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큐레이션] 2021년 10월 20일
올 국정감사에서도 전북대학교 교수들의 비위가 도마에 올랐다. 특히 논문 바꿔치기와 연구비 횡령 등 잇단 비위 혐의를 받고 있는 교수에 대한 징계가 솜방망이 처벌 아니냐는 성토가 이어졌다.
19일 국회 교육위원회 국정감사에서 전북대 교수들의 비위 행위가 여러 의원들에 의해 지적됐다. 지난해 교육위 국감에서도 교수들의 비위 문제로 뭇매를 맞은 전북대는 올해도 비슷한 지적을 받은데 이어 연구원 0명의 연구소가 다른 국립대에 비해 많은 것으로 드러났다. 전북대는 부설연구소 수 대비 연구원의 수가 0.4명으로 전국에서 가장 낮았다.
전북대 교수 갑질, 논문 바꿔치기 등 비위 행위 국정감사 ‘도마위’

더불어민주당 김철민 의원(경기 안산시상록구을)은 논문 바꿔치기로 논란이 된 A교수의 징계 수위에 대해 문제를 제기했다. 논문 논란뿐 아니라 제자 인권침해, 연구비 편취 등 문제가 불거진 상황에서 감봉 2개월의 경징계 처분은 납득할 수 없다는 지적을 했다.
김 의원은 “총장이 두 번에 걸쳐 해당 교수에 대한 중징계를 요구했음에도 전북대 징계위가 감봉 2개월의 경징계를 결정했다”면서 “징계위는 ‘인권을 침해했다’는 인권위의 결정을 무시하고 ‘성실히 업무를 수행했다’는 점을 내세워 경징계를 내린 이유가 무엇이냐”고 질타했다.
또한 “학습 환경 개선을 위해 나무 2그루에 대한 가지치기를 요구한 강사는 ‘국가재산을 훼손했다’며 면직 처분에 형사고발까지 하고, A교수에게는 감봉 2개월의 경징계 처분을 한 것은 도저히 납득할 수 없다”면서 “학내 정상화를 위해 A교수에 대한 ‘직위해제’를 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또 열린민주당 강민정 의원(비례대표)는 A교수와 관련해 “징계 수위가 이해되지 않는다”며 “해당 교수는 논문 바꿔치기 외에도 인권침해 등에 대한 수사가 진행 중인 것으로 아는데 석·박사 과정을 밟고 있는 4명의 학생 등에 대해 학교 측의 입장은 무엇이냐”고 질의했다.
이에 대해 김동원 총장은 “징계위 결정에 대해 부당하다 판단해 교육부 특별징계위에 요청했고 정직 1개월로 수위가 높아졌다”고 답변했다. 제자 문제에 대해서는 “원래 10명이 넘는 제자들이 있었지만 학생들의 의사를 반영해 다른 교수들로 변경됐다”며 “남은 4명은 학위 논문 만료 등 문제가 있어 학생들 의사를 존중키로 했다”고 설명했다.
전북대 부설 연구소 131곳 중 114곳 연구원 ‘0명’
한편 이날 국감에서 전북대 연구소 운영 문제점도 도마에 올려졌다. 이날 강민정 의원은 ‘2021년 거점국립대, 전체 국·공립대 부설연구소 현황’ 자료를 공개하고 대학 부설연구소 중 유급 연구원이 없는 비율이 전북대 87%, 전남대 72.%, 경북대 74.4%등으로 확인됐다고 밝혔다.
해당 자료에 따르면 전북대의 부설연구소는 131곳에 달하지만 전임·유급 연구원은 50명 뿐으로 그나마 연구원 0명의 연구소는 114곳(87%)에 달한 것으로 밝혀졌다. 이에 따라 학술행사 127건 중 학술행사가 없는 연구소는 94곳(71.8%)로 나타났다.
또한 부설연구소 수 대비 전임 유급연구원의 경우 0.4명, 부설연구소 수 대비 학술행사 개최 건수는 평균 1.0건으로 나타났다. 특히 부설연구소 대비 전입·유급 연구원의 경우 전국 1.7명과 대비해도 전북대가 전국 거점대학 중 가장 낮았다.
강 의원은 “지역 거점대학 총장님들은 지역 대학의 위기를 얘기하지만 해당 자료를 보면 고등교육 재정이 부족한 것이 아니라 연구 윤리의 기본이 붕괴된 것”이라고 질타했다. 강 의원은 "연구소 실태 파악과 함께 대학의 철저한 조치" 등을 추가로 주문했다.
/박주현 기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