진단
전주시가 새해 벽두 신년 기자회견장에 특정 언론사 기자들만 출입을 허용하고 인터넷 언론사 등은 출입을 제한해 논란을 자초했다는 비난이 드세다.
관공서의 오랜 병폐로 지목돼 왔던 출입기자단과 출입처의 유착, 정보의 카르텔이 여전히 상존하고 있다는 지적과 함께, 주민들의 알권리 해소를 위한 언론의 취재를 방해했다는 비난이 일고 있다.
사라지지 않는 '출입처-기자단 카르텔', 왜?
출입처와 기자단의 카르텔은 오래된 문제로 이어져 왔다. 지난 2001년 최경준 오마이뉴스 기자는 기자단이 아니란 이유로 인천국제공항 기자실에서 강제 퇴거를 당해 ‘출입방해금지 가처분 신청’을 냈었다.
이에 인천지방법원 제3민사부는 당시 오마이뉴스 손을 들어줬다. 또한 2008년 경기도 부천시청에서는 출입처와 출입기자단의 카르텔에 반발한 일부 언론사 기자가 기자실에 인분을 투척한 사건이 발생했다.
이어 지난 2011년 익산시청에서는 출입기자단에 포함되지 않은 기자들이 기자실 문에 아예 대못을 박아버리기도 했다. 시청의 공보 지원을 출입기자단만 누리는 상황이 누적되자 일부 언론사 기자들이 기자실 문에 못을 박고 출입을 막는 사건이 발생했다.
이밖에 2013년 충남도청 신청사 기자실에서는 기자실 출입을 막는 기자와 취재하려는 기자 간 몸싸움이 벌어져 경찰이 출동한 일도 벌어졌다. 또 지난해 3월에는 김제시가 코로나19 상황을 브리핑하는 자리에 기자단의 특정 언론사들만 출입을 허용하고 인터넷 언론사 등의 출입 및 취재를 제한해 따가운 비난을 받은 적도 있다.
전주시 신년 기자회견장 취재 제한, 논란 자초
이처럼 주민혈세로 운영되고 있는 지방자치단체의 공간을 점유하며 정보를 독점하는 행위는 언론의 취재 제한은 물론 주민의 알권리 침해와 관언 유착의 고리라는 비판을 줄곧 받아왔다.
그런데 새해 벽두부터 전주시의 새해 시정 방향과 비전을 언론을 통해 시민들에게 알리기 위한 신년 기자회견장에 특정 언론사들로 구성된 출입기자단 소속 기자들만 허용하고 그렇지 못한 기자들의 취재를 제한한 것은 명백히 언론의 자유를 제한한 것이라는 비난이 일고 있다.
전주시는 지난 6일 오전 시청사 4층에 마련된 회의실에서 김승수 전주시장의 신년 기자회견을 가졌지만 시는 이날 회견장에 시청 출입기자단 소속 언론사 기자들만 입장시키고 인터넷 언론과 자체 기자단 소속이 아닌 언론사 기자들은 회견장 출입을 통제했다.
프레시안과 이뉴스투데이 등 인터넷 언론들은 “이 때문에 기자단 소속이 아닌 언론사와 일부 인터넷 언론사 기자들은 회견장에 들어가지도 못한 채 발걸음을 되돌려야 했다”며 “전주시가 신년 기자회견장에 일부 언론의 출입을 막아 품격을 떨어뜨렸다”고 일제히 비판했다.
시민사회 “말로만 광역화...품격·자존감 떨어뜨린 구태” 비난
이들 인터넷 언론사들은 "전주시청 4층 회견장에 들어가려는 순간 기자실 관계자가 코로나19로 인해 기자단 소속 언론사도 사별로 1명만 회견장에 들어가기로 사전에 협의가 됐다면서 출입을 막아 회견장에 들어가지 못했다"고 밝혔다.
이들 언론사는 또 “이날 기자회견장에는 기자단에 속하지는 않았지만 평소에는 전주시 출입기자실을 자주 이용하는 다른 언론사 기자 역시 회견장에 들어가지 못했다”며 “그러나 이 같은 상황에 대해 전주시 공보과장은 ‘현재 사회적 거리두기 때문에 다수 모임이 불허되는 상황에서 비대면 신년 기자회견도 생각했으나 선관위에서 선거법 위반 여부 때문에 안 된다고 해 불가피하게 4층 회의실로 장소를 옮겨 진행했다’고 말했다”는 내용을 전하기도 했다.

이 같은 논란이 일자 전주시 관계자는 언론과의 인터뷰에서 "기자실이 좁아 회견장을 4층 회의실로 옮겼는데도 20명도 들어가지 못할 것으로 보여 방송사 카메라도 풀, 사진기자도 풀, 취재기자들도 20명 이내로 제한할 수밖에 없었다"며 "공간이 한정돼서 벌어진 상황일 뿐"이라고 말했다. 그러나 비판 여론은 쉽게 수그러들지 않을 전망이다.
“관언 유착 카르텔, 이제는 개선 돼야”

지역에서 활동하는 인터넷 언론사들은 “이날 같은 시간대에 진행된 전북도교육청 김승환 교육감의 신년 기자회견은 공간이 넓은 도교육청 2층 강당에서 진행됐으며 취재 기자들의 입장을 제한하지도 않았다”고 밝히면서 “전주시의 궁색한 변명과 비교가 된다”고 지적했다.
이에 대해 시민사회단체 관계자는 “전주시가 김 시장의 신년 기자회견장에 일부 언론의 출입을 막아 천년고도 이미지와 품격을 스스로 떨어뜨렸다”며 “광역화를 외치는 전주시가 시민의 자존감을 떨어뜨리는 구태한 행태를 보여 안타깝다”고 말했다.
전주시의 이번 기자회견장 출입 및 취재 제한은 오랜 관행으로 이어져 온 '관언 유착과 관공서 및 출입 기자단의 카르텔'에 기인한 것으로 볼 수 있다. 개선을 요구하는 목소리가 비등한 이유다.
/박주현 기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