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초점

제43주년 이세종 열사 추모식이 17일 전북대학교 민주광장에서 열렸다.(사진=전북대 제공)
제43주년 이세종 열사 추모식이 17일 전북대학교 민주광장에서 열렸다.(사진=전북대 제공)

’다시 살아 하늘을 보고 싶다’

올해로 43주년을 맞은 이세종 열사 추모식이 17일 전북대학교에서 열렸다. 이날 오후 5시 전북대학교 민주광장에서 ‘오월의 정신을, 오늘의 정의로’라는 주제로 5·18 민주화 운동 기념식과 이 열사 추모식이 함께 진행됐다. 

이날 기념·추모식에는 양호봉 전북대 총장을 비롯해 김종훈 전라북도 경제부지사와 서거석 전라북도 교육감, 이원택·양경숙 국회의원 시민단체 관계자, 전북대 학생 등 100여명이 참석했다.

17일 전북대에서 추모식...”이세종 열사 역사 계승에 최선“

17일 전북대 민주광장에서 ‘오월의 정신을, 오늘의 정의로’라는 주제로 5.18 민주화 운동 기념식과 이 열사 추모식이 열렸다.
17일 전북대 민주광장에서 ‘오월의 정신을, 오늘의 정의로’라는 주제로 민주화운동 기념식과 이 열사 추모식이 열렸다.

이날 기념·추모식에는 전북대 총장을 비롯한 보직자들과 재학생, 전북지역 5·18 관련 단체 관계자들이 참여해 이 열사가 남긴 고귀한 뜻을 기리는 시간을 가졌다. 양 총장은 추모사를 통해 “이세종 열사는 우리나라 민주화 운동, 역사 그 자체다. 우리가 오늘날 이렇게 마음 놓고 생활할 수 있는 것도 열사의 희생이 있었기 때문”이라며 “역사의식을 갖고 미래를 이끄는 창의인재 양성에 최선을 다하고, 조만간 추진될 학생회관 개축사업에서도 이세종 열사의 기념공간을 마련하는 등 역사 계승에 최선을 다하겠다”고 말했다.

이날 이 열사의 전라고등학교 8년 후배인 김종훈 전북도 경제부지사는 “5·18민주화운동의 참된 의미를 되새기며 이 땅의 자유와 정의, 민주주의를 위한 선열들의 희생을 잊지 않을 것”이라고 말했다.

전북대 박물관, 6월 말까지 이세종 열사 추모·사진전

이세종 열사 추모전이 열리는 전북대 박물관(사진=전북대 제공)
고 이세종 열사 추모 사진전이 열리는 전북대 박물관(사진=전북대 제공)

참석자들은 문화공연을 관람하고 2019년 11월에 꾸려진 ‘녹두꽃시민합창단’의 노래 <임을 위한 행진곡>, <그날이 오면>, <나 하나 꽃 피어> 등을 함께 불렀다. 

고 이세종(당시 20·농학과 2년) 열사는 1980년 5월 17일 전북대 제1학생회관에서 ‘비상계엄 철폐 및 전두환 퇴진’을 요구하며 농성하던 중 18일 0시부터 비상계엄이 전국으로 확대되면서 계엄군이 교내로 진입하자 학생회관 옥상으로 달아났다. 그 뒤 18일 새벽 6시께 학생회관 옆에서 온몸이 피투성이로 숨진 채 발견됐다. 경찰은 사인을 ‘단순 추락사’로 발표했으나 시신 여러 군데에서 피멍이 발견돼 계엄군에 의한 집단 폭행 의혹이 제기됐다. 이후 불의에 항거하다 숨을 거둔 이 열사는 5·18 최초 희생자로 인정되고 뒤늦게 국립 5·18민주묘지에 안치됐다.

전북대 박물관에선 6월 말까지 이 열사 추모 사진전이 열린다. 사진전을 통해 신군부 세력에 맞섰던 전북지역 민주화운동과 이 열사의 유품, 당시 신문 보도 등이 사진으로 제작 전시된다. 이어 25일 전북대국제컨벤션센터에서는 전북지역 민주화운동 관련 학술제가 열린다.

전국 최초 고교생 '5·27 시위' 기념 행사...27일 전주신흥고에서

원광대에서도 오는 21일 임균수 열사 추모식이 열린다. 당시 원광대 한의대에 재학중이던 임 열사는 고향인 광주 전남도청 앞 시위에 참가했다 계엄군 발포로 숨을 거뒀다. 이후 임 열사의 부친은 장학재단을 설립해 30여년간 원광대에 장학금을 지원하는 등 연을 이어가고 있다.

이밖에 전주신흥고에서는 1980년 5월 당시 전국 최초의 고교생 시위였던 '5·27 시위'를 기념하는 행사를 27일 개최할 예정이다. 전북지역의 5·18 추모행사를 주관하는 전북위원회에는 5월 동지회를 비롯해 전북민중행동, 전북시민사회연대회의, 전북지역대학민주동문협의회, 전북대 총동창회, 전라고 총동창회, 신흥고 총동창회 등 도내 120여개 기관 및 단체가 참여하고 있다. 

/박경민 기자

저작권자 © 전북의소리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