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큐레이션] 2022년 5월 2일
6·1 지방선거를 한달 앞두고 더불어민주당 전북지역 기초단체장 경선에서 탈락한 일부 예비후보들이 잇따라 중앙당에 재심을 청구한 가운데 그 이유들이 각양각색이어서 각각의 결과가 주목된다.
특히 일부 지역 경선 탈락 예비후보들은 노인들의 휴대전화를 이용한 금품 제공 후 대리 여론조사(투표)를 주장하며 재심 청구는 물론 경찰과 선거관리위원회에 수사 및 조사를 의뢰해 향후 파장이 확대될 전망이다.
민주당 전북 기초단체장 경선 탈락 예비후보 9명 재심 청구...결과 주목

더불어민주당 전북도당과 재심 청구 예비후보들에 따르면 1일까지 민주당 전북지역 기초자치단체장 경선 후 9명의 탈락 예비후보들이 민주당 중앙당에 재심을 청구했다.
이들 가운데는 전주시장 경선에 참여했던 조지훈 예비후보를 비롯해 조용식 익산시장 예비후보, 박준배 김제시장 예비후보, 두세훈·유희태·이돈승 완주군수 예비후보, 한완수 임실군수 경선 예비후보, 권영대 순창군수 경선 예비후보, 양성빈 장수군수 예비후보 등 9명으로 나타났다.
이들은 민주당 지역 경선에서 1위 후보에 밀려 2위 또는 나머지 순위에 해당한 예비후보들로서 경선 과정의 문제점과 상대 후보의 도덕성, 해당 행위 등을 문제 삼으며 재심을 청구한 상태다.
조지훈 "선거 브로커·해당 행위 판단 필요...재심 청구"

먼저 조지훈 전주시장 예비후보는 지난달 28일 경선 탈락 후 입장문을 내고 "민주당 전주시장 경선과정에서 발생한 ‘선거 브로커’ 개입과 ‘해당 행위’를 선거운동의 도구로 삼아 여론을 왜곡한 것에 대해 명확한 판단이 필요하다"며 재심 신청의 뜻을 밝혔다.
그는 "이번 전주시장 경선 과정은 유례를 찾기 힘든 혼돈의 연속이었다"며 "무엇보다 이번 선거의 핫이슈로 떠오른 선거 브로커 개입설이 여론을 왜곡시켜 전주시장 경선결과에 영향을 줬는지를 판단해 줄 것“을 요구했다.
국영석 예비후보, 상습 도박 의혹 부인 불구 경선 재심 신청 잇따라

또한 민주당 완주군수 경선에서 1위를 차지한 국영석 예비후보의 상습 도박 논란이 불거지자 함께 경선에 참여했던 두세훈·유희태·이돈승 예비후보는 ”국 후보의 상습 도박 논란은 공천 배제 사유에 해당한다“며 동시에 중앙당에 재심을 청구했다.
특히 두세훈 예비후보는 29일 기자회견을 열고 "민주당은 군수 경선 재심을 인용하고 완주군을 전략지구로 지정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그는 "민주당 재심위는 읍참마속의 심정으로 재심 인용을 결단하고 완주군도, 민주당도 살리라"라며 "깨끗하고 도덕적 하자가 없는 후보가 공천을 받도록 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휴대전화로 대리 투표" 임실·순창·장수 재심 청구·경찰 고발 잇따라...후폭풍

농촌지역 노인들의 핸드폰을 이용한 '대리 투표(여론조사)' 의혹이 광범위하게 제기되면서 민주당 임실·순창·장수군수 경선 결과 탈락한 예비후보들의 재심 청구도 줄을 이었다.
한완수 임실군수 예비후보는 29일 "상대 예비후보 측이 노인들의 휴대전화로 대리 투표한 정황이 다수 포착됐다"며 ”중앙당에 재심을 신청했다“고 밝혔다. 한 예비후보는 이날 "상대 예비후보의 측근들이 경선 여론조사 기간 임실지역 노인을 상대로 대리투표를 진행했다"며 "노인들의 휴대전화를 걷어가 특정 장소에서 대신 투표를 시행한 정황이 담긴 녹취록을 중앙당 공직선거후보자추천 재심위원회에 제출하고 해당 녹취록을 바탕으로 공직선거법 위반 혐의로 임실경찰서에 고발조치를 마쳤다"고도 밝혔다.
권대영 순창군수 경선 예비후보와 양성빈 장수군수 경선 예비후보도 이날 전북도의회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경선 과정에서 휴대전화를 이용한 조작이 있었다"며 "상대 후보 측의 지지자들이 독거노인의 휴대전화를 수거해 대리 투표했을 뿐 아니라 주민들을 한곳에 모아 특정 후보를 선택하도록 한 정황이 있다"고 재심 이유를 밝혔다.
이날 양 예비후보는 "장수군 번암면 한 마을에서 상대 후보 지지자가 마을 주민 15명의 휴대전화를 수거하고 5만원씩 교부했다는 제보가 있었다"고 밝혀 의혹이 더욱 커졌다.
한편 민주당 중앙당은 이번 주 중으로 재심평가위원회를 열고 최종 판단을 내릴 전망이어서 그 결과에 귀추가 주목된다. 특히 일부 지역에서는 경찰과 선거관리위원회에 고발·신고를 동시에 해놓은 상태여서 후폭풍과 여진은 당분간 지속될 전망이다.
/박주현 기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