진단

새만금 국제공항 관계부처 회의에서 군산공항과 새만금 국제공항을 잇는 유도로 개설을 요구한 것으로 알려졌다는 전북CBS의 보도가 3회 째 방송되면서 파장이 크다.
전시상황 등 비상시 새만금 국제공항 활주로를 미 공군이 사용하겠다는 것이어서 충격이 크다. 그런데 정작 전라북도 측은 아직 확정된 것이 없다고 밝히기만 할 뿐 의혹이 증폭되는 데도 미온적인 태도로 일관하고 있다.
전북CBS는 새만금공항의 통합 관제권도 미 공군 측이 가지게 되면 국제 여객기 입·출항(특히 중국)에 제약이 따를 수 있다는 전문가들의 입장을 전달하면서, 새만금 국제공항의 민영 공항 역할과 동북아 군사 긴장에 대한 우려가 있다고 보도했다.
전북CBS는‘새만금 국제공항 입지 논란’ 세 번째 편 "군사 훈련 우선 주의, 미군과 협의로 풀어야"란 제목의 기사를 22일 연속 보도했다.
기사는 “미군 기지와 바짝 붙어 있는 군산 공항은 다른 지역과 비교해도 유독 높은 항공기 지연율을 보이고 있다”면서 “새만금 국제공항까지 신설될 경우 피해가 더 커질 것으로 예상돼 미군과 협의를 거쳐 근본적인 대책을 서둘러 마련해야 한다”고 지적했다.
기사는 또 “한국공항협회의 항공시장동향에 따르면 군산공항의 여객기 지연률이 전국 공항 가운데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면서 “지난 2017년부터 올들어 현재까지 군산공항의 여객기 지연율은 14.3%로 국내 14개 공항의 평균 지연율 9.9%를 크게 웃돌았으며, 기상 악화 등의 이유가 거론되고 있지만 이중에는 미국 군사 훈련으로 인한 지연도 적지 않다”고 밝혔다.
이어 기사는 “전국에서 유일하게 군산공항 활주로는 한국 민항기와 미국 전투기가 함께 사용하고 있다. 미국이 군사훈련에 나설 경우 민항기 이착륙이 제한될 수밖에 없다”며 “그런데 여기에 신설된 새만금 공항의 활주로까지 미군이 사용하게 될 경우엔 피해는 고스란히 이용자들에게 돌아간다”는 내용도 강조했다.
전라북도는 이르면 2028년 새만금 국제공항을 완공한 뒤 중국과 일본 등으로 비행기를 띄울 계획이라고 발표한 바 있다. 국토부 용역 결과, 이번 계획이 실현되면 2030년 74만명, 2040년 81만명, 2055년 84만명의 항공 수요가 있을 것으로 내다봤다.
따라서 전문가들은 새만금 국제공항의 미 공군 사용은 수십만 명에게 생길 수 있는 피해를 막기 위해 사전 협의가 반드시 필요하다고 조언한다. 그러나 전북도는 새만금 국제공항 건설이 2020년 국가예산에 반영되면서 사업 착수 23년 만에 하늘길을 여는 첫 관문에 진입했다고 그동안 대대적으로 홍보했지만 미 공군과의 협의사항이나 주한미군의 이러한 움직임은 전혀 언급하지 않았다..
전북도는 “7전 8기의 우여곡절을 겪은 새만금 국제공항 건설사업이 2020년 예산에 40억 원(기본계획수립)이 반영됐다”며 “1996년 사업 타당성 조사 착수 이후 23년 만이다”라는 점에만 무게를 두었을 뿐이다.
이에 덧붙여 “새만금은 국제공항 건설로 동북아 물류 중심지 경쟁에서 우위를 차지하는 것은 물론 인접 국가와의 접근성 향상으로 글로벌 비지니스 중심지로 도약할 수 있는 발판을 확보하게 됐다”는 점을 앞세워 자랑했지만 새만금 국제공항을 잇는 유도로 개설을 요구한 것으로 알려지면서 전북도를 향한 도민들의 시선이 곱지 않다.
더구나 새만금 국제공항은 현재 주한미군의 공군기지인 군산공항에서 북서쪽으로 불과 1.3km 떨어진 지역에 건설될 예정이다. 너무 가까운 거리여서 당초 우려했던 바가 현실로 다가왔는 지적도 나온다. 미군이 새만금 국제공항의 활용을 충분히 탐낼 만한 위치라는 점에서 초기부터 이를 염두에 둔 추진계획 아닌가하는 의구심마저 들게 한다.
전북도정의 최고 책임자인 송하진 지사는 도민들 앞에 솔직하고 성실한 답변을 내놓을 차례다.
/<전북의소리> 편집국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