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슈 초점

전주시가 추진 중이던 '백제대로 자전거도로 개설공사' 사업을 중단하고 시민 의견 수렴에 나서기로 했지만 사실상 사업 포기를 전제한 '여론몰이'란 지적이 높다. 

애초 교통 혼잡과 안전 문제를 검토하고도 사업에 착수한 전주시가 시장이 바뀐 뒤 40% 가량의 진척률을 보인 해당 사업의 여론 악화를 문제 삼으며 일부 언론에 ’전면 재검토‘ 또는 ’백지화’ 방침을 흘리더니 ‘오락가락 행정’이란 비난이 제기되자 다시 ‘시민 공론화’ 시늉을 갖추고 나서 따가운 비판 여론이 일고 있다.

자전거도로 개설 중단 전주시, ”이틀간 각계각층 의견 취합“...왜?

전주시가 백제대로 자전거도로 개설 사업과 관련해 시민들의 의견을 듣겠다고 밝힌 보도자료.(전주시 제공)
전주시가 백제대로 자전거도로 개설 사업과 관련해 시민들의 의견을 듣겠다고 밝힌 보도자료.(전주시 제공)

전주시 대중교통과는 8일 전주시청 브리핑룸에서 "백제대로 자전거도로 개설공사를 일시 중단하고 오는 16일과 26일 이틀간 각계각층의 의견을 취합하는 시간을 가질 계획"이라고 밝혔다. 또한 해당 과는 "이 사업은 구상단계부터 차선 축소에 따른 교통 혼잡과 안전에 대한 우려가 제기돼왔다"며 "사업을 일시 중단하게 된 배경을 시민들에게 설명하고 다양한 의견을 취합해 향후 방향성을 정하겠다"고 덧붙였다.

이러한 이유에 대해 시 관계자는 "전주의 대동맥인 종합경기장 네거리부터 꽃밭정이 네거리까지 11km 중 일부 구간이 기존 편도 5차선에서 4차선으로 줄어 극심한 교통혼잡이 발생할 것으로 우려된다"며 "차량 통행량이 많고 대중교통 이용자가 다수인 백제대로의 특성상 자전거도로를 이용한 이용객의 사고 위험도 무시할 수 없다는 의견도 제시됐으며, 이 같은 문제로 자전거도로 이용객이 적을 것이라는 의견도 나오고 있다"고 설명했다.

”비난 여론 무마용...도시계획·개발, 후진성 극복해야 하는 게 급선무 과제“

JTV 6월 8일 뉴스 화면(캡처)
JTV 6월 8일 뉴스 화면(캡처)

그러나 이러한 수순은 이미 예견됐었다. 지난 5월 15일부터 시작된 전주시 백제로 자전거도로 개설 사업과 관련한 전주MBC 연속 보도 중 이 사업의 ‘전면 재검토’ 또는 ‘백지화’ 방침이 이미 전달됐다. 그러나 이에 대해 '오락가락하는 행정이자 편중된 여론 수렴'이란 비판 여론이 <전북의소리> 등을 중심으로 잇따라 제기되자 이를 무마하려는 시도란 지적에 무게가 실린다.

이에 대해 자전거 전문가들은 ”전임 시장 때나 지금이나 도시계획을 수립하고 진행하는 데서 중요한 것은 일관성인데 전주시의 경우 그렇지 못하고 있는 게 문제“라며 ”시민 공론화 과정을 어떤 경우는 거치고 어떤 경우는 거치지 않는 도시계획·개발의 후진성을 극복해야 하는 게 가장 큰 전주시 도로행정의 개선 과제“라고 이구동성으로 지적했다.

앞서 전주시는 김승수 전 시장 재임 시절 국비 200억원이 투입되는 산림청 주관 '바람길숲 조성사업' 공모에 선정된 이후 지난 2020년부터 올해 연말까지 시비 48억원을 투입해 백제대로에 자전거도로를 개설하기로 했다. 하지만 우범기 전주시장 체제로 바뀐 이후 사업 진행률 40%에 예산 21억원가량의 투입된 이 사업에 대해 교통 혼잡과 안전 문제 등의 우려가 제기된다며 중단한 상태다.

정상택 전주시 대중교통본부장은 이날 "시장이 바뀌면서 철학이 바뀐 부분은 아니다”고 선을 그은 뒤 "다만 올해 사업을 추진하는 과정에서 문제 제기가 크게 됐다"며 “사업 구상단계에서는 고려되지 않았던 우회전 차량의 횡단보도 일시 멈춤이 시행된 것도 향후 자전거 도로와 맞물려 사고 위험과 교통 혼잡 유발 가능성이 더 커진 것도 공사를 중단하게 된 배경"이라고 밝혔다.

그러나 이날 브리핑에 나선 전주시가 정작 시민 의견을 듣겠다고 입장을 발표한 자리에서 자전거도로 개설의 부정적인 의견만 제시하고 자전거도로의 장점이나 대책은 언급하지 않았다는 비판과 함께 사실상 '백지화 수순을 밟으려는 의도'라는 비판이 제기됐다.

”여론몰이 통해 자전거도로 전면 백지화로 가는 수순 밟기“

전주시 백제대로 자전거도로 개설공사 평면도.(전주시 제공)
전주시 백제대로 자전거도로 개설공사 평면도.(전주시 제공)

전주시의회 한승우 의원은 "민원이 생기자마자 바로 사업을 중단하는 모양새이기에 우범기 전주시장의 자전거도로 개설 의지가 강하지 않은 것 같다"면서 "시민 의견을 듣는 것은 매우 중요하지만 이를 통해 사업이 폐지 수순으로 가는 것은 문제가 있다"고 밝혔다.

이정현 전북환경운동연합 공동대표도 이날 방송과의 인터뷰에서 "문제점만 부각하는 여론몰이를 통해서 자전거도로는 교통 혼잡의 원인이 될 수밖에 없다고 하는 결론으로 가기 위한, 그래서 자전거 도로를 백지화하기 위한 것으로 볼 수 있다"며 ”자전거도로 전면 백지화로 가는 수순 밟기가 아닌가 싶다. 부족한 부분들이 있다면 보완을 통해서 시민들의 동의를 구하는 절차를 밟으면 되는 것인데 아쉽다“고 밝혔다.

이밖에 지역 환경단체 관계자들은 "이번 백제로 자전거도로 개설 사업이 지난 3월 전주천과 삼천의 버드나무 260여 그루를 마구 잘라냈을 때처럼, 전주시의 일방통행식 행정의 연장선으로 보여진다"고 말해 전주시 행정에 대한 불신이 갈수록 고조되고 있음을 확인해 주었다. 

/박주현 기자

관련기사

저작권자 © 전북의소리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