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큐레이션] 2022년 7월 26일
민선 8기 출범 이후 완주군과의 통합에 자신감을 드러내며 강한 드라이브를 펼치고 있는 우범기 전주시장에 대해 완주군 애향운동본부가 ‘군민이 패싱된 정치적 여론몰이'라며 반발하고 나서 주목을 끈다. 자칫 지역 간 통합 논의가 지역 간 분열과 대립으로 이어지지 않을까 우려된다.
”일방적인 통합 외치고 있다...통합은 전적으로 완주군민 뜻에 달려 있는데“

완주군 애향운동본부는 25일 완주군청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우범기 전주시장이 최근에 일방적으로 완주·전주 통합을 외치고 있다”며 “우 시장은 완주·전주 통합을 정치적으로 악용하지 말라”고 촉구했다.
이날 단체는 “많은 군민은 ‘막말과 폭언으로 물의를 빚었던 우 시장이 통합 이슈를 발판 삼아 정치적인 곤경에서 벗어나려는 것 아니냐’고 지적하고 있다”면서 “통합은 전적으로 완주군민의 뜻에 달려 있음에도 우 시장은 완주군민의 의견은 철저히 패싱하는 등 완전히 우롱하고 있다”고 성토했다.
단체는 심지어 “이달 초 시청 간부회의에서는 ‘전주시정을 운영할 때 완주가 다른 지자체라는 생각을 하지 말고 함께 갈 수 있도록 협력 방안을 강구해 달라’며 마치 통합시장이라도 되는 듯 통합 준비를 지시했다”고 비판하면서 “우 시장은 과거 실패를 거울삼아 통합을 잘 추진하겠다고 말하면서도 불도저식 일방통행만 일삼고 있다”고 직격했다.
그러면서 “이런 식으로는 10만 완주군민의 마음을 움직이기는커녕 군민들의 자존심에 커다란 상처만 줄 뿐이며, 통합에 대한 심각한 반감과 저항심만 키우게 될 것”이라고 주장한 이들은 “통합 문제는 완주군의 미래와 군민들의 삶에 큰 영향을 미치는 현안인 만큼, 군민들이 중심이 돼 자연스럽게 고민하고 다양하게 논의하는 구조로 진행되어야 할 것”이라고 주문했다.
우범기 시장 “가장 바람직한 건 빨리 통합해서 2026년 통합 시장 선출하는 것”

이날 단체 관계자들은 “우 시장이 앞으로도 계속해서 통합을 정치적으로 이용하고 여론몰이에 나설 경우 더 이상 좌시하지 않을 것”이라는 경고도 빠뜨리지 않았다.
앞서 지난 13일 우 시장은 "100만 광역도시를 향한 완주·전주 통합추진은 전주와 전북발전을 위해 더 이상 늦출 수 없는 필수 과제"라며 “가장 바람직한 건 빨리 통합해서 2026년에는 통합 완주·전주시장을 선출하는 것”이고 언론에 밝힌 바 있다.
그러면서 우 시장은 청주·청원이 하나가 된 통합 청주시와 송정시와 광산군이 통합돼 광역시로 성장한 광주광역시 사례도 언급했다. 그러나 우 시장이 이렇게 통합에 관한 강한 드라이브를 걸수록 통합의 열쇠를 쥔 완주군민들의 반발은 커지고 있는 상황이다.
“옆 동네 단체장이 마치 통합시장이라도 된 것처럼...분노 참지 못할 지경”

특히 완주군애향운동본부는 정작 완주군민들의 정서와는 다른 전주시장의 행보에 격한 감정을 드러내고 있어 자칫 양 지역 간 갈등의 골만 깊어지지 않을까 염려된다. 특히 우 시장이 언행을 각별히 신경써야 한다는 주문들이 나왔다.
이날 정완철 완주군 애향운동본부장은 방송과 인터뷰에서 “10만 완주군민은 옆 동네 단체장이 마치 통합시장이라도 된 것처럼, 완주의 미래를 놓고 열을 올리는 모습에 화를 넘어 분노를 참지 못할 지경”이라고 말했다.
'전주·완주, 완주·전주 통합' 논의 무산 사례 벌써 잊었나?
전주·완주, 완주·전주 통합 논의는 그동안 두 차례 제기됐다가 수그러들었다. 1차 통합 논의는 지난 1992년 전주시의회가 '전주직할시 승격 건의안'을 채택하면서 처음 나왔다. 이어 1997년 한국갤럽 여론조사에서 전주시민 83.1%, 완주군민 66.1%가 통합에 찬성한다는 의견을 밝혔지만 1998년 1월 완주군의회가 통합에 반대하면서 무산됐다.
2차 통합 논의는 2009년 당시 송하진 전주시장이 전주·완주 통합론을 제안하면서 나왔다. 그해 9월 여론조사에서는 찬성론이 우세했지만 한 달 뒤인 10월에는 완주군에서 반대론이 우세해지는 등 여론이 급격히 변하면서 무산됐다.
당시 전주시가 전주·완주 시내버스 요금 단일화, 전주지역 체육시설, 화장장, 봉안시설 등을 완주군민들도 이용할 수 있도록 지원책을 발표했지만 2009년 11월 행정안전부의 주민 여론조사 결과, 전주시의 압도적인 찬성과는 달리 완주군의 반대가 절반을 넘어 결국 무산됐다. 당시 완주군 반대는 64.2%, 전주시 찬성은 84.2%로 극명한 대조를 이뤘다.
/박주현 기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