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늘의 전북민언련 뉴스 콕-2023.9.20

전주시가 전주종합경기장 개발 사업 변경을 추진하고 있죠. 전시컨벤션센터의 규모를 늘려 롯데 측이 새로 지어주는 대신에 전주시는 종합경기장 부지 일부를 롯데 측에 대물변제(사업비 대신 부지로 제공)하는 형태입니다. 총 사업비 적절성 여부에 대한 지적과 함께, 기존에 타 시도에 만들어진 컨벤션센터들의 수익이 좋지 않아 파급 효과를 객관적으로 분석해야 한다는 지적도 나오고 있습니다.

#전주시 컨벤션센터 계획, 다른 지역 컨벤션센터와 비교해보니

전주시 종합경기장 이전 및 복합단지 개발사업 변경계획 동의안을 살펴보면 전주시가 구상하는 컨벤션센터는 총사업비 3,000억 원(대물변제 부지 2,000억 원, 전주시 자체 부담 1,000억 원)에 전시공간 규모는 20,000㎡(실내 10,000㎡, 실외 10,000㎡), 회의공간 규모는 5,286㎡입니다.

전시산업발전법에 따라 한국전시산업진흥회에 등록돼 정부의 지원을 받는 전국의 컨벤션센터 18곳을 기준으로 각 컨벤션센터 홈페이지 및 언론 보도를 통해 규모와 총사업비 등을 비교해 봤습니다.(순서는 실내전시면적 규모 순)

대략적으로 비교해 봐도 비슷한 규모로 최근 5년 사이 개관한 다른 지역의 컨벤션센터 실내전시면적 규모와 비교해 볼 때 총 사업비가 높은 편임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자세한 내용은 첨부 파일 참고)

#전국 지자체 컨벤션센터 경쟁 중, 객관적 경제 파급효과 분석 필요

9월 19일 자 KBS전주총국 뉴스9 보도 화면 편집
9월 19일 자 KBS전주총국 뉴스9 보도 화면 편집

19일 KBS전주총국은 “민선 8기 전주시는 대규모 전시컨벤션센터의 필요성을 수시로 강조해왔다. 다른 지방자치단체들도 전시컨벤션센터에 공을 들이고 있다.”라고 보도하면서, “문제는 기존 컨벤션센터들의 수익이 좋지 않다는 점”이라고 보도했습니다.

“전국에 20개에 가까운 컨벤션센터가 운영 중인데, 코로나19의 영향도 있지만 비수도권 컨벤션센터의 가동률은 상대적으로 부족하다. 지난해 김대중컨벤션센터 가동률은 50% 정도, 대전컨벤션센터는 40% 정도로 알려졌다.”라며, 이로 인한 적자를 결국 지방자치단체가 감당해야 해 객관적인 파급 효과 분석이 필요하다는 겁니다.

실제로 강원도는 레고랜드 옆 임시주차장 부지에 국제전시컨벤션센터 건립을 추진하다가 지난해 잠정 중단한다고 밝혔는데요, 지난해 9월 강원도민일보는 “김진태 도지사는 예산상의 이유 등으로 컨벤션센터 건립에 회의적인 입장을 고수해 온 것으로 전해졌다.”라고 보도했습니다. 앞서 지난해 7월 박윤미 강원도의원도 “컨벤션센터를 굳이 할 계획이냐, 꼭 해야 한다고 생각하느냐”라고 질문하는 등 강원도의회 안에서도 반대 목소리가 나왔습니다.

2021년에도 시민사회단체와 문화예술인들이 컨벤션센터 건립 예산안을 부결시키라고 요구하는 등 지역 사회에서도 반대 움직임이 있었는데요, “1490억 원이라는 천문학적 혈세낭비와 500억 원에 이르는 천문학적 부당이득으로 얼룩졌다.”, “유적지 세계문화유산에 초대형 건축물을 짓는 걸 본적이 있는가”라고 주장했습니다.

현재 전주시의회에 제출된 협약안과 관련 전주시의회의 꼼꼼한 논의 결과가 필요한 상황입니다.

[KBS전주총국] “지역경제 파급 효과 때문에”…전국 지자체 ‘컨벤션센터 경쟁’(9/19, 한주연)

[강원도민일보] "국제컨벤션센터, 수익 낼 수 있는 사업 아니다"(2022/7/8, 이설화)

[강원도민일보] 강원국제컨벤션센터 추진 중단… 부지 활용법 골몰(2022/9/28, 정승환)

[뉴시스] 시민사회·야당, 강원국제전시컨벤션센터 예산안 부결 촉구(2021/4/7, 김경목) 

/전북민주언론시민연합

※<전북의소리>는 전북민주언론시민연합의 ‘모니터 보고서(전북 주요뉴스 '피클')를 제휴해 게재하고 있습니다. 해당 글은 <전북의소리> 보도 내용과 일치하지 않을 수 있습니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전북의소리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