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초점

전북도와 광주시·전남도가 올 연말 세간에 널릴 알릴 목적으로 많은 혈세를 들여 공동 추진해 온 ‘전라도 천년사’가 발간에 앞서 ‘역사 왜곡’과 ‘행정 미숙’ 논란 등에 휩싸인 채 역사학자들과 시민사회단체들 간에 갈등만 커지는 형국이다. 

'전라도오천년사 바로잡기 전라도민연대'는 26일 전북도청 앞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전라도 천년사의 기존 집필진을 제외한 외부 전문가와 시민단체 추천 인사로 재검증위원회를 설치할 것“과 ”e북 공개 후 재검증을 거쳐 재인쇄할 것“ 등을 요구했다.

시민단체 ”재검증위원회 검증 통해 최종 수정본 재인쇄“ 요구

'전라도오천년사 바로잡기 전라도민연대'는 26일 전북도청 앞에서 지난 19일에 이어 다시 기자회견을 열고 "전라도 천년사 재검증위원회 설치" 등을 요구했다.(사진=전라도오천년사 바로잡기 전라도민연대 제공)
'전라도오천년사 바로잡기 전라도민연대'는 26일 전북도청 앞에서 지난 19일에 이어 다시 기자회견을 열고 "전라도 천년사 재검증위원회 설치" 등을 요구했다.(사진=전라도오천년사 바로잡기 전라도민연대 제공)

단체는 "전라도 천년사 편찬을 주관한 전북도와 전북연구원, 편찬위원회는 이번 사태에 대해 책임을 져야 한다"며 "천년사가 일제 식민사관으로 왜곡되면 대한민국 역사 자체가 흔들린다"고 주장했다.

그러면서 ”재검증위원회의 주관 아래 시민 공개토론회를 가질 것“과 ”e북 의견수렴과 공개토론 결과물을 바탕으로 재검증위원회에서 검증을 통해 완성된 최종 수정본으로 재인쇄할 것“을 거듭 요구했다. 단체는 또 "재검증위원회 설치 등의 요구를 거부하면 출판 금지 가처분 신청을 내는 등 강력한 행동에 나서겠다"는 강경 입장을 밝히기도 했다.

앞서 단체는 지난 19일에도 기자회견을 열어 "천년사에 전북 남원의 옛 지명을 일본 측 기록인 '일본서기'에 적힌 '기문국'(己汶國)으로, 장수는 '반파국'(伴跛國)으로 썼다"며 발간(봉정)식 취소를 요구했다. 

전북도 ”재검토·검증 필요...봉정식 잠정 연기“ 

'전라도 천년사' 표지(사진=전북연구원 제공)
'전라도 천년사' 표지(사진=전북연구원 제공)

이처럼 단체는 ”일본이 고대 한반도 남부를 지배했다는 '임나(任那)일본부'설의 근거로 쓰인 '일본서기' 속 지명을 천년사에 담은 것은 우리 스스로 임나일본부설을 인정하는 것“이라며 문제를 제기해 왔다. 

이에 대해 전북도는 21일 예정됐던 ‘전라도 천년사 봉정식’을 하루 앞둔 지난 20일 ”재검토와 검증이 필요하다“며 잠정 연기했다. 그러나 이 같은 전북도의 연기 방침은 전문가의 의견수렴 없이 진행된 ‘독단 행정’이란 비판이 나왔다. 일부 역사학자들은 "전북도가 일방적 주장만 듣고 잘못된 판단을 했다"는 비판을 제기했다. 

편찬위 ”전북도 급하게 대응하지 말고 학술적 문제 제기는 편찬위원회에서 대응“ 

이와 관련 전라도 천년사 편찬위원회는 지난 21일 긴급 임시회의를 열고 ”시민단체 주장에 전북도가 급하게 대응하지 말 것“을 요구하는 등 ”내년 1월 공식 입장을 표명하는 쪽으로 의견을 모았다“고 밝혔다. 아울러 학술적 문제 제기는 편찬위원회에서 대응해 나가기로 결정했다. 

그러나 역사서 발간을 앞두고 이처럼 의견이 분분한데 대해 이를 바라보는 도민들 시선이 따갑기만 하다. ”민간도 아닌 광역자치단체들이 공동으로 추진하는 역사 분야 사업이 허술하게 진행돼 오히려 분란만 야기시키고 있다“는 비난이 높다.  

‘전라도 천년사’는 2018년 '전라도 정도 천년'을 맞아 전북도의 주도로 전남, 광주가 공동으로 5년간 추진해 온 기념사업으로, 전체 34권(통사 29권, 자료집 4권, 총서 1권)으로 구성됐다. 여기에는 24억원의 사업비(예산)가 투입됐다. 

/박주현 기자

관련기사

저작권자 © 전북의소리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