진단
'선거 브로커 논란'
'이의신청 쇄도, 재심 혼란'
'"ARS 투표 번호 뒤바뀌었다"...허술한 경선'
'시작부터 끝까지 발목 잡는 후보자 도덕성 논란'
6·1 지방선거를 앞두고 전북지역에서 발생한 각종 공천 잡음과 의혹, 논란이 선거 한달도 남겨두지 않은 시점까지 지속되고 있다. 이러한 잡음과 의혹 등은 혼란 상황으로 계속 이어지면서 유권자들의 정치 불신을 증폭시키는 형국이다.
특히 더불어민주당 전북도당은 이번 선거 과정에서 선거 브로커 개입 폭로를 한 같은 당 소속의 자치단체장 예비후보 사퇴 논란에도 불구하고 진상 규명이라든지 뚜렷한 재발 방지대책도 내놓지 못하고 있다. 이런 가운데 잇따른 공천 결과 불복과 이의신청, 허술한 경선 등으로 연일 비난 세례를 받고 있다.
선거 브로커 직격탄...민주당 장수군수 재경선, 주민 배제
민주당 전주시장 예비후보의 선거 브로커 폭로와 사퇴 파문에 이어 경선 결과를 받아들이지 못하고 이의신청이 줄을 잇는 가운데 선거 브로커 사태의 또 다른 직격탄을 맞은 민주당 장수군수 경선은 대리투표 의혹까지 불거지면서 두 번의 경선을 치르는 초유의 사태를 맞게 됐다.
민주당 비상대책위원회는 4일 장수군수 경선을 무효 처리, 재경선을 치르기로 결정하고 김제시장과 완주군수 경선 문제는 6일 다시 논의하기로 했다. 민주당 장수군수의 재경선은 권리당원 100% 투표로 진행될 예정이어서 주민들이 배제된다는 점이 또 다시 문제점으로 제기되는 양태다.
이런 가운데 민주당은 권리당원들의 ARS 투표로 기초의원 후보를 뽑기 위한 경선을 진행하고 있지만 곳곳에서 잡음과 혼란이 이어지고 있다.
민주당 임실군 기초의원 적합도 여론조사, 번호 뒤바뀐 ARS 투표 ’혼란‘

임실의 한 선거구에서는 후보자의 번호가 뒤바뀐 채 ARS 투표가 진행됐다는 보도가 나았다. 해당 후보와 후보의 지지자들은 시스템 오류라며 반발하고 있지만 당 차원의 대책이 나오지 않아 민원이 점점 커지고 있다.
JTV는 4일 관련 기사에서 “민주당이 임실군의 권리당원을 상대로 임실군의원 후보 적합도를 묻는 ARS 전화 여론조사에서 ’6명의 후보 중 민주당 임실군 다 선거구 임실군의원 후보로 적합한 후보 1명을 선택해주십시오‘라고 해놓고 1번부터 4번까지 제대로 후보를 호명하다가 갑자기 5번을 건너 뛰고 6번으로 간 뒤 다시 5번 후보를 소개했다”고 보도했다.
이어 기사는 “당초 5번을 선택하려던 권리당원은 4번 이후 6번이 호명되자 크게 당황했다”면서 “고심 끝에 5번을 눌렀는데, 정작 권리당원이 투표를 한 후보가 6번이라는 안내 멘트가 나와 혼선에 빠졌다”고 덧붙였다. 그런데 “뒤바뀐 ARS 투표 번호를 들은 권리당원은 한두 명이 아니다”고 밝힌 기사는 “황당한 시스템 오류 때문에 자칫 무효표로 처리되는 건 아닌지 걱정하는 권리당원도 있고 후보들 역시 잘못된 ARS 투표로 혹시 피해를 보진 않을까 애가 탄다”고 전했다.
그러면서 “민주당의 시의원과 군의원 등 기초의원의 공천은 권리당원 여론조사로 생사가 뒤바뀌기 때문에 여론조사에 단 한 건의 오류도 없어야 한다”는 기사는 “그런데 ARS 투표 번호가 뒤바뀌고, 또 투표 이후 본인이 원치 않은 후보에게 표가 갔다는 권리당원의 증언이 잇따르면서 민주당의 경선이 너무 허술하다는 비판이 일고 있다”고 지적했다.
민주당 기초의원 '공천 불신' 확산 지속

기초의원의 민주당 경선 방식에 대한 불신이 다른 곳에서도 제기됐다. 전북일보는 3일 ’군산시 기초의원 선거 ‘권리당원 리그’로 전락...전략공천 불신 ‘확산’‘이란 제목의 기사에서 “민주당 군산시 기초의원 전략공천 발표 후 기초의원 선거가 ’구태 정치를 벗어나지 못하고 있다‘는 지적과 함께 예비후보들이 탈당을 선언하거나 선거를 포기하는 분위기가 감지되는 등 후유증이 상당하다”고 밝혔다.
기사는 또한 “기초의원 경선이 정당 공천제도에 묶이고, 전략공천은 지역위원장의 입김이 작용하는 데다 경선은 시민이 아닌 권리당원 100%로 진행되는 탓에 예비후보들의 관심이 지역민들은 뒷전인 채 소속 정당으로부터 공천을 받는데 쏠려 있기 때문에 벌어진 현상”이라고 지적했다.
그러면서 “군산시 기초의원 전략공천 발표 후 당을 탈당하거나 지역민에게 ‘불공정 공천’을 읍소하는 사태가 속출하고 있다”며 한 시민 발언을 인용해 “돈을 줘가며 조직화한 권리당원만 확보하면 경선을 통과하고 당선으로 이어지는 부조리를 뿌리 뽑지 못하면 변화한 군산은 없을 것이다”면서 “선한 영향력의 회초리를 들어 공정한 선거문화를 만들고 바른 정치인들을 만들어야 한다”고 꼬집었다.
민주당 공천 시작부터 끝까지 논란·의혹...실망·한숨 가득

이처럼 기초단체장 후보들의 도덕성 논란까지 제기되면서 민주당 공천 과정에 불신이 증폭되고 있다. 민주당은 지난 3월부터 본격적인 지방선거 국면이 시작되자 청년·여성인재 발굴 등 공천혁신을 약속하고 ‘송곳 검증’과 ‘시스템 공천’을 강조하며 참신한 인재들의 정치적 도약을 목표로 내걸었지만 현실과 거리가 멀다는 볼멘소리들이 나오고 있다.
경선 후보 선출과 공천 과정에서 각 후보자에 명확한 기준이 적용되지 못했기 때문이라는 지적도 나왔다. 이로 인해 공천에서 탈락한 후보들이 결과에 승복하지 않고 탈당 후 무소속으로 출마하겠다고 맞서는 사례가 속출하고 있다. 민주당 지방선거 공천 과정을 바라보는 유권자들의 실망과 한숨이 날로 커지고 있는 이유다.
/박주현 기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