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학 이슈

최근 교수 채용 논란으로 따가운 시선을 받고 있는 전북대학교가 국민권익위원회의 종합청렴도 평가에서 가장 낮은 4등급을 받아 지난 2019년 이후 5년 연속 최하위를 기록, 지역거점국립대학의 위상에 스스로 먹칠을 하고 있다는 비판이 일고 있다.

국민권익위원회(위원장 유철환, 국민권익위)는 18일 전국 16개 국공립대학과 국립대학병원, 지방의료원 등 22개 공공의료기관에 대한 종합청렴도 평가 결과를 발표했다.

16개 국공립대 중 가장 낮은 청렴도 수준...5년 연속 최하위 맴돌아 

전국 16개 국공립대학 종합청렴도 평가(국민권익위 자료 제공)
전국 16개 국공립대학 종합청렴도 평가(국민권익위 자료 제공)

이번 종합청렴도 평가는 ▲공공의료기관‧국공립대학과 업무 경험이 있는 환자·계약업체 등 4,300여명과 공공의료기관 ‧ 국공립대학 내부 구성원 6,400여명 등 약 1만명이 참여한 설문조사 결과(청렴체감도) ▲기관이 1년간 추진한 부패방지 노력(청렴노력도) ▲기관의 부패사건 발생 현황을 합산해 청렴수준을 종합적으로 진단했다.

16개 국공립대 중 종합청렴도가 가장 높은 대학은 부산의 부경대로 1등급에 해당됐으며 전북대는 4등급으로 가장 낮은 등급에 해당됐다. 전북대는 청렴 체감도에서는 3등급으로 지난해보다 한 단계 상승했지만, 청렴 노력도 부분에서는 4등급을 받아 한 단계 떨어져 종합청렴도에서 4등급으로 국내 16개 국공립대학 가운데 지난해에 이어 연속 최하위로 평가됐다. 

이 같은 전북대의 낮은 종합청렴도 평가는 청렴 체감도와 청렴에 대한 노력이 크지 않고 교수들의 연구비 횡령 의혹 등이 이어지면서 점수가 높지 않은 것으로 분석됐다. 

국민권익위 관계자는 “대학의 특수한 부패 취약 분야인 연구 관련 분야에서 부패 사건이 주로 발생했으며 대학의 낮은 내부 체감도, 연구비 횡령, 편취에 대한 높은 경험률, 연구비 횡령 사건 발생 등은 대학의 건전한 학문 연구에 걸림돌이 될 것"이라면서 ”기관장의 청렴시책 추진 노력이 매우 중요하다“고 말했다.

연구비 횡령 의혹·교수 채용 논란 이어 교수 논문 갑질 등 ‘비위·잡음’ 끊이지 않아

전북대학교 전경(사진=전북대 제공)
전북대학교 전경(사진=전북대 제공)

전북대는 지난해 국민권익위가 공개한 '국·공립대학·공공의료기관 청렴도 측정 결과'에서도 4등급을 받는 등 최근 5년 연속 국공립대 청렴도 조사에서 4등급을 벗어나지 못하는 대학으로 꼽혔다.

특히 지난해 국정감사에서 전북대는 교수의 새만금 해상풍력사업 개입과 겸직 미신고, 논문 표절과 연구비 횡령 의혹, 교수 채용 및 승진 의혹 등이 연이어 제기됐다. 이처럼 전북대는 국공립대 청렴도 조사에서 연속 4등급을 벗어나지 못하고 있어 "거점국립대학 위상을 스스로 실추시키고 있다"는 비판과 함께 "부패와 비리의 원인을 조속히 쇄신할 필요성이 있다"는 지적을 계속 받고 있다.

그럼에도 최근에는 교수 임용시험 최종 면접에서 1순위 후보들이 무더기로 탈락한 것과 관련 전북대 측은 ‘학교와의 코드가 맞느냐 안 맞느냐가 당락의 요인’이라는 황당한 입장을 밝혀 파문이 증폭됐다.

앞서 지난해 10월 전북대에서 열린 국정감사장 앞에서는 한 대학원 재학생이 ‘지도교수로부터 논문 갑질을 당했다’며 1인 시위를 벌이는 등 해당 학과에서는 교수들 간, 교수와 대학원생 간 대리 강의 및 논문 갑질을 둘러싼 갈등이 수그러들지 않아 빈축을 사기도 했다.

한편 이번 국민권익위 평가에서 전북대병원과 군산의료원은 2등급을 받아 지역거점국립대학인 전북대의 청렴도가 전국 국공립대학 16곳 가운데 5년 연속 꼴찌 수준인 것과 큰 차이를 나타냈다. 

/박주현 기자

관련기사

저작권자 © 전북의소리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