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큐레이션] 2021년 11월 18일

전북도 산하기관인 전북문화관광재단이 연구진을 간부의 지인들로 채우는 등 개인 회사처럼 운영하고 있다는 사실이 전북도의회 행정사무감사에서 드러난데 이어 허위 출장과 행정사무감사 위증 당사자인 간부가 사의를 표명했지만 후폭풍이 가라 앉지 않고 있다. 

잇따라 촉발되는 논란이 점입가경이다. 특히 전북문화관광재단 임원이 복무 규정을 어기고 카페를 운영해왔다는 행정사무감사 지적과 관련해 재단 노동조합은 “재단 본부장이 규정으로 명시된 영리업무 금지 의무를 위반한 채 사업을 지속한 것이 감사로 드러났음에도 재단 대표이사는 반성과 조사 대신 제보자 색출에 나섰다”고 규탄해 따가운 눈총을 받고 있다. 

[해당 기사]

"전북문화관광재단, 사기업 운영하듯... 존폐 검토" 왜?

전북예술회관 전경
전북예술회관 전경

문제투성이 사업 운영에, 허위 출장 들통까지... 점입가경 

전북문화관광재단 최상열 문화예술본부장은 지난 11일 전북도의회 행정사무감사에서 타지 출장과 강연료 수수 등에 대한 질문 답변 과정에서 관련 사실을 부인함으로써 논란의 불씨를 던졌다. 

최 본부장은 행정사무감사 자리에서 한완수 도의원이 부산 출장과 부산대 강연 여부 그리고 강연료 수수 사실을 묻자 "부산 출장은 맞지만 강연이나 강연료를 받은 사실은 없다"고 밝혀 위증 논란이 일었다. 

전주MBC 11월 12일 보도(화면 캡쳐)
전주MBC 11월 12일 보도(화면 캡쳐)

최 본부장의 이 같은 진술은 도의회 문건위의 추가 확인 과정에서 허위로 밝혀졌다. 최 본부장은 답변 과정에서의 진술이 사실과 다른 허위 증언으로 밝혀지면서 논란이 일자 사직서를 제출했지만 전북도의회는 사직으로 끝날 일이 아니라며 발끈하고 나섰다. 

도의회는 "최 본부장의 위증과 관련해 정식 감사를 통해 책임을 묻겠다"는 입장이며, 재단 노동조합도 "위증한 본부장을 엄중히 처벌해야 한다"고 주장함으로써 문화관광재단의 존폐 논란이 다시 가열되면서 전북도 차원의 직접 감사 요구가 거세다.

전북도의회 문화관광건설위원회 최영규 의원은 "위증에 대해서는 별도로 고발을 검토 중이며 사직서 수리 경위에 대해서도 감사 보고서 채택 과정에서 따지겠다"며 "위증 죄도 처벌이 무거운 만큼 사직이 아닌 파면 조치도 가능하다"고 밝혔다. 최 의원은 또 "고발을 추진하려는 상황에서 사직서를 수리하는 것은 문제가 있다"고 덧붙였다. 

전북문화관광재단 노조 "위증한 본부장 엄중히 처벌해야" 

한편 전국지방공기업노동조합연맹 전라북도문화관광재단 노동조합은 14일 성명서를 발표하고 "재단 대표이사와 최 본부장은 잘못에 대한 반성은커녕 내부 제보자를 찾기 위한 직원들 뒷조사에 열을 올리고 있다"며 "있지도 않은 제보자를 운운하며 노동자를 탄압하지 말고 최 본부장을 엄중히 처벌하라"고 촉구했다. 

노조는 또 "재단 대표이사가 구성원들을 불신하고 특정 직원만을 위한 뒷배 역할을 하는 모습이 도의회 행정사무감사에서 고스란히 드러났다"며 "최 본부장은 입사 전부터 북카페를 운영해 왔고, 현재도 사업장 대표자가 본부장 명의로 돼 있다"고 밝혔다.

KBS전주총국 11월 15일 보도(화면 캡쳐)
KBS전주총국 11월 15일 보도(화면 캡쳐)

이어 노조는 "재단 규정에 명시된 겸직금지 의무를 위반한 채 자신의 영리사업을 지속하고 있다"며 "재단의 존폐를 검토하겠다는 지적을 들으며 재단의 위신은 그야말로 바닥으로 추락했다"고 덧붙였다. 그러면서 노조는 "대표이사는 최 본부장의 잘못된 사업 운영과 태도를 바로 잡고 방만한 운영을 한 책임을 통감해야 한다"고 대표이사에게 책임을 물었다. 

대표이사가 송하진 도지사 측근 인물이란 점에서 취임 초부터 적격성과 공정성 논란이 일기 시작한 전북문화관광재단은 이처럼 내부 문제점들이 도의회 행정사무감사에서 매년 지적되고 있지만 이에 대한 최고 책임자의 책임은커녕 사과도 없다. 도민들의 따가운 시선이 도지사와 재단 대표이사에게 집중되고 있는 이유다. 

/박주현 기자

관련기사

저작권자 © 전북의소리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