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북환경운동연합 2일 성명서 발표..."옛 대한방직 터 맹꽁이는 기적처럼 살아남았다"

"8만㎡ 공개공지 명품 도시공원 만든다면서 멸종위기 맹꽁이에 땅 몇 평 못내주나?" 

전주시 마지막 노른자위 땅으로 불리는 옛 대한방직 전주공장 부지 개발을 앞두고 멸종위기종인 맹꽁이들이 여전히 서식하고 있는 것으로 확인됨에 따라 보전 대책이 시급하다는 지적이 나왔다.

"강제 이주 아수라장 속에서도 4개 지점 맹꽁이 서식 추가 확인"

2023년 5월 30일 옛 대한방직 터 내 맹꽁이 출현 지점(사진=전북환경운동연합 제공)
2023년 5월 30일 옛 대한방직 전주공장 부지 내 맹꽁이 출현 지점.(사진=전북환경운동연합 제공)
2024년 6월 30일 옛 대한방직 전주공장 부지 내 맹꽁이 출현 지점.(사진=전북환경운동연합 제공)
2024년 6월 30일 옛 대한방직 전주공장 부지 내 맹꽁이 출현 지점.(사진=전북환경운동연합 제공)

전북환경운동연합은 2일 성명을 통해 "비가 집중적으로 내린 지난 30일 저녁, 옛 대한방직 터 가림판 울타리 구간 청음 조사를 통해 삼천변 세내로 구간 게이트 좌·우, 마전로 KBS전주총국과 전북경찰청 맞은편 구간 4개 지점에서 맹꽁이 서식을 확인했다"고 밝혔다.

전북환경운동연합은 성명에서 "대형 가림판 울타리와 주차장 조성 등 두 차례 서식지 훼손과 포획 방사라는 강제 이주의 아수라장에서 살아남은 맹꽁이에 대해 지난해 11월, 개발업체인 ㈜자광은 전북지방환경청에 대한방직 부지 내 맹꽁이에 대한 포획 및 방사 이주 완료 보고서를 제출했다"며 "이에 전북지방환경청은 맹꽁이 성체 63마리, 어린 새끼 544마리를 포획해 건지산 오송제 주변에 이주했다고 밝혔다"고 전제했다. 

이어 "대대적인 포획 이주 사업 후에도 전년과 같은 지점에서 맹꽁이가 발견된 것은, 대한방직 터가 맹꽁이의 대규모 서식지임을 의미한다"는 성명은 "따라서 맹꽁이 보호 대책에 옛 대한방직 부지 내 원형보전 방안을 추가하고, 부지 내 자연녹지나 공원 부지(11,470㎡), 혹은 전체 부지의 40%나 차지한다는 공개공지(81,798㎡)에 맹꽁이 서식지를 조성할 것"을 요구했다.

또한 성명은 "지난해 ㈜자광이 추진한 맹꽁이 포획 및 방사 허가 과정에서 △국립생태원 전문가의 현장 확인 절차가 없었고 △첫 산란기 현장 조사가 진행되지 않았고 △부지 내 원형 보전 방안 검토가 없고 △삼천 생태학습장 대체 서식지 지정이 부적절하다는 점을 지적했다"며 "전북지방환경청은 이 같은 주장을 일부 수용하여 맹꽁이 이주 장소를 삼천 생태학습장에서 건지산 오송제 일대로 변경 승인했다"고 설명했다. 

"부지 내 대체 서식지 조성 등 맹꽁이와 공존하는 개발사업 전환할 것" 

옛 대한방직 전주공장 부지 전경
옛 대한방직 전주공장 부지 전경

아울러 "이번에 발견된 맹꽁이를 작년처럼 옮기기 위해서는 포획 이주 허가를 새로 받아야 한다"는 성명은 "그런데 올해는 옛 대한방직 개발사업 관련 환경영향평가 심의가 진행 중이라는 점에서 작년과 상황이 달라졌다"며 "환경영향평가 협의 과정에서 부지 내 서식지 원형 보전, 대체 서식지 조성 등 맹꽁이 보호 대책이 먼저 검토되어야 한다"고 강조했다. 

그러면서 대안으로 전북환경운동연합은 "△서식지 내 원형보전 △사업장 인근 대체서식지 조성 △포획 후 다른 곳으로 이주 등의 보호 대책 중에서 최선의 안을 선택해야 한다"며 "다른 곳으로 옮기기 위해서는 환경영향평가가 포획 후 이주로 결정이 나야 한다"고 주장했다. 

이밖에 "맹꽁이 서식지 보전은 자연을 대가로 이윤을 얻는 개발 사업자에게 부과한 법적 의무이자 자연과 공존하기 위해 법이 인정하는 ‘자연의 권리’"라고 강조한 성명은 "본격적인 장맛비를 앞둔 상황에서 전북지방환경청과 전주시가 산란기 대한방직 부지 내 맹꽁이 개체 수 및 환경 조사를 실시한 후, 부지 내 원형보전 및 부지 내 대체 서식지 조성 방안을 검토하면서 맹꽁이와 공존하는 개발사업으로 전환할 것"을 촉구했다. 

/박주현 기자

저작권자 © 전북의소리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