진단

임실지역의 프리랜서 겸직 기자 논란과 해당 기자의 압수수색이 언론계에 큰 후폭풍을 가져다주고 있다.
지역에서 활동하는 주재기자 운영제도에 관한 문제점에 이어 지자체 광고·홍보비 집행 과정의 문제에 이르기까지 연일 중요 이슈로 부상하고 있다.
"시장·군수 쌈짓돈 홍보예산...광고비 강요 자초"
전주MBC는 지난 18일 ‘“관례대로 더 달라", 집요한 광고비 요구’, ‘자치단체가 '인터넷 신문사' 손바닥 안?’의 연속 기사에서 임실군에서 불거진 인터넷신문 기자의 비위 실체를 보도한데 이어 26일 ‘시장·군수 쌈짓돈인 홍보예산...광고비 강요 자초’란 제목의 기사에서 다시 지자체와 언론의 문제점들을 짚었다.
“대부분은 지방자치단체에서 광고비를 받아 생존하고 있는데, 수입을 더 얻기 위해 이들(지역 활동 기자)이 공무원들을 위협하는 일까지 벌어지곤 한다“는 기사는 ”기자 개인의 문제이기도 하지만, 이런 횡포를 제어할 수 있는 제도가 취약하다는 점은 주목할 부분“이라고 강조했다.
전주MBC 5월 26일 보도(유튜브 동영상)
또한 기사는 “지역 언론인이 부정적인 기사를 무기로 삼아 압력을 행사하는 사례는 임실군뿐만 아니라 다른 지역에서도 비일비재하다는 게 공무원들의 주장”이라며 최지석 김제시 공무원 노동조합위원장의 말을 인용해 “광고비 강요가 가능해진 토대는 사실 피해자인 지방자치단체가 자초한 측면도 없지 않다”고 전했다.
그 이유로 기사는 “도내 대부분의 시군은 해마다 10억원 안팎의 홍보예산을 책정해 대부분 언론사에 광고비로 지급하고 있다”며 “문제는 객관적인 기준과 투명한 절차 없이 시장·군수의 재량으로 언론사마다 각기 다른 액수의 광고비가 결정되기 때문"이라고 지적했다.
이 때문에 “단체장에게 불편한 기사가 나오면 그때마다 즉흥적으로 광고비 액수가 올라가고, 한 번 재미를 본 언론사들은 광고 수입을 더 늘리기 위해 자극적인 기사로 공무원들을 위협하는 구조가 형성된다”고 기사는 분석했다.
방송은 또 “익산시는 지난 2014년에 제정한 조례에 따라 홍보예산의 사용 내역을 1원 단위까지 시의회의 검증을 받고 있으며 일간지와 주간지, 월간지 등 매체의 속성에 따라 각기 다른 광고비를 주도록 했고, 또 유가부수와 같이 정량화된 기준으로 광고비 단가를 책정하도록 했다“고 사례를 보도했다.
“지역 주재기자 운영제도 문제 상존...언론사에 휘둘리는 지자체도 문제”

한편 이날 KBS전주방송총국 라디오 시사 프로그램인 ‘패트롤 전북’에서는 ‘지자체 상대 광고비 압박 혐의로 언론인 수사 중...언론사에 휘둘리는 지방자치단체도 문제’란 주제로 이 문제를 심층적으로 진단했다.
이날 토론 방송에는 손주화 전북민주언론시민연합(전북민언련) 사무처장과 박주현 전북의소리 대표(언론학 박사)가 참석해 전북지역 인터넷 언론의 운영 실태와 문제점, 지역 주재기자 운영 제도와 관공서 홍보 예산 및 광고·협찬비 등에 관한 문제점과 대안이 다양하게 논의됐다.
KBS전주방송총국 5월 26일 방송(유튜브 동영상)
특히 이날 전북민언련 손주화 처장은 최근 임실지역에서 발생한 인터넷 언론사 기자의 불미스런 문제 외에도 다른 지역에서 발생한 지역 주재기자들의 비리 행위 사례와 근본적으로 취약한 원인 등을 제시해 주었다.
또한 박주현 박사는 지역 언론사와 지자체 간의 뿌리 깊은 유착 관계에 대해 설명하고 지자체들이 쉽게 언론인들에 휘둘리는 원인에 대해서도 토론을 펼쳐 주목을 끌었다.
/<전북의소리> 편집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