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큐레이션] 2022년 4월 30일

6·1 지방선거를 앞두고 전북의 농촌 지역들이 여론 조작 논란에 휩싸여 따가운 시선을 계속 받고 있다. 

특히 임실·순창·장수군 지역에서는 휴대전화 요금 청구서 주소를 옮겨 경선 여론조사를 조작했다는 의혹이 불거진 데 이어 이번에는 일부 예비후보들이 사전에 노인들의 휴대전화를 모아 놓고 경선 여론조사에 대응했다는 의혹이 잇따라 제기되면서 파장이 확산되고 있다.

"노인들 휴대전화로 대리 투표?" 

KBS전주총국 4월 29일 뉴스 화면 캡처
KBS전주총국 4월 29일 뉴스 화면 캡처

29일 KBS전주총국과 전주MBC, JTV, 전북CBS 노컷뉴스 등이 이 문제를 비중 있게 다뤘다. 보도된 내용들과 더불어민주당 전북지역 경선에서 탈락한 예비후보들의 증언을 종합하면, 임실·순창·장수지역에서 일부 후보들이 경선 여론조사 기간 중에 지역 노인을 상대로 대리 투표, 즉 경선 기간에 대리로 여론조사가 이뤄졌다. 

이 같은 사실을 폭로한 예비후보들은 "농촌지역에서 노인들의 휴대전화를 돈을 주고 걷어가 특정 장소에서 대신 투표를 시행한 정황이 담긴 녹취록을 중앙당 공직선거후보자추천 재심위원회에 제출했다"고 밝혀 민주당 차원의 대응이 주목된다. 

임실군에서는 최근 민주당 경선에서 2위로 밀려난 한완수 예비후보 측이 이 문제를 제기했다. 한 예비후보 측은 29일 "상대 예비후보 측이 노인들의 휴대전화로 대리 투표한 정황이 다수 포착됐다"며 "노인들의 휴대전화를 걷어가 특정 장소에서 대신 투표를 시행한 정황이 담긴 녹취록을 민주당 중앙당 재심위에 제출했다"고 밝혔다. 

"마을 주민들 휴대전화 5만원씩 주고 수거" 

전주MBC 4월 29일 뉴스 화면 캡처
전주MBC 4월 29일 뉴스 화면 캡처

또한 한 예비후보 측은 "녹취록에는 지난해 3월부터 임실군 노인들을 찾아다니며 권리당원에 입당하는 조건으로 5만 원을 제공했다는 내용도 포함됐다“며 "이 녹취록을 근거로 공직선거법 위반 혐의로 임실경찰서에 고발을 했다"고 덧붙였다. 

휴대전화를 이용한 대리 투표(여론조사) 의혹은 순창지역에서도 나왔다. 이날 더불어민주당 권대영 순창군수 경선 예비후보도 기자회견을 열고 "경선 과정에서 휴대전화를 이용한 조작이 있었다"며 "상대 후보 측의 지지자들이 독거노인의 휴대전화를 수거해 대리 투표를 했다”고 밝혔다. 권 후보 측은 이 외에도 “주민들을 한곳에 모아 최 후보를 선택하도록 한 정황도 있다"고 밝혔다.

전북CBS 노컷뉴스 4월 29일 기사(홈페이지 갈무리)
전북CBS 노컷뉴스 4월 29일 기사(홈페이지 갈무리)

장수지역에서도 유사한 사례가 나왔다. 더불어민주당 소속으로 장수군수 경선에 참여한 양성빈 에비후보도 이와 비슷한 수법의 사례를 폭로했다. 

경선에서 탈락한 양 후보는 이날 "불법, 금권, 타락 양상을 보인 이번 장수군수 경선이 과연 우리 민주당이 추구하고 매진하는 민주적인 방법이었는지 묻지 않을 수 없다”며 "장수군 번암면 한 마을에서 상대 후보 지지자가 마을 주민 15명의 휴대전화를 수거하고 5만 원씩 교부했다는 제보가 있었다"고 밝혔다. 

사법당국·선관위 철저한 수사·조사 필요 

JTV 4월 29일 뉴스 화면 캡처
JTV 4월 29일 뉴스 화면 캡처

그는 또 "장수군 장계면에서도 같은 내용의 제보가 있어서 선거관리위원회에 관련 내용을 고발했다"고 덧붙였다. 

이 같은 주장에 대해 상대 후보 측들은 의혹을 전면 부인하거나 “법적 대응에 나설 것”이라고 밝혀 사법당국 및 선거관리위원회의 신속하고 정확한 수사와 조사가 필요해 보인다. 

/박주현 기자

저작권자 © 전북의소리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