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큐레이터 시선

최근 전주시가 삼천과 전주천 일대에서 수백 그루의 나무를 베어내 주민들과 환경단체의 거센 반발을 사고 있다.

특히 많은 나무를 제거하는 과정에서 자문을 받도록 돼있는 조례도 지키지 않은 것으로 드러나 파장이 확산되고 있다. "말로만 천만 그루 나무 심기의 행정을 내세우며 뒤로는 나무를 제거한다"는 비난의 소리가 높다. 

주민·환경단체 “전주시, 삼천변 자생나무 무차별 벌목”

JTV 3월 28일 뉴스 화면(캡처)
JTV 3월 28일 뉴스 화면(캡처)

28일 전주시 완산구 주민들과 전북환경운동연합 등 환경단체에 따르면 전주 삼천변 등에서 자생하는 나무를 전주시가 무차별적으로 벌목하는 바람에 미관을 해치는 것은 물론 인근 시민들의 거센 반발이 일고 있지만 사전 또는 사후 협의 과정이 없이 진행되고 있다. 

전주시는 홍수 피해 예방을 위한 벌목이라고 주장하지만 환경단체와 시민들은 “가지치기나 구간별 교차 베기 등 여러 방안이 있는데도 전주시가 시민들과 소통 없이 일방적으로 벌목하고 있다”고 비판하고 있다. 시민들은 “오히려 나무를 베어 없애는 것 보다 쓰지 않는 하천 구조물들을 철거하는 것이 홍수 피해를 더 예방하는 것”이라고 주장하고 있다. 

주민 이성호(54·전주시 삼천동) 씨는 “버드나무 군락지가 빽빽하게 들어서 절경을 이루고 있었던 곳인데 지금은 나무가 모두 사라져 허전하다”며 “홍수를 방지하기 위한다지만 오히려 홍수 피해를 막으려면 주변에 물 흐름을 방해하는 구조물을 개선하는 게 급선무인데 애꿎은 나무들을 제거해 아쉽고 안타깝다”고 말했다. 

환경단체들에 따르면 전주천과 삼천변 11km 구간에서 최근 잘려나간 나무는 260그루 정도로 파악됐다. 더구나 이들 나무의 수령은 20년 안팎의 버드나무여서 더욱 주민들 반발이 거세다. 문제는 앞으로로도 150그루가 더 잘려나가야 할 상황이어서 인근 억새 군락지 등도 사라질 위기에 처했다. 

이에 인근 시민들은 “나무를 살려달라”, “나무를 다시 심자”는 팻말을 전주천 곳곳에 설치하며 전주시의 그릇된 녹지 행정을 비판하고 나섰다. 그럼에도 전주시 관계자는 “국지성 호우에 따른 홍수를 예방하기 위해 사업 추진이 불가피하다”는 입장이어서 공분이 더욱 거세지고 있다. 집중호우 때 버드나무 군락지가 삼천과 전주천의 범람 위험을 키운다는 객관적인 자료를 내놓지 못하고 있기 때문이다. 

"민관기관 자문도 받지 않고 보금자리 잃게 된 야생 동물 보호 대책도 전무" 

JTV 3월 28일 뉴스 화면(캡처)
JTV 3월 28일 뉴스 화면(캡처)

이에 대해 JTV전주방송은 28일 관련 기사(천변 버드나무 벌목...전주시 '잠정 중단')에서 “물 환경 보존 조례에서 규정한 민관기관의 자문도 받지 않았고 보금자리를 잃게 된 야생 동물에 대한 보호 대책도 전무하다”며 문지현 전북환경운동연합 사무처장의 발언을 인용해 “20년 동안 살았던 나무들이 홍수 때문에 베어지는 그런 절차는 아닌 것 같다”며 “충분한 조사 그리고 몇 그루의 나무가 어떻게 위험한지 조사가 된 다음에 이 나무를 벌목할 건지 말 건지 결정했어야 한다”고 지적했다. 

그러면서 기사는 “전주시는 천변의 버드나무를 잘라내고도 정작 시정 소식지에는 전주천의 버드나무 사진을 홍보하는 앞뒤가 맞지 않는 모습을 보여주고 있다”며 “전주시는 벌목 작업을 잠정 중단하고 환경단체들과 협의해서 사업계획을 보완하겠다고 밝혔다”고 보도했다. 

그러나 이를 바라본 시민들은 “이미 수많은 나무들을 베어내고 이제와서 뒤늦은 협의를 한다거나 나무 베기를 장점 중단하겠다는 것은 탁상행정이자 이율배반적인 행정”이라고 비난했다. 

이모 씨(전주시 중화산동)는 자신의 페이스북에 “천만 그루 나무 심기를 표방해 온 전주시가 한옥마을에 이어 아름다운 전주천에 식재된 아름드리 나무를 싹뚝 베어버렸다”며 “당장 전주시 나무가 모두 베어진다 해도 우리(시민들)는 계속 나무를 심을 것”이라고 밝혔다. 

/박주현 기자

관련기사

저작권자 © 전북의소리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