석수철 군산상고 감독①

야구 명문 군산상고는 8년 동안(2003~2010년) 사령탑이 일곱 차례나 바뀐다. 1년에 한 번 꼴의 감독 교체는 안팎으로 혼란을 불러온다. 그사이 역전의 명수들은 전국규모대회에서 준우승 세 번, 3위 두 번 차지하였다. 우승을 못 해 그렇지 절망할 수준의 성적은 아니었다. 감독이 자주 바뀐 것은 학교와 학부모, 동문회 간 갈등의 골이 깊었음을 의미한다.
명조련사가 절실하던 그때 ‘역전의 해결사’가 혜성처럼 나타난다. 석수철 감독이다. 군산상고와 성균관대 졸업한 그는 1차 지명으로 1996년 쌍방울 레이더스에 입단했으나, 시즌 끝나고 갑작스러운 부상으로 데뷔 1년 만에 은퇴하는 ‘불운의 선수’가 된다. 지도자의 길로 들어선 그는 11년 동안 성균관대 코치를 맡는다. 2011년 10월 감독대행으로 제92회 전국체전에서 팀을 우승으로 이끌고 선수들에게 헹가래까지 받는다. 그해 12월 모교 총동문회 추천을 받아 군산상고 감독으로 부임한다.
심기일전, 새 감독의 지도 아래 혼연일체로 뭉친 군산상고 선수들은 2013년 제41회 봉황대기와 제94회 전국체전에서 우승, 그해 2관왕에 등극한다. 군산시와 시민들은 27년 만에 2관왕을 차지한 역전의 명수들을 대대적으로 환영하였고, 시청에서 군산상고까지 카퍼레이드도 펼쳤다.
27년만에 전국대회 2관왕 차지하던 날

2013년 9월 15일, 제41회 봉황대기 전국고교야구대회 결승전(군산상고-마산고) 열리는 서울 목동구장. 준결승에서 봉황대기 최다(5회) 우승팀 북일고를 제압하고 올라온 마산고와 10년 넘도록 무관에 그쳐, 정상 정복에 목말라 있던 군산상고의 대결이었다. 이날 군산상고 교직원과 재학생, 학부모, 군산 시민 600여 명은 대형버스 16대로 상경, 경기가 시작되기 전부터 분위기를 돋웠다.
군산상고의 1회 초 공격. 선두타자 이한솔의 볼넷과 마산고 선발 투수 실책으로 무사 1, 2루 기회를 잡고, 3번 김경철의 보내기 번트 타구를 3루수가 악송구, 가볍게 선취점을 뽑는다. 이어 4번 홍정준이 볼넷으로 무사 만루를 만들고, 5번 김기운의 중전안타로 1점을 추가한다. 스코어는 2-0. 역전의 명수들이 1회 초 공격 22분 동안 타자일순하며 얻은 점수는 8점. 일찌감치 대세를 결정짓는다.
기가 오른 선수들은 열띤 응원과 석수철 감독의 사인에 화답하듯 마산고를 파죽지세로 몰아붙여 20-4로 누르고 우승의 영광을 차지한다. 군산상고 에이스 조현명은 7과 2/3이닝을 소화하면서 안타 7개를 허용하고 삼진 12개를 잡아내며 승리의 주역이 된다. 그는 타격에서도 6타수 4안타 4타점의 맹타를 휘두르며 대회 최우수상(MVP)과 우수투수상을 차지, 개인상 부문 2관왕에 오른다.
장쾌한 안타 퍼레이드 펼치며 17년 만에 봉황대기를 가슴에 품은 군산상고는 한국 고교야구 역사상 또 다른 진기록을 남긴다. 불꽃 타선의 역전의 명수들이 9회 진행되는 동안 장단 스물한 개 안타를 몰아치며 20-4 대승을 거둔 것. 이는 역대 전국규모 고교야구대회 결승전 최다 점수로 야구 전문가들은 당분간 깨지기 어려울 것으로 전망했다.
아래는 2013년 당시 군산상고 야구부 명단.
감독 석수철, 코치 오장용, 투수 조현명, 박성모, 임규형(3년), 김용준, 이윤후, 이동근, 이우석, 김다훈, 김재훈(2년), 유다빈, 장영석, 홍경모, 임준형(1년), 포수 홍정준(3년), 김세한(2년), 김신양(1년), 내야수 이한솔, 김기운(3년), 김경철, 김재호(2년), 정동인, 성종원, 이환희, 김태영(1년), 외야수 정승주, 김경민, 김정수(3년), 이준희(2년), 김보연, 강민구(1년) 등
‘타격이 약한 팀’이라는 오명을 벗으며 제41회 봉황대기 정상에 오른 역전의 명수들은 그 여세를 몰아 10월 24일 인천 송도 LNG 야구장에서 벌어진 제94회 전국체육대회 고등부 야구 결승에서 청주고의 끈질긴 추격을 8-7로 따돌리고 패권을 차지한다. 이날 군산상고는 1998년 전국체전 이후 15년 만에 우승, 그해 2관왕에 오르면서 화려한 부활을 예고했다.
“2관왕을 차지하기까지 선수들을 믿고 끊임없이 성원을 보내준 학교와 총동문회, 군산시 야구협회, 시민 등 모든 분들에게 진심으로 감사한다”며 “고교선수들은 모두 잠재력을 지니고 있다. 그들이 좋은 성적을 내기 위해서는 성실한 훈련과 팀워크가 중요하다”고 강조하는 그 날의 주인공 석수철 감독을 만났다.
- 지금도 쌍방울 레이더스 팬들은 감독님을 ‘비운의 선수’라고 하던데요.
“그래도 이만하면 출세한 거죠. (웃음) 야구장 구경 한 번 못했던 옥봉리 촌놈이 군산상고에 입학해서 쟁쟁한 선배들 덕에 ‘역전의 명수’라는 영광의 닉네임도 얻었고, 서울에 있는 대학에 진학해서 동료 중 유일하게 국가대표로 활동했으니까요. 현역에서 은퇴하면 해봐야겠다고 마음먹었던 모교 감독을 맡고 있어 책임감과 함께 자부심도 생깁니다.”
석수철 감독과의 대화는 이렇게 시작됐다. 듬직한 체구에 예리한 눈빛, 검은 피부에 우락부락한 얼굴 등 처음 대하는 순간 해태 시절 김응용 감독이 떠올랐다. 쇠말뚝처럼 무뚝뚝하게 보이면서도 여유와 위트가 넘쳤다. 고대 전사의 카리스마도 느껴졌다. 평탄치 못했던 선수생활과 지도자 경력이 10년 넘게 쌓이면서 자연스럽게 묻어나는 아우라가 있었다.
초등학교 선수 시절 별명은 ‘미련 곰탱이’

석수철(昔守哲)은 1973년 군산시(당시 옥구군) 옥서면 옥봉리에서 4남매 중 막내로 태어났다. 그는 어려서부터 착했고 주관이 뚜렷했단다. 성격은 매사에 신중하고 꼼꼼한 편. 1980년 군산비행장 부근 옥봉초등학교에 입학, 야구에 재미를 붙였으나 여건이 허락하지 않았다. 그때 아버지가 서둘러 시내 중앙초등학교로 옮겨주는 바람에 야구와 인연을 맺게 된다.
“조계현, 장호익, 백인호, 고장량 등 기라성 같은 선배들이 전국을 호령하던 때였죠. 야구는 하고 싶은데 시골학교라 야구부는 없고···. 마침 중학교 때 야구선수였던 아버지가 눈치 채고 전학을 시켜주셨어요. 아버지와 마음이 통했던 거죠. 처음 포지션은 3루수였고, 릴리프로 마운드에 서기도 했지요. 시합도 여러 차례 나갔는데 성적은 별로였어요. 그래도 야구가 좋았고, 유니폼 차림의 제 모습이 자랑스러웠던 것을 생각하면 팔자에 타고난 모양입니다. (웃음)”
타고난 노력형이었던 석수철의 초등학교 선수 시절 별명은 ‘미련 곰탱이’. 야구가 재미있기도 했지만, 타력과 주력이 앞선 동료들을 따라잡기 위해 달리기도, 타격 연습도 열심히 했다. 감독이 그만하라고 할 때까지 미련한 곰처럼 연습한다고 해서 붙여진 별명이란다. 친구들의 놀림에도 연습이 끝나는 게 아쉬울 정도였다는 그는 “몸도 생각했어야 하는데 성장기에 너무 무리해서 프로선수 생명도 짧았던 것 같다”며 아쉬워했다.
군산중학교 야구부에서 유격수와 3루수를 번갈아 봤던 그는 1989년 군산상고에 진학해서 2학년 때 3루수로 자리를 굳힌다. 그가 졸업 때까지 전국규모대회에서 거둔 성적은 제45회 청룡기대회 3위(2학년)와 제72회 전국체전 3위(3학년)가 전부였다. 그는 고등학교 1~2학년 시절을 무척 힘들게 보냈다며 당시를 떠올렸다.
“전국대회에서 4강에 들어야 대학진학 자격이 주어지던 때였는데, 입학하던 해에 성적을 못 내니까 어린 마음에 불안감이 밀려오더군요. 주위 시선은 따갑고, 훈련은 훈련대로 고되고···, 이중삼중으로 고통 받았어요. 야구를 계속 해야 하는지 회의감이 들기도 했습니다. 그렇게 힘들어하다가 새로 부임한 나창기 감독 제의로 3루수를 맡으면서 안정을 찾았죠.”
대학 3학년 때 국가대표로 선발

전력투구 정신으로 무장한 석수철은 군산상고 3학년 가을, 전국체전 고등부 야구에서 3위의 성적을 거두고 성균관대로 스카우트된다. 1992년 대학 유니폼으로 갈아입은 그는 그해 5월 6일 벌어진 제26회 대통령 배 대학야구대회 첫날 1회전 경기(성균관대-서울대)에서 9회 말 통쾌한 두 점짜리 홈런으로 신고식을 대신한다. 그날 경기결과는 14-4로 성균관대 승리.
1992년은 한양대 2학년 때 LA다저스에 입단한 박찬호를 비롯해 조성민, 염종석, 정민철, 임선동 등 한국야구를 세계 수준으로 끌어올려 놓을 유망주가 여럿 배출된 해였다. 석수철도 그들과 함께 기대주로 떠올랐고, 국가대표 시절에는 해태 왕조의 마지막 감초로 불리는 김종국(고려대)과 키스톤콤비를 이루며 팬들에게 즐거움을 선사한다.
그는 성균관대 선수 시절 춘계리그, 추계리그, 대통령배 등 각종 대회에서 기회가 올 때마다 짜릿한 동점 홈런도 날리고, 통쾌한 승리 타점을 때려내는 등 야무진 타격과 안정된 수비력을 보여준다. 2학년 춘계리그부터는 주전 3루수 자리를 꿰찬다. 그러나 야구는 아홉 명이 하는 경기다. 그의 맹활약에도 팀 성적은 하위권을 맴돌았다.
당시 성균관대 야구부는 한 시즌 통산 3승을 따내는 게 보통이었고, 약체팀인 서울대를 만나야 4승을 올리는 정도였다. 그처럼 부진한 팀 성적에도 석수철은 3학년 때 대학선발팀으로 활약했고, 가을에는 국가대표 3루수로 발탁된다. 당시 야구부 동료들과 학생들은 모교에서 11년 만에 국가대표 선수가 나왔다며 축하해 주었다. (계속)
※ 등장 인물의 나이와 소속 직책은 2014년 6월 기준임
/조종안 전문기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