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진단] '전주을' 국회의원 후보자 선관위 주관 방송토론회 '쟁점'

전주시 완산구 선거관리위원회가 주관한 전주을 국회의원 재선거 후보자 방송토론회가 29일 열렸지만 제한된 시간에 5명의 후보들에 대한 충분한 정책과 공약, 비전 등이 검증되지 못했다는 지적이 나온 가운데 토론 과정에서 '물품 대량 살포 의혹'이 제기돼 이목을 끌었다.

임정엽 후보, 강성희 후보 겨냥 ‘물품 대량 살포’ 의혹 제기...공방

29일 열린 전주을 국회의원 재선거 후보자 방송토론회에서 '물품 제공 의혹'을 제기한 임정엽 후보(전주MBC 화면 캡처)  
29일 열린 전주을 국회의원 재선거 후보자 방송토론회에서 '물품 제공 의혹'을 제기한 임정엽 후보(전주MBC 화면 캡처)  

이날 토론회 열기가 한층 달아오를 무렵 무소속 임정엽 후보는 갑자기 몇 장의 사진을 꺼내 들고 "선거운동원들이 금품을 살포한 현장"이라며 강성희 진보당 후보를 겨냥해 책임 공방을 벌였다.

먼저 임 후보는 “적어도 지도자라면 자기가 한 말에 책임을 져야 한다”며 김경민 국민의힘 후보를 향해 “전북의 정치 1번지를 전주을이라고 한다. 그런데 요즘에 금품(물품) 살포가 대량으로 이뤄지고 있다는 이야기들이 있는데 혹시 선거운동원 중에 그런 사람이 있느냐”고 물었다. 

이에 김 후보는 “당연히 없다”고 답했고, 강성희·김호서 후보 역시 “없다”고 답했다. 그러자 임 후보는 “없어야 한다고 생각한다. 그런데 그런 후보가 있다면 후보 사퇴 의사가 있느냐”고 재차 물었다. 

이에 대해 김호서·강성희 후보는 “당연히 사퇴해야 한다”, “그런 일이 있다면 책임 지겠다”고 말했다. 그러자 임 후보는 “객지 사람들이 선거운동을 하면서 물품을 점포에서 나누어 주는 모습”이라며 사진들을 다시 꺼내 들고 “특정 후보의 선거운동원이라면, 그래서 지금 체포가 돼서 조사를 받는다면 어떻게 생각하느냐”고 되물었다. 

강성희 후보 "누가 언제 무엇을 누구에게 전달했는지 구체적으로 말하라” 

29일 열린 전주을 국회의원 재선거 후보자 방송토론회에서 임정엽 후보가 강성희 진보당 후보를 향해 '선거운동원의 물품 살포 의혹'을 제기했다.(전주MBC 화면 캡처)
29일 열린 전주을 국회의원 재선거 후보자 방송토론회에서 임정엽 무소속 후보가 강성희 진보당 후보를 향해 '선거운동원의 물품 살포 의혹'을 제기했다.(전주MBC 화면 캡처)

그러자 강성희 후보는 “공영방송에서 '체포해서 조사 받는다'고 얘기하면 안 된다”며 “누가 언제 어디서 무엇을 어떻게 전달했는지 자세히 밝혀달라”고 요구했다. 그러자 임 후보는 “근거 없이 제시했다면 책임지겠다”며 “삼천동에서 어제 제보된 것으로, 다양한 물건을 살포한 현장을 찍은 사진”이라고 말하면서 사진을 재차 들어 보였다. 

이에 대해 강 후보는 "막연한 주장보다는 물품 살포의 일시와 장소 등을 구체적으로 밝히라"고 거듭 지적하며 맞대응했다. 

강성희 후보 선대위 측 "당원이 판촉용 쌀 돌려" 해명 

한편 이와 관련해 전주을 국회의원 재선거 과정에서 선거운동원이 유권자에게 실제로 물품을 건넨 정황이 포착돼 경찰이 수사에 나섰다. 30일 전북경찰청에 따르면 전날 유권자에게 쌀을 건넨 혐의(공직선거법 위반)로 진보당 강성희 후보 측 선거운동원 2명을 붙잡아 경찰이 조사 중인 것으로 밝혀졌다. 

경찰은 제보를 받고 주변 폐쇄회로 등을 분석해 이들을 긴급 체포했다고 밝혔다. 이들로부터 쌀을 받은 한 유권자는 "후보를 도와 달라고 했다"고 경찰에 진술한 것으로 알려졌다. 

전북경찰청 전경
전북경찰청 전경

'물품' 전달, 선거와 직접 관련성 있을 경우 '파장' 예상

이에 대해 진보당 측은 즉각 "당원이 거래처에 판촉용 보리쌀을 돌렸다"고 해명했다. 진보당 강성희 후보 선거대책본부의 전권희 정책위원장은 이날 전북도의회에서 긴급 기자회견을 열고 "어제(29일) 보리쌀을 돌리다 긴급 체포된 2명은 진보당원과 선거운동원"이라며 "전남 해남군에서 방앗간을 하는 당원이 전주에 온 김에 거래처 등 다섯 군데에 1㎏짜리 보리쌀을 돌리면서 판촉 활동을 했다"고 해명했다. 

또한 "강성희 후보 지지를 부탁한 것은 아니다"고 전 위원장은 강조했다. 그러나 경찰 조사 결과, 만약 선거와 직접적인 관련성이 있을 경우 적지 않은 파장과 후유증이 예상된다. 

/박주현 기자

관련기사

저작권자 © 전북의소리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