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성희 진보당 전주을 국회의원 예비후보 논평 발표
성난 민심에 은행들이 대출금리 추가 인하에 나섰지만 시늉에 불과하다는 주장이 제기됐다. 아울러 예대금리차 공시제도 도입 이후 예대금리차가 가장 높은 은행이란 오명을 벗지 못하고 있는 전북은행은 대출금리 인하에 신속히 나서야 한다고 촉구했다.
강성희 진보당 전주을 국회의원 재선거 예비후보는 22일 논평을 내고 “지난해 은행들이 이자 장사로 40조의 수익을 내고 역대급 성과급 잔치를 벌인 것에 대해 국민의 분노가 극에 달하자 뒤늦게 대출금리를 인하하는 시늉을 했다”며 “문제는 은행이 ‘신규 대출만 금리 인하’하는 ‘꼼수’를 쓰는 것”이라고 비판했다.
이어 “이번 대출금리 인하는 기존 대출자에게는 적용되지 않고 신규 대출자에게만 적용된다”는 강 예비후보는 “기존 대출자의 경우에는 처음 대출 계약 때 이미 가산금리·우대금리를 책정했으므로 중간에 바꾸기 힘들다는 것이 은행들의 입장”이라며 “고금리에 고통받는 사람은 ‘기존 대출자’다. 은행의 이자 장사에 고통받는 사람도 ‘기존 대출자’다. 이 사람들을 뺀 대출금리 인하가 무슨 의미가 있는가”라고 개탄했다.
또한 “지금 당장 기존 대출자의 금리를 전면 인하하라”고 촉구한 강 예비후보는 “은행은 고금리 고통받는 국민을 위해 사회적 책임을 다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아울러 “전북은행도 대출금리인하에 즉시 동참해야 한다”고 지적한 강 예비후보는 “전북은행은 은행의 예대금리차 공시제도 도입 이후 예대금리차가 가장 높은 은행이란 오명을 아직도 벗지 못하고 있다”고 비판했다.
그러면서 “전북은행이 버릇처럼 ‘중저신용자를 대상으로 한 대출 비중이 크다’고 변명하고 있지만 JB금융지주가 지난해 이자장사로 무려 6,010억원의 당기순익을 거둬 역대 최대 실적을 거뒀다”고 주장한 그는 “이런 전북은행이 아직도 대출금리 인하 입장을 내놓지 않고 있다”며 “전북은행은 더 이상 고금리 장사 오명을 벗고 대출금리 인하에 즉시 나서야 한다”고 강조했다.
/박주현 기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