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역 언론계 이슈

전북지역 일간지 주재기자 운영 시스템이 연이어 문제점을 드러내면서 싸늘한 시선을 받고 있다. 김제지역 일간지 주재기자 임명을 둘러싼 ‘김영란법’ 위반 사례가 문제로 제기되자마자 이번엔 완주군청 출입처 기자단 기득권과 카르텔에서 기인한 갈등이 기자들 간 폭력으로 이어져 잇따라 구설에 오르고 있기 때문이다. 

11일 전북민주언론시민연합(전북민언련)은 ‘완주군청 출입기자단 간담회에서 발생한 기자들 간 폭력 사건, 조용히 무마하면 끝날 일인가?’란 제목의 성명을 내고 최근 완주군청 출입기자단 간담회에서 발생한 기자들 간 폭력 사건을 지적하면서 출입처 기자단의 기득권과 카르텔 등의 문제점을 비판했다. 

이보다 앞서 전북민언련은 지난 5일에도 성명을 통해 ”도내에서 첫 ‘김영란법’ 위반으로 유죄를 선고받았던 전 지역 언론사 대표가 지역 일간지 주재기자로 임명됐다“며 ”지역신문에 대한 지역민과 독자의 냉소와 신뢰 하락을 아랑곳하지 않는 태도“라고 비판했다. 그런데 불과 1주일도 안돼 주재기자 문제가 다시 도마에 올려졌다. 

[해당 기사] 

김영란법 위반 등 '비위 언론인들' 현직 활동에 ‘비난·우려’ 목소리 커...“독자 냉소 염두에 없나”, “보복 기사 두렵다” 

”완주군청 주도 식사 간담회 자리 일간지 기자들만 참석...초대 받지 못한 인터넷신문 관계자 찾아와 술잔 던지며 상해 발생“

전북민주언론시민연합이 11일 발표한 성명서 표지.(전북민언련 제공)
전북민주언론시민연합이 11일 발표한 성명서 표지.(전북민언련 제공)

전북민언련은 성명에서 ”완주군청 관계자와 지역일간지 중심의 군청 출입기자단이 함께한 공식 식사자리에서 술잔을 던지는 등 폭력 사건이 발생해 충격을 주고 있다“며 ”지난 9월 6일 저녁 완주군은 ‘부군수 취임에 따른 소개와 인사를 위한 출입기자와의 간담회’를 전주에 있는 식당에서 진행했다“고 설명했다.

이어 성명은 ”이 자리에는 부군수를 비롯해 기획예산실장, 기획팀장, 예산팀장, 공보실 관계자들이 참석했으며 기자단 중 지역 일간지 소속 기자 9명만 참여했다“며 ”문제는 해당 자리에 기자단에 소속되지 않아 초대받지 못한 인터넷신문 관계자 A가 술에 취한 채 찾아와 문제를 제기하며 발생했는데, 기자단 간사가 A에게 술잔을 던지면서 상해가 발생했고, 이 외 다른 기자가 욕설을 하며 개입하자 기자들 간 싸움으로 사건이 커진 것“이라고 밝혔다. 

또한 ”폭력이 발생한 명확한 이유를 공개하지 않고 있지만 브리핑룸에 설치된 개인 책상을 군청 출입기자 내 지역 일간지 중심의 기자단이 독점하면서 갈등이 컸던 것으로 추정된다“는 성명은 ”먼저 폭력 사건의 당사자인 완주군청 출입기자단 간사의 행태는 이유를 불문하고 지탄받아 마땅하다“며 ”해당 자리는 기자들 간 사적 자리가 아니라 완주군 부군수 취임 후 출입기자들과의 첫 공식 만찬 자리이자, 잼버리 담당 업무를 맡았던 기획예산과 직원들을 격려하기 위해 함께 마련된 식사 자리였다“고 지적했다.

그러면서 ”청탁금지법 위반 여부도 검토해야 한다“고 강조한 성명은 ”완주군은 현재 기자실이 아닌 브리핑룸으로 운영하고 있고, 브리핑룸에는 기자들의 송고를 위한 책상이 마련되어 있지만 이번 사건에서 지역 일간지 중심의 기자단이 선점한 개인 책상을 고정석처럼 사용하고 있으며, 이 외 다른 기자는 이용하기 어려운 상황임을 알 수 있었다“며 ”언론 매체별로 각 사별 좌석을 지정해 주는 것은 지나친 편의를 제공하는 것으로서 청탁금지법상 제재 대상에 해당할 수 있다“고 주장했다.

”브리핑룸 ‘고정석 금지’ 청탁금지법 위반 논란...예산 밀어주기 등 관행 중단해야“

완주군청 전경(사진=완주군 제공)
완주군청 전경(사진=완주군 제공)

더 나아가 ”브리핑룸 운영의 일차적 책임은 행정이고, 행정에서는 ‘청탁금지법’에서 고정석을 금지한 법의 취지를 살려 브리핑룸 운영에 대한 전반적 개선 방안을 마련해야 한다“고 부연한 성명은 ”기자단과의 공식 간담회를 기자단 소속의 기자가 운영하는 식당에서 진행한 것도 공보 업무를 맡고 있는 기획예산과와의 관계를 고려할 때 이해충돌에 해당하는 사례“라며 ”세간의 행정 예산 밀어주기 의혹과 함께 청탁금지법 위반 논란을 키운다는 점에서 당장 중단해야 할 관행“이라고 지적했다.

이밖에 전북민언련은 성명에서 ”완주군청 출입기자단과의 간담회에서 발생한 기자들 간 폭력 사건은 조용히 무마할 일이 아니다“며 ”여전히 변하지 않은 지역 일간지 주재기자 중심의 견고한 카르텔을 노출시킨 사건“이라고 규정한 뒤 ”해당 사건을 발생시킨 당사자들은 책임지고 군민들 앞에서 사과하고 근본적인 개혁을 추진해야 할 것“이라고 주문했다.

출입기자 운영 식당에서 간담회 회식...'이해충돌' 논란

전북민언련의 성명을 종합하면, 표면적인 내용은 주재기자들 간에 술잔을 던지는 등 단순한 우발적 사건으로 볼 수 있지만 실상 내부를 들여다보면 출입처 기자단 내부에 깊숙이 자리해 온 기득권과 카르텔 문제에서 기인한 것으로 보여진다.

더욱이 지역 일간지 중심의 출입처 기자단 내부의 견고한 기득권이 외부로 드러난 사례라는 지적이 언론계 내부에서도 팽배하다. 게다가 행정이 주도한 간담회 장소가 전북민언련의 주장대로 출입기자가 운영하는 식당에서 이뤄졌다면 이는 더욱 큰 문제가 아닐 수 없다. 청탁금지법 위반과 이해충돌 논란이 크다는 지적을 피하기 어렵게 됐다. 

/박주현 기자

관련기사

저작권자 © 전북의소리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