진단

전주 에코시티 개발 조감도
전주 에코시티 개발 조감도

전주 에코시티 개발사업에 전주시가 특정 건설사에 과도한 이익을 몰아줬다는 시민단체의 주장에 시민들의 관심이 쏠리고 있다. 특히 “위험은 전주시가 지고, 수익은 해당 사업의 컨소시엄 참여 건설사가 얻었다”는 주장과 비판에 대해 전주시의 책임 있는 조사와 해명이 필요하다는 지적이 나오고 있다.

특히 최근 성남시 대장지구 개발을 둘러싼 의혹이 대선 정국의 최대 논쟁거리가 된 가운데 전주 에코시티 특혜 논란이 제기된 것이어서 더욱 뜨거운 관심을 모으고 있다. 

더구나 전주 에코시티 사업은 무려 1,700여억원의 적자가 났다는 게 전주시의 입장이인 반면, 전주시민회(대표 이문옥)는 “비슷한 시기, 전북개발공사와 힌국토지주택공사(LH)가 추진한 만성지구사업의 경우 최다 4,000억원의 흑자를 달성했는데 에코시티는 1,700억원대의 적자라는 것은 이해할 수 없다”는 엇갈린 주장이어서 논란이 커지고 있다. 

에코시티 특혜 논란불구 전주시 공식 해명은커녕 자료공개 거부 비난 

전주시청 전경
전주시청 전경

게다가 에코시티 개발에 참여한 컨소시엄에 전주시가 제공한 특혜가 지나치게 과다하다는 주장이 제기되면서 문제가 확대되는 양상이다.

전주시민회는 “용적률을 높여주고 체비지도 헐값에 수의로 계약해줬지만 전주시는 컨소시엄이 적자사업을 했다며 부근 천마지구 개발 사업권을 주고, 이전 필요성도 없는 항공대를 무리하게 도도동으로 이전해주었다”고 주장한데 대해 시민들도 "전주시는 명확한 해명과 함께 필요하다면 진상조사에 응해야 할 것"이라는 반응이 나오고 있다. 

이와 관련해 전주시 관계자는 “에코시티 개발은 다른 개발지역과는 사업방식 등 상이한 부분이 있다”면서 “컨소시엄 참여 업체에 특혜를 주기 위한 것이 아니다”고 일부 언론에 밝혔다. 하지만 전주시민회는 5일 성명을 내고 전주시의 에코시티 개발사업의 특혜 의혹과 함께  불투명한 행정을 비판했다.

“위험은 전주시가, 수익은 컨소시엄 참여 건설사가?”...시민들 분노 

전주시민회가 5일 발표한 성명서
전주시민회가 5일 발표한 성명서

전주시민회는 이날 성명에서 “에코시티 개발사업과 관련해 전주시 담당 공무원들과 이 사업 시행사인 에코시티(주) 양측은 사업 관련 적자가 약 1,700억원이라 공공연히 밝히고 있다”면서 “전주시민회가 사업과 관련된 내용을 정보공개 청구했으나 전주시는 변경된 2차 협약서 또는 3차 협약서를 미공개하고 있으며, 예비군부대 이전부지인 천마지구 사업 협약서도 미공개하고 있다”고 주장했다.

그러면서 전주시민회는 “김승수 시장 임기 초기, 덕진종합경기장 민자유치사업 관련 전주시와 롯데쇼핑 간의 협약서와 일체 문서 정보공개 청구소송에서 전주지방법원의 판단에 따라 협약서 정보공개 부문에서 승소한 바 있다”면서 “이번 전주시의 에코시티 2차와 천마지구 도시개발 사업 협약서 미공개는 법원의 판단을 무시한 위법 행위이며, 전주시민을 무시한 불투명한 도시계획 행정으로 규탄하지 않을 수 없다”고 비판했다. 

이문옥 전주시민회 대표는 “위험은 전주시가 안고, 수익은 (주)태영 컨소시엄 참여 건설사가 갖는 개발사업에 대해 진상조사위원회를 꾸려야 한다”고 거듭 강조했다. 

이에 대해 시민들은 전주시의 공식적인 해명도 없고 오히려 정보를 미공개한데 대해 따가운 눈총를 보내고 있다. 이모 씨(55) 등 시민들은 “전주시가 에코시티 특혜 논란에 대해 떳떳하다면 당당하게 나서서 해명하고 관련 자료를 공개해야 마땅하다”며 “감추면 감출수록 의혹은 더욱 커지기 마련”이라고 비난했다. 

/박주현 기자

관련기사

저작권자 © 전북의소리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