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진=새만금신공항백지화공동행동 제공
사진=새만금신공항백지화공동행동 제공

새만금 신공항 예정지인 부안 수라갯벌에서 고려청자인 고려상감청자국화문 잔이 발견됐다. 지난달 25일 고려 말에서 조선 초에 제작된 것으로 추정되는 녹청자 다수가 발견된 이후 두 번째다. 

새만금신공항백지화공동행동은 12일 신공항 예정부지 북쪽에 임시 수로를 내기 위해 갯벌을 2m 가량의 깊이로 파낸 모래더미에서 고려청자가 발견됐다고 밝혔다. 공동행동은 "지난 2일부터 5일까지 시민단체와 전문가집단이 생태·문화조사를 벌여왔다"고 덧붙였다. 

공동행동은 또한 “처음 발견 당시에는 일부만 노출돼 있었지만 모래를 파 보니 거의 원형을 가지고 있는 청자였다”면서 “700여년전 수장돼 갯벌에 묻혀 있던 모습과 달리 깨진 단면은 선명한 청자의 속살을 보여주고 있었다”고 전했다.

공동행동은 이를 근거로 "새만금 신공항 건립 계획을 재검토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공동행동은 또한 "처음 녹청자 그릇이 발견된 지점과반경 20m 안에서 추가로 발견된 점을 미뤄볼 때 과거 침몰선의 물건일 수 있다는의견이 있다"며 “문화재가 존재하고 있음을 말해 주는 것"이라고 강조했다. 

”매장된 해저 문화재 전수조사 하루빨리 진행해야“ 

사진=새만금신공항백지화공동행동 제공
사진=새만금신공항백지화공동행동 제공

공동행동에 따르면 유물이 연이어 발견된 지역은 장소에 따라 퇴적 상황은 다르겠지만, 수라갯벌 주변의 간척과 매립(1920년대 옥구지역 간척사업, 1990년대 군산 외항공단 건립, 2005년 새만금 방조제)등으로 인위적 해류 변화가 생기고, 그동안 약 2m 이상의 뻘이 쌓이면서 묻혀 있었던 것으로 추정됐다.

따라서 지난 100여년간 경기도에서 전남 해남에 이르는 해안선의 길이가 1910년대 3596㎞에서 2000년대에는 2148㎞로 39%가 감소했고, 900㎢에 달하는 갯벌 매립으로 극심한 해류변화가 발생했다는 지적이다.

공동행동 오동필 집행위원장은 “새만금호 유역은 다양한 시대를 품어왔던 역사를 안고 있는 곳이다"며 “정부는 새만금 개발만을 위해 여러 입장에서 바라보고 있지 않고 있다"고 지적했다. 

그러면서 그는 “새만금 신공항 예정지인 수라갯벌에 대한 전략환경영향평가에서도 매장 문화재 조사를 전혀 진행하지 않았다"며 “새만금 신공항 기본계획 고시를 취소하고 매장된 해저 문화재 전수조사를 하루빨리 진행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박경민 기자

저작권자 © 전북의소리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