참여자치전북시민연대 '논평' 발표
전북대학교 교수가 개입된 새만금 해상풍력사업을 둘러싼 비리 의혹이 끊이질 않고 있다. 특히 이와 관련한 문제가 국회 국정감사장에서 주된 의제로 올라 전북대는 물론 새만금사업 전체에 대한 이미지에 악영향을 미치고 있다. 이에 철저한 사법당국의 수사와 교육당국의 진상 규명을 촉구하는 목소리가 높게 일고 있다.
“학계 고질적 병폐들, 사례 소개 위해 수집이라도 된 것처럼 모조리 등장”

참여자치전북시민연대는 13일 ‘전북대 S교수 비리 의혹 철저한 수사를 통해 진상을 밝혀야한다’는 제목의 논평을 내고 “가장 먼저는 수사기관의 철저한 수사와 그에 따른 엄중한 처벌이 이루어져야 한다”고 촉구했다.
논평은 “보도에 따르면 전북대학교에 재직 중인 S교수는 새만금 해상풍력 사업의 사업권을 보유한 자신의 일가족 회사를 중국계 자본에 매각하는 계약을 체결하면서 엄청난 수익을 챙기게 된 것으로 드러났다”며 “S교수는 이 외에도 가족이 관련된 무면허 업체, 유령회사 등을 동원해 한국전력공사 자회사들과 수십억 대 연구용역계약을 체결했다가 용역 면허조차 없다는 사실이 드러나면서 계약을 체결했던 회사들이 부랴부랴 대금 회수에 나서는 등 이미 여러 차례 심각한 문제를 일으켰던 것으로 알려졌다”고 밝혔다.
논평은 이어 “학문의 전당이자 인재 양성의 요람인 상아탑에서 이런 사건이 발생했다는 사실이 더욱 충격적”이라며 “누구보다도 영리적인 이해관계나 금전적인 거래로부터 자유로워야 할 교육기관과 교육자들이 연루된 비리 사건이 우리 지역에서 연속적으로 발생했다는 사실에 참담함을 느끼는 사람이 적지 않다”고 덧붙였다.
“대학 자정 노력, 투명하고 공정한 연구 풍토 확립 필요”

또한 논평은 “S교수의 문제는 정부가 지원하고 추진하는 용역사업을 이용해서 이득을 챙긴 것에 그치지 않는다. 학계의 고질적인 병폐들이 마치 사례 소개를 위해 수집이라도 된 것처럼 모조리 등장하고 있다”고 밝힌 뒤 “연구비 횡령, 인건비 착복, 겸직금지 위반, 채용 및 승진 비리, 논문표절 등 보도된 기사 내용만으로도 학교 운영 및 교수들의 인식과 문화에 대한 전반적인 개혁이 얼마나 시급하게 요구되고 있는지를 한눈에 보여주고 있다”고 비판했다.
따라서 “수사기관의 철저한 수사와 그에 따른 엄중한 처벌”을 촉구한 논평은 “부당하게 지급된 비용 등에 대한 환수 조치를 빈틈없이 취해서 낭비된 시민의 혈세를 최대한 회복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논평은 말미에서 “무엇보다 중요한 것은 대학 스스로의 자정 노력과 투명하고 공정한 연구 풍토가 확립될 수 있는 교육자들의 인식 개선이라고 할 수 있다”며 “대학은 우리 사회가 나아가야 할 방향과 목표를 제시하고 직접 실천함으로써 이끌어나가는 곳이어야 한다. 우리의 미래가 달려있다”고 역설했다.
/박주현 기자
관련기사
- 새만금 해상풍력사업 둘러싼 '총체적 비리', 청렴도 3년 연속 ‘꼴찌’...전북대 국감서 ‘망신·수난’
- “전북대 교수, 풍력사업권 팔아 7,000배 수익”...점점 커지는 ‘새만금 게이트’ 파장·불똥 어디로?
- 새만금 해상풍력사업, 국감서 “에너지 안보 구멍” 제기 '파장'
- "새만금 해상풍력 비위 의혹 철저히 수사하라"
- 전북대 교수 연루 '7,200배 수익' 논란 새만금 풍력발전사업, 결국 철회...재생에너지 ‘먹구름’, 새만금 투자 ‘악영향’
- 전북대 S교수·일가 연루 새만금 풍력발전 '수사 의뢰' 파장 확산...지역 업체들 ‘불똥’ 우려
- 감사원, '신재생에너지사업 비리 검찰 수사 요청'에 강임준 군산시장·전북대 S교수 ‘반발’...파문 확산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