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분석

전주시민회, "김승섭 전주시의원 사퇴해야"

김승섭 의원 "전주시, 공공택시 플랫폼 개발해야"

김승섭 전주시의원에 대한 엇갈린 보도가 눈길을 모으고 있다. 시민단체의 사퇴 주장을 외면한 당사자는 물론 그의 시정 발언을  크게 부각시켜 보도한 지역 일간지들의 행태가 동문서답 격이다.

11일 전주시민회(대표 이문옥)가 전주시청 브리핑룸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문제를 제기한 이해충돌 논란의 당사자인 김승섭 시의원에 대한 사퇴 요구와는 달리 지역 일간지들은 문제 제기에는 침묵으로 일관하다가 13일 지면에 일제히 그의 시정 발언을 비중 있게 다루었다.

전주MBC 5월 12일 기사(홈페이지 캡쳐)
전주MBC 5월 12일 기사(홈페이지 캡쳐)

전날 전북CBS에 이어 전주MBC가 김 의원의 사퇴 요구에 무게를 실어 보도했으나 지역 일간지들은 이에 대해서는 외면하다가 그의 발언만을 클로즈업시킨 것이어서 저간에 의구심을 자아냈다.

전주MBC는 12일 ‘전주시민회, "김승섭 전주시의원 사퇴해야"’란 제목의 기사에서 “전주시민회는 김승섭 전주시의원이 대표로 있는 회사가 지난 2019년 전주시 체육산업과와 1억원 상당의 시설개선 통신공사를 계약했다며 명백한 이해충돌 사례라고 주장했다”고 보도했다.

전주시민회가 11일 발표한 기자회견문
전주시민회가 11일 발표한 기자회견문

이어 기사는 “지방계약법에 따르면, 지방의회 의원은 지방자치단체와 영리를 목적으로 계약을 체결할 수 없다”고 밝히면서 “특히 당시 김 의원이 속한 상임위원회는 체육산업과를 감독하는 역할을 맡은 문화경제위원회였다“고 덧붙였다.

아울러 “김 의원의 회사와 계약을 체결했던 담당 공무원들은 전라북도 감사에 적발돼 뒤늦게 징계를 받았지만, 김 의원은 여전히 책임을 지지 않고 있다”고 기사는 강조했다.

그러나 13일 전북일보, 전북도민일보, 전라일보, 새전북신문, 전민일보 등 지역의 주요 일간지들은 김 의원이 전날 전주시의회에서 발의한 "전주시가 택시업계를 위해 공공택시앱을 개발해야 한다"는 주장을 크게 부각시켜 사회면 머리기사 등으로 보도했다.

전북도민일보 5월 13일 기사(홈페이지 캡쳐)
전북도민일보 5월 13일 기사(홈페이지 캡쳐)

전날 전주시민회의 '김 의원 사퇴' 주장 배경과 내용에 관해서는 아무런 기사도 다루지 않던 신문들이어서 곱지 않은 시선을 받고 있다.

더구나 전주시의회에서는 김승섭 의원 외에도 전날 6명의 시의원이 5분 자유발언을 했다. 그런데 유독 전주시민회가 이해충돌 사안과 관련해 해명과 사퇴를 요구한 장본인을 특별히 부각시킨 행태는 독자들을 어리둥절하게 한다.

새전북신문 5월 13일 7면 기사
새전북신문 5월 13일 7면 기사

다음은 김승섭 전주시의원과 관련된 전주MBC와 전북지역 일간지들의 관련 기사 제목들이다.

전주시민회, "김승섭 전주시의원 사퇴해야" -전주MBC 12일 보도

(김승섭 의원) "전주시, 공공택시 플랫폼 개발해야" -전북일보 13일 5면

(김승섭 의원) "공공택시 플랫폼 개발, 업계 위기 극복을" -전북도민일보 13일 4면

(김승섭 의원) “공공택시앱 개발 나서야” -전라일보 13일 5면

카카오 수수료에 택시업계 한숨 -새전북신문 13일 7면

카카오택시 대항“전주 공공택시앱 개발 나서야” -전민일보 13일 7면 

/박주현 기자

관련기사

저작권자 © 전북의소리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