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슈 초점

남원시민들과 시민단체 관계자 등 200여명은 24일 국회의사당 앞에서 상경 집회를 열고 “의대 정원 확대를 내세우는 정부의 강한 의지에 공공의전원 설립이 또 뒷전이 될 수 있다”며 “의대정원과 무관한 남원 국립의전원법을 즉각 통과시키라”고 주장했다.(사진=남원시의회 제공)
남원시민들과 시민단체 관계자 등 200여명은 24일 국회의사당 앞에서 상경 집회를 열고 “의대 정원 확대를 내세우는 정부의 강한 의지에 공공의전원 설립이 또 뒷전이 될 수 있다”며 “의대정원과 무관한 남원 국립의전원법을 즉각 통과시키라”고 주장했다.(사진=남원시의회 제공)

남원시민들과 시의회 의원 및 시민단체들이 24일 국회 앞에서 국립의전원의 조속한 설립을 촉구하고 나서 이목을 끌었다. 

전북도에서 4년 만에 국정감사가 열리던 이날 남원시민과 시의원, 시민단체 관계자 등 200여명은 서울 여의도 국회의사당에서 대규모 집회를 열고 2018년 서남대 폐교 이후 수년째 제자리걸음인 남원 국립의전원의 법률안 통과와 설립을 한목소리로 촉구했다.

남원시민·시의원 등 200여명 “국립의전원 통과, 의대 정원 확대보다 먼저 진행돼야”

남원시민들과 시의원, 시민단체 관계자들은 24일 국회의사당 앞에서 상경 집회를 열고  "국립의전원법을 즉각 통과시키라”고 주장한 뒤 일부 참가자들은 삭발을 실시했다.(사진=남원시의회 제공)
남원시민들과 시의원, 시민단체 관계자들은 24일 국회의사당 앞에서 상경 집회를 열고  "국립의전원법을 즉각 통과시키라”고 주장한 뒤 일부 참가자들은 삭발을 실시했다.(사진=남원시의회 제공)

이날 참가자들은 “의대 정원 확대를 내세우는 정부의 강한 의지에 공공의전원 설립이 또 뒷전이 될 수 있다”며 “의대정원과 무관한 남원 국립의전원법을 즉각 통과시키라”고 주장한 뒤 일부 참가자들은 삭발을 실시했다. 

이들은 이날 오전 8시부터 상경해 오후 1시부터 진행된 국회 앞 집회에서 남원 국립의전원 추진 경과 보고와 삭발식, 성명서 발표에 이어 남원시의회 결의안 발표, 남원 국립의전원 법안 통과 및 설립 구호 제창 등의 순으로 진행했다. 

이날 집회에는 남원시민들과 함께 더불어민주당 한병도 전북도당위원장, 김성주 정책수석부의장, 국민의힘 이용호 국회의원을 비롯해 전북도의회 이정린 부의장, 남원시의회 전평기 의장과 시의원 등이 참여했다.

이들은 성명을 통해 “남원 국립의전원은 2018년 정부 방침으로 확정됐고 부지 선정까지 마친 상태”라며 “국립의전원은 현재의 의과대학 선발 정원을 늘리는 게 아니라 폐교된 서남대 의대 정원을 이어받아 설립한다는 점에서 의사 정원 증원과는 무관하다”고 강조한 뒤 “남원 등 지리산권에는 상급종합병원이 없는 만큼 남원 국립의전원법 통과가 의대 정원 확대보다 먼저 시급히 진행돼야 한다”고 주장했다.

“국립의전원은 남원에 특혜를 주라는 것 아니라 우리가 갖고 있던 것 찾겠다는 정당한 권리”

사진=남원시의회 제공
사진=남원시의회 제공

앞서 남원시의회는 국립의전원 설립 지원을 위해 지난해 11월 ‘남원 국립의전원 유치 지원 특별위원회’(위원장 강인식)를 구성하고 “의료 취약지역인 남원뿐만 아니라 지리산권 의료체계 붕괴의 위험을 막기 위해 관련 법률안 통과 등 설립·유치에 정부와 국회가 적극 나서줄 것”을 촉구해왔다.

특별위원회는 지난 2월에는 지리산권 6개 지방자치단체 의회를 방문해 현재 지리산권의 열악한 의료환경에 대한 공감대를 형성하는 등 남원 국립의전원 설립에 대한 당위성을 적극 설명했다. 또한 2022년 9월부터 올 10월 현재까지 남원 국립의전원 설립 촉구 결의안을 3차에 걸쳐 의결해 관계 부처에 촉구했으나 전혀 논의조차 없자 다시 이번 집회에서 결의안을 발표한 것이다. 

이날 전평기 남원시의회 의장은 “남원 국립의전원은 전북과 남원에 특혜를 주라는 것이 아니라 우리가 갖고 있던 것을 찾겠다는 정당한 권리이며 당초 당·정·청 합의사항 이행을 촉구하는 것”이라며 “필수 의료인력을 양성해 필수 의료인력을 제공할 수 있는 국립의전원 설립을 온 국민과 남원시민들의 염원을 담아 법률안이 통과될 때까지 지속적으로 촉구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박주현 기자

관련기사

저작권자 © 전북의소리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