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초점

안전성 문제로 5년간 가동을 멈춘 영광 한빛원전 4호기가 8일 열릴 원자력안전위원회 회의에서 재가동 여부가 결정될 전망인 가운데 한빛원전과 인접한 지역 주민들과 정치권, 환경단체가 한목소리로 반발하고 있다. 

한빛핵발전소대응호남권공동행동과 전라북도의회를 비롯한 정읍시·부안군·고창군의회 등은 7일 전남 영광 한빛 4호기 발전소 앞에서 공동기자회견을 열고 발전소 재가동 절차를 즉각 중단하라고 촉구했다. 

“원자력안전위원회의 위험한 재가동 결정 멈춰라”

한빛핵발전소대응호남권공동행동과 전라북도의회를 비롯한 정읍시·부안군·고창군의회 등은 7일 전남 영광 한빛 4호기 발전소 앞에서 공동기자회견을 열고 발전소 재가동 절차를 즉각 중단하라고 촉구했다. 
한빛핵발전소대응호남권공동행동과 전라북도의회를 비롯한 정읍시·부안군·고창군의회 등은 7일 전남 영광 한빛 4호기 발전소 앞에서 공동기자회견을 열고 발전소 재가동 절차를 즉각 중단하라고 촉구했다. 

이들은 공동성명을 통해 “한빛4호기는 격납건물에서 대형 공극을 비롯한 140개의 공극과 철판 부식 등의 심각한 결함이 발견돼 5년 이상 가동이 중단된 세계적으로도 유례를 찾기 힘든 부실투성이의 발전소”라며 “핵발전소 위험을 규제하는 기관으로서의 책무를 외면하고, 핵자본을 대리하는 윤석열 정부의 핵진흥 정책에 들러리를 자처하는 원자력안전위원회의 위험한 재가동 결정을 멈추라”고 목소리를 높였다. 

2017년 안전성 검사에서 140여 개의 공극(구멍)이 발견된 한빛원전 4호기는 그동안 잦은 야간 작업과 국내 업체의 부실한 설계 등으로 인한 콘크리트 다짐 부실이 주요 원인으로 지목되며 부실 공사 논란을 야기해 왔다. 

그러나 한국수력원자력은 "그간 보수공사로 콘크리트 공극을 채웠고, 평가 결과, 구조 건전성에도 문제가 없다"며 재가동 절차에 들어가 거센 반발과 저항이 이어지고 있다. 원자력안전위원회의 최종 결정만 남겨둔 가운데 8일 열릴 위원회 회의 결과에 따라 이르면 다음 주부터 가동이 본격화될 수 있을 것이란 전망도 나왔다.

“가장 큰 피해 볼 지역 주민은 배제한 채 재가동 논의 진행”

탈핵전북연대와 전북도의회가 지난달 29일 도청 앞에서 한빛4호기 발전소 재가동 중단을 촉구하는 공동기자회견을 열었다.(사진=탈핵전북연대 제공)
탈핵전북연대와 전북도의회가 지난달 29일 도청 앞에서 한빛4호기 발전소 재가동 중단을 촉구하는 공동기자회견을 열었다.(사진=탈핵전북연대 제공)

이에 맞서 한빛원전이 있는 전남지역뿐만 아니라 인접한 전북의 고창과 부안, 정읍지역 주민들과 환경시민단체, 정치권까지 재가동 중단에 한목소리를 내고 있다. 사고가 발생하면 가장 큰 피해를 볼 지역 주민은 배제한 채 재가동 논의가 진행됐다는 여론이 비등하다. 

김지은 전북녹색연합 사무국장은 "한빛원전 4호기가 지난 5년 이상 중단돼있었지만 전력 수급에 아무런 이상 없었다“며 ”지금 당장 불안한 핵발전소 4호기를 가동해야 할 이유가 그 어디에도 없다"고 강조했다. 

이와 관련 전북도 관계자는 “6일 원자력안전위원회와 한국수력원자력에 '한빛원전 4호기 재가동과 관련한 협조 요청'을 담은 공문을 보냈다”며 "도민들이 원전으로부터 안심하고 생활할 수 있도록 4호기 재가동 결정에 앞서 주민들에게 충분히 설명하는 등 의견 수렴 절차를 거쳐 달라고 요청했다"고 밝혔다. 

하지만 원자력안전위원회는 8일 회의를 열고 한빛원전 4호기 재가동 여부를 결정한다는 방침이어서 그 결과에 관심이 쏠리고 있다. 

/박주현 기자

관련기사

저작권자 © 전북의소리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