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주노총 전북본부는 16일 민주당 전북도당 앞에서 1,000여명이 참여한 가운데 ‘7월 총파업·총력투쟁대회’를 개최했다.(사진 위, 아래=민주노총 전북본부 제공)
민주노총 전북본부는 16일 민주당 전북도당 앞에서 1,000여명이 참여한 가운데 ‘7월 총파업·총력투쟁대회’를 개최했다.(사진 위, 아래=민주노총 전북본부 제공)

민주노총이 16일 전국적인 총파업에 나서면서 전북지역에서도 대규모 총파업·총력투쟁대회가 열렸다.

민주노총 전북본부는 이날 민주당 전북도당 앞에서 1,000여명이 참여한 가운데 ‘7월 총파업·총력투쟁대회’를 열고 지난 정권의 반노동정책 청산과 새 정부의 노정교섭 참여를 촉구하며 오는 19일 서울에서 최대 4만명 규모의 집중 투쟁을 예고했다.

이날 참가자들은 “새 정부의 과제는 우리 사회의 불평등 구조를 바꾸는 것으로, 이를 위해 노동자가 직접 나서 노동 존중 사회를 만들겠다”고 결의한 뒤 “노동자의 범위를 넓게 인정하고, 사용자와의 실질적인 교섭이 가능하도록 하는 노란봉투법을 즉각 통과시킬 것과 생명을 지킬 작업 중지권 등의 보장을 국회와 정부에 요구하겠다”고 밝혔다.

또한 민주노총 전북본부는 ‘총파업·총력투쟁 결의문’을 통해 “민주노총이 길을 열고, 시민들이 함깨 한 123일간의 빛의 혁명으로 내란범 윤석열을 파면시켰다. 윤석열이 파면되고 정권이 바뀌었지만 내란·외환의 진상은 밝혀지지 않았고, 주범들은 진상규명을 가로막고 있다”며 “노동자와 시민들은 내란세력의 탄핵과 파면만을 위해 투쟁한 것이 아니라 노동자와 시민들의 요구는 불평등과 양극화, 약자와 소수자에 대한 혐오와 차별을 종식시키고 연대와 공존, 평등한 세상을 만들자는 것이었다”고 강조했다.

그러면서 “윤석열이 노동자를 탄압하고, 노동조합을 말살하기 위해 추진한 반노동정책은 지금도 폐기되지 않았다”며 “두 차례나 거부당한 노조법 개정안은 국회 상임위조차 통과하지 못했다. 노조법 2,3조 개정안을 국회는 즉각 처리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또한 이날 이민경 민주노총 전북본부장은 대회사에서 “추운 겨울 우리는 세상을 뒤흔들어 지켜냈고, 뜨거운 여름 우리는 다시 세상의 ‘을’이 되어가고 있다”며 “경총이 오늘 집회를 불법 정치파업이라고 했고, 조선일보는 탐욕과 방종의 민주노총이라 불렀다. 우리가 다시 투쟁을 해야 하는 이유는 차고도 넘치며 그들의 수다스러움은 우리가 옳음을 증명한다”고 말했다.

이 본부장은 이어 “오늘 투쟁을 시작으로 윤석열 3년 동안 후퇴된 노동정책 하나도 빠짐없이 되돌려 다시 차별과 불평등을 뒤엎는 투쟁으로 노동 존중의 새 사회를 건설하자”고 목소리를 높였다. 

/박경민 기자

저작권자 © 전북의소리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