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큐레이션] 2022년 7월 14일
불법 수의계약으로 물의를 빚은 이기동 전주시의회 의장이 스스로 윤리특별위원회 구성을 공표했지만 오히려 비난의 목소리가 높다. 민주당 일색인 전주시의회 윤리위에서 경징계를 받아 비판을 피해가자는 생각 아니냐는 따가운 비판이 일고 있다.
이기동 전주시의장, 민주당 일색 '윤리위 심사' 셀프 요구...결과는?

이기동 전주시의장은 13일 시의회에서 열린 제394회 임시회 제1차 본회의에서 윤리위 회부를 직권으로 결정했다. 이날 이 의장은 "전주시의회 윤리강령 및 행동강령 조례 위반 여부와 관련하여 윤리특별위원회에 회부하여 심사를 하고자 한다”고 밝혔다.
따라서 이 의장에 대한 징계 건은 법조계와 시민사회단체 등으로 구성된 윤리심사자문위원회 심사를 받게 되며 윤리특별위원회를 통해 징계 수위가 논의될 예정이다.
감사원 감사 결과 지난 2016년부터 2020년까지 5년간 전주시는 이 의장과 그의 아버지가 대표인 건설사와 7억 4,000여만원 상당의 공사 18건을 수의계약한 것으로 드러났지만 민주당은 6·1 지방선거에서 그를 공천해 시민사회단체의 거센 비난을 샀다.
더욱이 지난 3월 감사원 적발로 문제가 드러났음에도 지난 11대 전주시의회는 흐지부지 임기를 끝낸데 이어 이번 12대 전주의회는 아예 그를 의장으로 선출해 출발부터 곱지 않은 시선이 쏠리고 있다. 특히 민주당 전주시의원들은 논란과 비판을 무릅쓰고 몰표로 이 의장을 선출해 더욱 따가운 눈총을 받고 있다.
이 때문에 전주시의회 윤리위가 제 역할을 할 수 있을지 강한 의문이 일고 있다. 윤리위 위원장을 비롯해 윤리위에 포함된 상임위원장들이 모두 민주당 소속이기 때문이다.
“사퇴요구 무마하려는 꼼수...시민사회 요구와 너무 동떨어져”

게다가 현행 시의회 윤리위 징계로 가장 높은 처벌은 '출석정지 30일'이라는 점에서 시민단체들이 요구하는 '의장직 또는 의원직 사퇴' 요구와는 너무 동떨어진 징계라는 지적도 나온다.
이문옥 전주시민회 대표는 "이기동 의원이 아무리 윤리특위를 구성하고 자문위원회를 객관적이고 투명하게 구성한다고 해도 신뢰할 수 없는 절차"라며 “거센 비판을 피하겠다는 또 다른 꼼수에 불과하다”고 강하게 성토했다.
앞서 전주시민회 등 지역 시민단체들은 이해충돌 문제 등을 제기하며 이 의장의 사퇴를 촉구했다. 또 박형배 동료 시의원은 개원하자마자 이 의장 사퇴를 촉구하는 시위를 벌이기도 했다.
/박주현 기자
관련기사
- 시민사회단체 활동가들의 용기 있는 '선거 브로커' 고발...지역언론 보도는 소극적, 왜?
- 불법·특혜 논란 휩싸인 전주시의장, 어떻게 시정을 감시할 수 있을까?
- 제12대 지방의회 개원은 했지만 '독식''불법' 얼룩...“실망·개탄”
- 민주당, 불법수의계약 논란 당사자 전주시의회의장 선출 강행...비난 여론 '확산'
- ‘불법 수의계약’ 논란 이기동 당선자, 민주당 전주시의장 후보 선출...거센 저항 '자초'
- 이기동·소병직 전주·익산시의원 불법 수의계약 적발...이, 민주당 공천 심사 통과 ‘논란’
- 감사원 '불법' 적발 불구 전주시의회 이기동 의장 징계 외면, '공분' 확산
- 전주시의회, 불법 수의계약 논란 이기동 의장 징계 없이 마무리...“제식구 감싸기” 비난
- 농민·시민단체 “이기동 전주시의장 '경자유전 원칙' 위배, 농지 투기...즉각 사퇴하라”
- 정의당 전북도당 “민주당은 이기동 전주시의장의 ‘부동산 투기 의혹’ 입장 밝혀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