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큐레이션] 2021년 12월 17일(금)

국민권익위원회(국민권익위)가 실시한 청렴도 평가에서 전북대학교와 전북대학교병원이 하위권 수준을 면치 못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나 충격과 실망을 안겨줬다. 

특히 전북대는 4회 연속 낙제 점수를 받아 내부 비리와 문제점이 상존하고 있는 대학으로 이미지가 각인되면서 특단의 개선책 마련을 주문하는 목소리가 커지고 있다. 

16일 국민권익위가 공개한 '국·공립대학·공공의료기관 청렴도 측정 결과'에 따르면 전북대는 3년 연속 국·공립대 청렴도 조사에서 전체 5등급 가운데 4등급을 벗어나지 못하고 있다. 또 전북대병원도 종합청렴도가 지난해와 같은 3등급을 유지한 가운데 환자진료 부문에선 가장 낮은 5등급을 받았다.  

전북대 4년 연속 하위권 맴돌아..."부패·비리 쇄신 필요"  

전북대학교 전경
전북대학교 전경

국·공립대는 계약·연구·행정·조직문화제도 관련 설문조사 결과에서 부패사건 발생 현황을 감점해 종합청렴도를 산출했다. 또 공공의료기관은 의약품 구매 관련 계약, 환자진료, 조직문화 등에 대한 설문조사와 감점(부패 사건, 진료비 과다 청구) 요인을 반영했다.

국립대 청렴도 등급표(국민권익위원회 제공)
국립대 청렴도 등급표(국민권익위원회 제공)

전북대는 이번 종합청렴도 평가에서 4등급을 기록함으로써 4년 연속 하위권을 벗어나지 못했다. 지난 2018년 최하위인 5등급에서 한 단계 상승 후 제자리걸음이다. 그나마 지난해 3등급을 유지했던 내·외부 평가도, 행정·조직문화제도 분야에서 한 단계씩 떨어져 4등급에 머물렀다. 

이처럼 전북대는 국·공립대 청렴도 조사에서 연속 4등급을 벗어나지 못하고 있어 따가운 시선이 집중되고 있다. 일각에선 "내부 부패와 비리의 원인을 조속히 쇄신할 필요성이 있다"는 지적이 나오고 있다. 

국·공립대학 종합청렴도는 계약업체관계자, 교직원·강사 등 대학 소속 구성원에게 부패수준에 대한 인식·경험을 설문하고, 부패사건 발생 현황을 적용해 점수를 산출했다. 또 세부 항목은 계약·연구·행정·조직문화제도 등 4가지로 나뉘어 측정됐다. 

전북대병원 공공의료기관 청렴도 '환자진료' 부문 '최하위 등급’

전북대병원 전경
전북대병원 전경

전북대병원도 지난해와 같이 종합청렴도에서 3등급을 받았다. 더욱이 전북대병원은 이번 청렴도 측정 결과 환자진료 부문에서 최하위 등급인 5등급을 받았다. 가장 중요한 환자진료가 지난해보다 2단계 떨어진 것이다.

전북대병원은 이밖에 계약 부문 2등급, 내부업무 부문 3등급, 조직문화 부문 3등급, 부패방지제도 부문 2등급을 기록했다. 하지만 전북대병원이 진료과정 투명성, 고가 진료 유도·강권 경향, 환자 이의수용·구제절차 충분성, 특정인에 대한 의료 특혜 등을 측정하는 환자진료에서는 최하등급을 받아 대민업무의 개선이  시급히 요구되고 있다. 

다른 병원들이 대민업무인 '계약', '환자진료'는 상대적으로 높은 반면, '조직문화', '부패방지제도' 등 조직 내부 관련 영역이 상대적으로 낮게 나타난 것과는 다른 결과이다. 국민권익위는 공공의료기관의 공정한 청렴도 측정을 위해 설문조사로 판매업체와 환자보호자, 내부직원, 이직·퇴직자, 관리·감독 기관 등 총 2,976명을 대상으로 전화와 온라인을 통해 지난해 7월부터 1년 동안 실시했다. 

"청렴도 정체되거나 낮은 것은 부패 취약 분야 적극 개선할 필요성 반증" 

공공의료기관 청렴도 등급표(국민권익위원회 제공)
공공의료기관 청렴도 등급표(국민권익위원회 제공)

국·공립대학-공공의료기관 청렴도 측정 조사대상은 코로나19에 따른 운영 어려움을 감안해 전국 12개 대학과 13개 병원으로 축소됐다. 이중 전북권은 전북대와 전북대병원만 포함됐다. 이번 조사는 국민권익위가 부패방지권익위법을 근거로 실시하고, 공공의료기관의 청렴 수준을 객관적·과학적으로 진단했다는 평가다. 

국민권익위 관계자는 “대학과 의료기관은 일선 현장에서 국민들에게 직접적으로 영향을 끼치는 기관"이라며 "그럼에도 청렴도가 정체되거나 낮은 것은 부패 취약 분야를 적극적으로 개선할 필요성을 반증한 것”이라고 분석했다. 

/박주현 기자

관련기사

저작권자 © 전북의소리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