진단

중앙선거관리위원회가 20대 대통령선거 사전투표 관리·운영에서 총체적인 허점을 드러내 비난이 고조되는 가운데 전북지역에서는 이름이 적힌 투표 용지가 배부돼 논란이 확산되고 있다.

전북도선거관리위원회(전북선관위)는 사전 투표 둘째 날인 5일 코로나19 확진자의 투표 시간에 전주시 덕진구 혁신동 투표소에서 선거인 이름이 적힌 투표 용지가 14장 발견됐다고 밝혔다.

전주덕진 혁신동 투표소, 14명에 이름 적힌 투표 용지 배부 

전라북도선거관리위원회 전경
전라북도선거관리위원회 전경

이름이 적힌 투표 용지를 받은 14명 가운데 8명은 폐기 후 재출력한 투표 용지에 다시 기표했으나 6명은 이름이 적힌 투표 용지에 기표하고 돌아가 선관위의 투표 관리에 난맥상을 드러냈다. 이들 6명은 관내 선거인과 관외 선거인 각각 3명씩인 것으로 나타났다.

선관위 조사 결과, 해당 투표소 선거사무원은 코로나19 확진자 본인에게 정확하게 투표용지를 나눠주겠다며 용지 뒷면에 확진자 이름을 적어 14명에게 배부한 것으로 파악됐다. 

"엄정하고 공정해야 할 투표 관리...있을 수 없는 일" 비난 

그러나 유권자들의 항의 등으로 8장은 현장에서 폐기하고 투표용지를 재발급했으며, 이미 투표가 끝난 나머지 6장은 개표 당일 선관위 회의를 거쳐 무효 여부를 판단한다는 계획이다.

이에 대해 전북선관위 측은 “확진된 유권자가 한꺼번에 몰리면서 사무원이 실수한 것으로 보인다”고 해명했지만 “사전투표소에서 선거인의 이름이 적힌 투표 용지가 발견돼 폐기 후 재발급하는 소동이 벌어진 것은 있을 수 없는 일"이라는 비난과 함께 "엄정하고 공정해야 할 투표 관리에 문제점을 드러낸 결과에 누군가 책임을 져야 한다"는 항의가 이어졌다. 

한편 4일과 5일 양일간 진행된 대선 사전투표에서 코로나19 확진자 및 격리자들의 불만과 항의가 곳곳에서 이어졌다. 일반인들과 접촉을 최소화하기 위해 야외에 기표소를 설치했지만 그 수가 확진된 유권자들을 시간 내에 수용할 수 있는 수준이 아니었기 때문이다.

또한 절차가 복잡해 투표장에 나선 확진자들이 찬바람을 맞으며 오랜 시간 동안 길거리에 방치돼 선관위의 부실한 준비와 안이한 대응이 도마에 올랐다.

선관위 중립성 위배 논란, 정치권 후폭풍 우려 

KBS전주총국 3월 6일 보도(화면 캡처)
KBS전주총국 3월 6일 보도(화면 캡처)

특히 5일 코로나19 확진자들과 격리자들의 투표 용지가 선거관리원들을 거쳐 간접적으로 투표함에 들어간 것이 문제가 됐다. 선관위의 사전투표 부실 관리 논란은 이날 오후부터 전북지역은 물론 전국에서 발생했다. 

코로나19 확진자들과 격리자들의 투표 용지를 옮기는 과정에서 바구니, 쇼핑백, 종이상자 등이 사용된 것이 불신을 키웠다. 선관위는 법과 규정상 어쩔 수 없는 조치였으며 절대 부정의 소지는 있을 수 없다고 해명했지만, 사전에 이러한 문제점이 일어날 수 있을지 예측조차 못했던 것으로 확인되면서 비난이 거세다. 

더구나 ‘박빙’, '초접전' 대결 속에서 치러지는 대통령선거에서 이번 사건은 선관위의 중립성 위배 논란은 물론 정치권에 큰 후폭풍을 가져올 수도 있다는 우려가 높다.

/박주현 기자

저작권자 © 전북의소리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