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큐레이션] 2023년 1월 17일

‘시민후보’ 추대 움직임…진보진영 ‘당혹“ 

“시민후보추천위원회가 모 대표를 추천할 계획” 

“잠깐 당적 떠나지만 다시 돌아오겠다”…복당 시사 '눈총' 

전주을 재선거 열기가 설 명절을 앞두고 후끈 달아오른 모양새다. 설 밥상머리 민심을 의식한 입지자들은 너도나도 '컨벤션 효과'를 노리며 출마 기자회견과 세 과시 등 지지층 확보에 나서고 있다. 그러나 전주을 재선거가 왜 치러지는지를 망각하거나 착각한 듯한 입지자들의 태도가 주민들의 눈살을 찌푸리게 하고 있다.  

박종덕 출마 포기, 전주을 재선거 '8파전'...단일화·합종연횡 가능성 

전북CBS 노컷뉴스 1월 16일 기사(홈페이지 갈무리)
전북CBS 노컷뉴스 1월 16일 기사(홈페이지 갈무리)

16일 전라북도선거관리위원회에 따르면 이날 현재 전주을 재선거를 위해 김경민(국민의힘) 전 전주시장 후보, 강성희(진보당) 대출금리인하운동본부장·민생특위원장, 김광종(무소속) 전 우석대 기획부처장, 김호서(무소속) 전 전북도의회 의장, 임정엽(무소속) 전 완주군수 등 5명이 예비후보 등록을 마쳤다. 그러나 지난해 7월 일찌감치 출마를 선언했던 박종덕 전 한국학원총연합회장은 이날 출마를 포기했다. 

여기에 오는 18일 가칭 ‘전주을 재선거 시민후보 추천위원회‘(시민후보 추천위)의 후보 추대와 19일 정운천 국민의힘 국회의원(비례·전북도당위원장)의 출마 선언에 이어 이관승 민생당 공동대표 겸 전북도당위원장도 설 명절 전 출마를 선언할 예정이어서 현재 8명의 후보가 대진표에 오를 전망이다. 이들 가운데 국민의힘 정운천 의원과 김경민 예비후보의 경선 또는 단일화가 불가피, 사실상 7명의 후보군이 다자구도 속 혼전을 펼치게 됐다. 

하지만 더불어민주당이 이상직 전 의원의 직위 상실로 무공천을 결정한 가운데 치러지는 이번 전주을 재선거에 김호서 전 전북도의회 의장과 임정엽 전 완주군수가 민주당 탈당 후 무소속 출마에 나서 곱지 않은 시선을 받는다.

민주당 탈당 무소속 출마, 임정엽 전 완주군수 “승리한 뒤 다시 복당하겠다” 논란 

KBS전주총국 1월 16일 뉴스 화면(캡처)
KBS전주총국 1월 16일 뉴스 화면(캡처)

특히 민주당을 탈당하고 전주을 국회의원 재선거에 무소속 출마를 선언한 임정엽 전 완주군수의 행보에 논란이 일고 있다. 임 전 군수는 16일 전북도의회 브리핑룸에서 출마 기자회견을 갖고 "자신에게는 민주당과 DJ의 피가 흐르고 있다"면서 "선거에서 반드시 승리한 뒤 민주당에 복당하겠다"고 밝혀 민주당의 책임정치를 위한 무공천에 반하는 발언이란 지적을 받았다.

이에 대해 이날 강성희 진보당 예비후보는 기자간담회 자리에서 "전주시민을 욕되게 하는 것이자 민주당을 욕되게 하는 것"이라며 비판했다. 진보당 전권희 전북도당 정책위원장도 이날 "정치를 희화화하고 무공천 취지를 변질시키는 것에 대해 향후 분명히 문제 제기를 하겠다"고 거들었다.

시민후보 명칭 논란 속 일부 언론 ’특정인 추천‘ 보도...’혼란‘

새전북신문의 16일 '전주을 재선거' 관련 기사(갈무리)
새전북신문의 16일 '전주을 재선거' 관련 기사(갈무리)

가칭 '시민후보 추천위'도 18일 기자회견을 열고 전주을 재선거에 시민후보를 추천하게 된 배경과 앞으로 일정 등을 소개할 예정인 것으로 알려졌지만 시민후보 명칭 논란이 일고 있는 가운데 하필 이날 '특정인이 추천될 것으로 전해졌다'는 일부 언론 보도가 나와 혼란을 야기했다. 

이날 새전북신문은 “정치권에 따르면 18일 시민후보추천위원회가 발족하고 모 대표를 추천할 계획인 것으로 전해졌다”고 보도해 시민후보 추천위의 기자회견 등을 앞두고 온갖 추측과 의혹을 낳게 했다.  

이처럼 전주을 재선거는 민주당을 탈당한 무소속 2명의 후보군과 국민의힘, 진보당, 민생당, 무소속에 이어 일부 시민단체를 중심으로 시민후보 간 대결로 대진표 윤곽이 드러나고 있는 가운데 본격적인 선거전이 시작되면 후보 간 합종연횡도 수면 위로 떠오를 것이란 전망이 나온다.

막판 후보 단일화 '주목'...1년 후 총선 주자들 ’촉각‘

전주MBC 1월 16일 뉴스 화면(캡처)
전주MBC 1월 16일 뉴스 화면(캡처)

일각에선 ‘제3의 정치세력’ 구축의 프레임을 내세운 진보진영의 단일화를 조심스럽게 전망하는 목소리도 나오고 있다. 그러나 이번 전주을 재선거는 1년 후에 있을 제22대 총선과 직결된다는 점에서 그동안 물밑 경쟁을 벌여왔던 민주당 예비후보들이 촉각을 곤두세우고 있다. 누가 당선되느냐에 따라 다음 총선에서 자신에게 유리할지 저울질하며 관망하는 분위기다. 

그러나 전주을 지역 주민들 사이에는 “민주당이 공천한 이상직 전 국회의원이 선거법 위반 등으로 국회의원직을 상실하면서 전주을 지역구는 의정 공백이 되다시피 한 정치 불모지역”이라며 “민주당이 책임정치와 반성의 뜻으로 후보를 내지 않았으면 다른 무소속 후보들도 민주당 얘기를 더는 하지 말고, 대표성 없는 시민후보란 명칭도 사용하지 말라”고 입을 모으고 있다. 

/박주현 기자

관련기사

저작권자 © 전북의소리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