있는 문제를 제기하고 해결 의사를 밝혔지만 문제는 서 이사장이 한국신문윤리위원회 이사장직을 수행할 적임자인가에 대한 부분”이라며 “지역사회와 언론계의 우려 또한 여기에 있다. 서 이사장은 ‘언론 본연의 기능’과 ‘저널리즘 가치’를 이야기하지만, 그에 반하는 행보가 꾸준히 도마 위에 오른 바 있기 때문”이라고 강조했다.
또한 논평은 “자본으로부터의 독립 또한 언론이 견지해야 할 중요한 가치 중 하나다. 그런데, 서창훈 이사장은 전북일보 최대주주인 자광과의 유착 의혹에서 자유롭지 못하다”며 “자광은 2018년 3월 전북일보 지분 45%를 인수해 최대주주에 올랐다”고 지적했다.
언론개혁시민연대는 이밖에 “그런 자광은 지역 내 대한방직 부지를 매입해 430m 타워를 건립하는 사업을 계획하고 있었다. 그러자 전북일보는 그해 5월 <대한방직 부지, 전주 발전의 전기로 삼아야> 사설을 통해 ‘대한방직 전주공장 부지를 이대로 계속 놓아 둘 수는 없다’고 최대주주인 자광의 손을 확실하게 들어줬다”며 “일반 칼럼도 아닌 ‘사설’이었다는 점에 주목해야 한다. 만일, 자광이 최대주주가 아니었더라도 이 같은 사설이 지면에 실릴 수 있었을까”라고 반문했다.
언론노조 “‘시민사회 고발' '토호 유착 의혹' 인사가 신문윤리 살필 수 있나?”

한편 이보다 앞선 지난 8일 전국언론노동조합도 성명을 통해 "과거 횡령 전력과 대선 캠프 행보, 토건 자본과의 유착 의혹 등 각종 논란이 있는 전북일보 서 회장은 신문윤리위원회 이사장 직위에서 사퇴하라"고 촉구했다.
전국언론노조는 성명에서 “언론에 대한 독자와 시민의 신뢰를 쌓아야 할 신문윤리위 이사장 직위에서 서 회장이 스스로 사퇴할 것을 강력히 요구한다”며 “자율규제의 책임과 조치가 더욱 강화돼야 하고, 시민·독자에 대한 설명 책임을 분명히 해야 할 신문윤리위의 위상을 생각할 때 그의 이사장직 수행은 시대의 변화와 독자의 요구를 정면으로 거스르는 퇴행일 뿐이다”고 강조했다.
/박주현 기자
관련기사
- 전국언론노조 "서창훈 전북일보 회장은 신문윤리위 이사장 직위 사퇴하라"
- 서창훈 전북일보 회장, 한국신문윤리위원회 이사장 선출...싸늘한 시선, 왜?
- 서울 도심에 울려 퍼진 “서창훈 전북일보 회장은 신문윤리위 이사장 즉각 사퇴하라"
- ‘서창훈 신문윤리위 이사장 사퇴 촉구’ 릴레이 시위, 서울·전주서 매주 월요일 동시 실시
- “‘서창훈 이사장 퇴진’ 신문윤리위 이사들이 결의하라”...언론시민단체, 윤리위 이사진에 ‘사태 해결 촉구’
- 언론시민사회단체들, 감사원에 신문윤리위 공적 예산 국민감사 청구...이사장 사퇴 요구도
- “서창훈 이사장 재선임 심히 유감, 신문윤리위 '폐업 선포'나 다름없어”...2년 전과 같은 목소리, 왜?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