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슈 현장
전북·전남·광주 등 호남권 3개 시·도가 전라도 정도 천년을 맞아 추진한 ‘전라도 천년사’편찬사업이 식민사관에 이어 역사 왜곡, 맞춤법 엉망 논란으로 폐기 요구가 거센 가운데 동학농민혁명 왜곡 논란까지 가세해 총체적 난국으로 빠져들고 있다.
18일 동학학회와 동학농민혁명계승사업회, 정읍시의원, 정읍지역 전북도의원 등은 전북도의회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동학농민혁명 역사를 왜곡한 전라도 천년사를 당장 폐기하라”고 촉구했다.
이들은 “최근 전북도가 전라도 정도 천년을 맞아 편찬한 전라도천년사에 동학농민혁명 역사를 심각히 왜곡한 사실이 발견돼 비탄함을 금할 길이 없다“며 “동학농민혁명 역사를 왜곡한 전라도 천년사를 당장 폐기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집필자의 사료 오독 의심...‘민군’ 아닌 ‘농민군’ 용어 사용해야“

이들은 “동학농민혁명이 1894년 전라도 고부에서 시작됐고 청산, 진주 봉기는 관련 사료가 없는데도 1894년 3월 전라도 무장, 충청도 청산, 경상도 진주 등을 중심으로 봉기한 것으로 기술돼 집필자의 사료 오독이 의심된다”고 지적했다.
이어 “동학농민혁명의 시작은 고부농민봉기가 사실임에도 집필자는 전사(前史)라는 표현으로 본질을 왜곡·폄하하고 있다”고 밝힌 이들은 “민군은 농민군을 탄압했던 민보군을 의미하며 통용되는 역사 용어가 아니다”며 “민군이나 고부민군이라고 쓰게 되면 오해의 소지가 있는 만큼 ‘농민군’이라는 용어를 사용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아울러 이들은 “전라도 천년사 곳곳에서 역사 왜곡이 발견됐고 역사 용어 사용도 부적절하다”며 “전북도는 전라도 천년사의 동학농민혁명 역사를 폐기하고 새로운 집필진을 구성해 혁명의 역사를 사실에 근거해 올바르게 세우라”고 촉구했다.
전라도 천년사 편찬사업은 지난 2018년부터 집필진 213명 등 600여명이 투입, 최종 발간을 앞둔 가운데 식민사관 논란이 불거지면서 지난해 12월 21일 봉정식이 무기한 연기된 상태이다. 역사 왜곡 등의 논란이 일자 '전라도 천년사' 편찬위원회는 충분한 의견 수렴을 위해 온라인을 통한 공개 기간을 오는 7월 9일까지 두 달 더 늘린다고 밝혔다.
“역사 왜곡 이어 맞춤법도 엉망” 지적

그러나 '전라도오천년사 바로잡기 전라도민연대'는 남원을‘기문국'으로, 장수를 ‘반파국'으로 표기하는 등 일본서기에 나오는 지명을 사용해 전라도 천년사가 식민사관을 조장하고 있다며 폐기를 주장하고 있다.
여기에 광주·전남 국회의원과 시장·군수, 지방의회에 이어 진보당 등 진보진영에서도 폐기를 촉구하고 나선 데다 최근에는 오·탈자, 띄어쓰기 틀린 곳 등이 수두룩하다는 지적까지 나와 불신감이 증폭된 형국이다. 논란이 커지면서 전북 등 호남권 3개 시·도의 입장도 난감해진 상황이다.
이에 전라도천년사 편찬위원회는 지난 11일 “그동안 집필진의 노력과 학술적 성과가 폄훼되고 있다”면서 “일본서기의 지명이나 인명을 사용하면 무조건 식민사학으로 매도해서는 안 된다”고 밝혔지만 비판과 비난은 좀처럼 수그러들지 않고 있다.
한편 ‘전라도 천년사’는 지난 2018년 ‘전라도 정도 천년’을 맞아 전북도와 전남도, 광주시가 공동 추진하는 기념사업이다. 사업에는 총 24억원이 투입됐으며 전체 34권(통사 29권, 자료집 4권, 총서 1권)으로 구성돼 있다.
/박주현 기자
관련기사
- "'전라도 천년사' 맞춤법 '엉망'...역사 왜곡보다 더 '심각'"
- '전라도 천년사' 공개 기간 2개월 연장 뒤 재토론 방침...‘갈등 봉합’ 미지수
- ”역사왜곡보다는 폐기가 낫다, 즉각 폐기하라”...'전라도 천년사' 불신·비난 갈수록 '고조'
- "역사왜곡 심각, 모두 폐기해야”...전북도 주관 ‘전라도 천년사’에 분노한 광주·전남 시민단체·정치권, 전북은 '조용' 왜?
- 역사왜곡 논란 ‘전라도 천년사’, 전라북도 미숙한 행정에 대한 비판 나와
- "집필진 배제 재검증하라" vs “시민단체 주장 대응 말라”…‘전라도 천년사’ 어디로 가나?
- ‘전라도 천년사’ 봉정식 하루 앞두고 잠정 연기...‘역사 왜곡 논란’ 확대
- ‘전라도 천년사’ 봉정식 앞두고 ‘역사 왜곡’ 논란...전북도 ‘묵묵부답’ 빈축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