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초점

군산지역에서 이른바 '라돈 침대' 수백 톤을 소각하려 한 환경부 계획은 논란 끝에 일단 중단됐지만 여전히 철회 결정은 나오지 않고 있다. 이런 가운데 대안도 없이 은밀히 방사성폐기물을 태우려 한 정부의 졸속 행정이 혼란을 키웠다는 지적이 눈길을 끈다.
[해당 기사]
"정부, 5백톤 '방사능 라돈 침대‘ 군산지역 소각 위해 거액 지원금 주고 밀실 협의?"...논란 가열
군산에서 라돈 침대 소각, 한빛원전 4호기 재가동 추진...지역 주민들 의견은 어디에?
KBS전주총국은 12일 ‘‘라돈 침대’ 대안도 없이 소각?…졸속 행정에 ‘혼란’‘이란 제목의 기사에서 이 문제를 심층적으로 짚었다.
군산시 ”여전히 환경부로부터 공식적으로 중단이나 철회 통보 받은 적 없다?“

이날 방송은 ”라돈이 나온 침대를 군산에서 태운 뒤 묻으려 한 환경부가 소각 일정을 일단 멈췄지만 군산시와 협의 없이 소각을 진행하려 했던 게 알려지며 논란이 일자 환경부장관이 직접 국회 상임위에 중단 결정을 보고한 것으로 파악됐다“면서 ”하지만 군산 소각 계획을 없던 일로 무른 건 아니다“고 보도했다.
기사는 이어서 ”군산시 역시 여전히 환경부로부터 공식적으로 중단이나 철회 통보를 받은 적 없다고 밝혔다“며 ”지난주 논란이 일었을 당시 하루 만에 설명 자료를 낸 것과는 다른 태도“라는 점에 의문을 제기했다.
”환경부의 철회 결정이 늦어지는 건 이렇다 할 대안이 없기 때문으로 보인다“고 밝힌 기사는 ”라돈 침대를 처분할 수 있는 법이 시행된 건 지난해 9월이며, 환경부는 이때부터 폐기물을 소각 처리할 업체를 물색했지만, 성과가 없자 직접 처리하는 쪽으로 가닥을 잡았고, 지자체와 협의 없이 추진한 대집행 계획이 이번 논란으로 결국 어긋난 것“이라고 분석했다.
그러면서 기사는 ”더욱이 법으로 정한 라돈 침대 보관 기간도 이미 석 달이나 지난 상황“이라며 ”국내 첫 방사성폐기물 소각을 일방적으로 추진하려 한 환경부의 졸속 행정이 혼란만 더 키운 셈이 됐다“고 강조했다. 이처럼 환경부의 졸속 및 밀실 행정에 대한 비난 여론이 지역에서 쉬 가라앉지 않고 있다.
/박주현 기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