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주 풍패지관(객사) 전경(사진=전주시 제공)
전주 풍패지관(객사) 전경(사진=전주시 제공)

전주시 도심에 위치한 '전주 풍패지관(객사)'이 3년 만에 시민들 품으로 돌아오게 됐다. 전주시는 '전주 풍패지관'에 대한 3년간의 서익헌 해체·보수와 매장문화재 발굴조사 등을 모두 마치고 일반 시민들에게 개방한다고 25일 밝혔다. 개방 시간은 매일 오전 9시부터 오후 6시까지다. 

전주 풍패지관은 지난 2016년 정밀안전진단용역 결과, 부속건물인 서익헌의 기둥이 시계방향으로 기울고 목구조가 손상된 것으로 확인돼 2018년부터 지난해까지 3년 동안 기둥 이상 전체 해체보수가 진행됐다.

전주 풍패지관은 고려와 조선 시대에 손님을 접대하거나 숙박시키고 국가에 큰일이 있을 때마다 관찰사가 분향의 예를 갖추던 곳이었다. 특히 풍패지관은 왕의 상징인 궐패(전패, 조선시대, 각 고을의 객사에 모셔 두는 ‘闕(궐)’자를 새긴 나무패)를 모시고 망궐례(望闕禮, 직접 왕을 배알하고 경의를 나타낼 수 없을 때, 멀리서 궁궐을 바라보고 절하는 예식)를 지내며 외국 사신을 맞이하는 중요한 건물이지만 상대적으로 문헌기록이 적어 건립 및 중수내력 등을 명확히 알 수 없었다. 

전주시 관계자는 "이번 발굴조사 결과를 바탕으로 문화재청과 협의해 향후 보존 및 정비복원계획을 마련할 계획"이라며 “전주시의 대표적인 관광지이자 시민들의 만남의 장소였던 풍패지관을 앞으로도 꾸준한 관리를 통해 미래의 후손들에게 귀중한 문화재로 남겨주기 위해 노력하겠다”고 밝혔다. /박경민 기자

저작권자 © 전북의소리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