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초점

SBS Biz 1월 30일 뉴스 화면(캡처)
SBS Biz 1월 30일 뉴스 화면(캡처)

국민연금 재정추계 결과가 들쭉날쭉한데다 국민연금 고갈 문제가 벽두부터 사회적 화두로 떠오른 가운데 보험료율 인상안이 다시 뜨거운 감자로 부상했다.

특히 국민연금 보험료율을 9%에서 15%로 올린다는 일부 언론 보도 이후 연금개혁을 논의 중인 보건복지부가 "확정된 사안이 아니다”며 즉각 진화에 나섰지만 진위 공방이 더욱 가열되는 모양새다.

[해당 기사]

“우리는 국민연금 못 받나요?”…'기금 고갈 시기 단축' 발표·보도에 뿔난 MZ세대들 왜?

조규홍 장관 “보험료율 15% 단계적 인상 방안은 정부안 아니다“

조규홍 보건복지부 장관은 30일 오후 긴급 기자회견을 열고 "오늘 일부 언론에 보도된 국민연금 보험료율 15%의 단계적 인상 방안은 정부안이 아니다"며 "정부는 국회 연금특위에서 개혁 방안을 마련하면 그 결과를 참고하고 국민들의 의견을 충분히 반영해 국민연금법에 따라 올해 10월 국민연금 종합운영계획을 수립해 국회에 제출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앞서 이날 중앙일보 등 일부 언론은 “국민연금을 개혁하지 않으면 2055년 기금이 바닥나고 연금 가입자는 월 소득의 26.1%를 보험료로 내야 한다는 분석이 나왔다”면서 “이러한 전망을 바탕으로 국회 연금개혁특위 민간자문위원회가 연금개혁안 도출을 위해 이틀간 끝장토론을 벌였으나 단일안을 마련하지는 못했지만 자문위는 현재 9%인 연금 보험료율을 단계적으로 15%까지 상향하는 방안에는 합의한 것으로 알려졌다”고 보도했다.

하지만 조 장관은 이 같은 보도와 관련해 "정부는 국회 연금특위와 민간자문위의 요청에 따라 재정추계 시산 결과를 제공하는 등 논의를 지원하고 있으나 논의에 직접 참여하고 있지는 않다"며 “오늘 보도된 국민연금 보험료율 15%의 단계적 인상 방안은 정부안이 아니다"고 거듭 밝혀 한발 뒤로 물러서는 모양새를 취했다. 

”정년 연장 논의 없이 보험료 더 내고 기간 더 늘리는 건 문제...중구난방 발표도 불안“

하지만 '인상 폭의 문제일 뿐, 보험료를 올리는 건 확실해 보인다'는 보도가 줄을 이어 국민연금에 대한 불확실성이 점점 확산되는 분위기다. 주무 부처인 보건복지부 장관이 직접 나서서 '국회 연금개혁특위 민간자문위가 보험료율 15%로 합의했다'는 보도에 대해 "그건 국회에서 논의 중인 사안이지 정부안이 아니다"고 강조했음에도 ‘아니 땐 굴뚝에 연기 날까’란 반응이 이어지고 있다. 

국회 민간 자문위에서 아직 초안을 마련 중이긴 하지만 유력한 안들은 모두 보험료율을 더 올리는 방안이 우세하다는 분석이 쏟아져 나왔다. 아울러 연금 가입 기간을 만 64세로 늘려 보험료를 5년 더 내게 하자는 안도 논의되고 있다는 지적도 나왔지만 이 경우 은퇴 뒤 보험료를 낼 여력이 있는 고소득층만 유리할 수 있다는 우려가 제기된 상황이다.

이에 대해 보험 전문가들은 "정년 연장 논의 없이 보험료 내는 기간만 더 늘리면 노인들 허리만 더 휠 것"이라며 "보험료율 및 소득대체율 등을 포함한 개혁방안을 보다 신중하게 준비하고 발표해야 하는데 정부와 언론들이 중구난방식으로 발표하고 보도하는 바람에 국민들을 더욱 불안하게 만들고 있다”고 이구동성으로 지적했다. 

/박주현 기자

저작권자 © 전북의소리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