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북 언론계 이슈

전라일보 로고
전라일보 로고

전라일보가 7일 신임 편집국장에 소문관 전 전북도 인터넷홍보팀장을 발탁·임명한데 이어 김형민 정치부국장을 의원면직 조치했다. 신문은 이날 ‘본사 사령’을 통해 두 명의 인사 내용을 지면에 알리고 전임 편집국장 등 편집국 후속 인사는 발표하지 않았다. 

신임 편집국장에 임명된 소 국장은 전라일보 익산 주재기자와 본사 사회부 기자로 10여년 동안 활동하다 전북도청으로 자리를 옮겨 주로 홍보 분야의 업무를 맡아왔으나 8년여 만에 다시 신문사로 돌아오게 됐다. 이날 의원면직된 김형민 정치부국장은 지난 6·1 지방선거 과정에서 불거진 ‘선거 브로커’ 사건과 관련해 안팎으로 구설에 오르는 등 불미스러운 일로 인한 내부 조치 차원의 인사로 알려졌다. 

”지자체 전 홍보팀장 편집국장 임명, 지역 일간지 한계“ 

전라일보 11월 7일 자 인사(지면 캡처)
전라일보 11월 7일 자 인사(지면 캡처)

그러나 이번 전라일보 인사를 두고 많은 말들이 언론계와 시민사회단체들 사이에서 나온다. 열악한 근무 환경 때문에 대부분 지역 일간지들이 심각한 경력 기자 부족난에 시달리고 있지만, 자치단체에서 언론 등을 상대로 홍보팀장을 했던 인물을 편집국의 최고 위치인 편집국장에 임명한 것은 적절치 않다는 지적이 많다. 

또한 그동안 전주지역에서 발생한 선거 브로커 사건으로 인해 지역 사회에 많은 파장이 일었고, 관련자들이 구속·입건되었음에도 정작 해당 신문사는 사과 등 아무런 언급조차 없다가 당사자를 의원면직 처리한 것은 뒤늦은 조치일 뿐만 아니라 무책임한 행태라는 비판이 일고 있다. 

언론·시민사회단체 관계자들은 전라일보의 이번 인사와 관련해 ”전북도청에 근무하던 전직 인터넷홍보팀장의 신문사 편집국장 임명은 폴리널리스트 인사를 수용한 지역 일간지의 한계를 보여준 것“이라며 ”행정에 친화된 인사를 편집국 간부진에 발탁했다는 점에서 시작부터 한계를 보인 부적격 인사“라고 평가했다. 

”선거 브로커 사건 관련 아무런 표명 없이 인사조치...무책임“ 

또한 이들은 정치부국장의 의원면직과 관련해서도 ”선거 브로커들에 대한 경찰과 검찰의 수사가 진행되고 있는 가운데 관련자를 의원면직시킨 것은 사측의 봐주기가 드러난 것“이라며 ”그동안 유감 표시 한번 없었던 점에서 해당 언론사는 지역 사회에 아무런 책임 표명 없이 유야무야 끝내려 한다는 무책임한 인상을 받게 됐다“고 지적했다. 

/박주현 기자

저작권자 © 전북의소리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