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초점

김관영 전북도지사(왼쪽)가7월 29일 국민의힘 소속 박성태 정책보좌관(오른쪽)에게 임명장을 수여했다.(사진=전북도 제공)
김관영 전북도지사(왼쪽)가7월 29일 국민의힘 소속 박성태 정책보좌관(오른쪽)에게 임명장을 수여했다.(사진=전북도 제공)

출범 6개월 동안 ‘김관영호 전북도정' 인사가 잦은 적정성 논란과 의혹 제기 등으로 바람 잘 날이 없다. 특히 전북도 산하 기관장들의 선임과 임명 과정에서 제기된 전문·도덕성 결여와 정치적 연고에 따른 ‘정실인사’ 논란이 가라앉지 않고 있다. 

심지어 각종 투기 의혹 및 편파 변제 논란까지 일으키며 임명된 지 3주 만에 사퇴한 서경석 전 개발공사 사장에 이어 전북도의회 인사청문회를 앞둔 전북신용보증재단 이사장 공모 등 인선 과정에서 ‘내정설’ 논란이 일찌감치 일어 따가운 시선을 받고 있다. 

국민의힘 출신 정책협력관, 업무추진비 98건 중 35건 실제와 달라...협치 때문?  

이런 와중에 지방의회와 단체장이 민주당 일색인 전라북도의 정치적 특성을 고려해 김 지사는 취임 직후 여당과 협치하겠다며 영입한 국민의힘 출신 전북도 정책협력관이 최근 업무추진비 사용 내역을 허위로 작성한 것으로 드러나면서 다시 협치 인사의 '적정성' 논란이 일고 있다.

3일 전북도 등에 따르면 김 지사가 취임 후 처음으로 도입한 전북도 정책협력관(개방형 임기제·3급)에 임명된 박성태 협력관은 임용된 이후 지난 7월 말부터 지난달 말까지 98차례에 걸쳐 총 860여만원의 업무추진비를 사용했으나 이 중 35건 가량이 사용 명세 내용의 실제와 다르게 집행된 것으로 드러나 파문이 일고 있다. 

특히 박 협력관은 업무추진비 사용 내역에 ‘기자단 등 언론과의 소통을 위한 식사비용 지출’을 명시했으나 정작 지방기자단은 '박 협력관과 간담회 등 일체의 식사 자리나 차담회를 가진 사례가 없었다'고 밝힘으로써 다른 내역들도 의심을 사고 있다. 

또한 박 협력관은 업무추진비 사용 목적으로 기재한 '도정 업무홍보를 위한 언론관계자 오찬 간담' 외에 '추석 명절 특산품 구매' 등 상당수 사용 내역은 실제로는 도청 직원이나 국민의힘 당직자를 상대로 한 것으로 파악됐다. 이 외에도 사용 내역 중에는 '유관기관, 중앙부처 관계자'와 같이 사용 목적을 모호하게 적는 등 허위로 작성한 것으로 의심되는 흔적도 다수 발견됐다. 

자체 및 외부 감사 필요 지적 

전북도청 전경(사진=전북도 제공)
전북도청 전경(사진=전북도 제공)

이에 대해 당사자인 박 협력관은 "업무 파악 차원에서 도청 직원들과 식사를 한 게 많았다. 편의상 사용 목적을 다르게 적었다"며 "허위로 기재한 업무추진비의 경우 반납을 검토하겠다"고 밝혔지만 파문은 쉽게 가라 앉지 않고 있다.

앞서 전북도는 7월 29일 정책보좌관에 박성태 전 국민의힘 전북도당 사무처장을 임용했다고 밝혔다. 전북도는 당시 “임기 1년으로 5년까지 연임이 가능한 정책보좌관은 민선8기 도정운영 방향인 ‘협치’ 바람을 일으키기 위해 도정 주요 현안에 대한 정책 보좌 역할을 수행한다”고 밝혔다.

김관영 지사도 정책보좌관 임명을 통해 국민의힘과 협치 의지를 나타냈다. 그러나 업무추진비와 관련돼 구설에 오르는 등 직책의 역할과 정체성이 모호하다는 지적이 나오고 있다. 

이 때문에 국민의힘 전북도당 사무처장과 국민의힘 전주시병 당협협의회 운영위원장을 지낸 박 협력관을 전북도 정책협력관에 추천한 정운천 국민의힘 전북도당 위원장에게 곱지 않은 시선이 모아지고 있다. 이를 의식한 듯 정 위원장은 6일 전북도의회를 찾아 유감의 뜻을 밝힐 것으로 알려졌으나 자체 감사나 감사기관 등의 외부 감사가 필요하다는 지적까지 나오고 있어서 파문은 당분간 계속 이어질 전망이다. 

/박주현 기자

저작권자 © 전북의소리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