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큐레이션] 2022년 5월 11일

‘일당 독식 구도’를 유지해 온 전북지역에서 더불어민주당이 지방선거 후보 공천을 마무리 짓자마자 지역언론들이 다양한 해석과 셈법을 내놓고 있지만 유권자들에게 오히려 혼란을 부추기는 모양새다. 

특히 10일 더불어민주당 전북도당 김성주 위원장의 공천 결과 및 과정과 관련한 기자회견 이후 전북지역 언론들이 엇갈린 분석들을 보도해 어리둥절하게 했다. 6·1 지방선거를 20여일 앞두고 전북지역 언론사별로 민주당 공천 결과를 어떻게 바라보며 해석했는지 살펴보았다.

“청년 후보 고작 11.8%’, 여성 후보 증가, 전과 경력자 감소” 

전북일보 5월 11일 기사(홈페이지 갈무리)
전북일보 5월 11일 기사(홈페이지 갈무리)

먼저 전북일보는 청년 후보에 초점을 두고 분석한 기사를 비중 있게 다뤘다. 신문은 ‘민주당 전북 후보 263명 확정...청년 후보 고작 11.8%’의 기사에서 “더불어민주당 전북도당이 제8회 지방선거에 출마할 후보자 263명을 확정했다”며 “그러나 전체 후보자 263명 중 만 45세 미만 청년은 31명으로 11.8%에 불과하다”고 지적했다.

이어 기사는 “비록 지난 2018년 제7회 지방선거에서 출마한 만 45세 미만 청년 후보자 25명보다는 24%가 증가한 수치지만 결과적으로 보면 매우 저조하다”며 “특히 민주당 당규에 따르면 광역의회 의원에 후보자를 추천할 때에는 청년 후보자를 20%, 기초의회 의원에는 30%를 추천해야 한다고 했지만 전북은 전체 후보자 중 광역의원 후보는 0.38%(1명), 기초의원 후보는 2.28%(6명)에 그쳤다”고 밝혔다.

이어 “민주당이 쇄신을 강조하며 광역·기초의원의 30% 이상을 청년으로 확대하겠다고 밝힌 것이 공염불에 불과하다는 지적이 나오는 대목”이라고 강조한 기사는 “만 40세 미만으로 연령을 낮추면 더불어민주당 전북지역 광역의원과 기초의원으로 출마하는 2030세대는 1.52%(4명)”라고 해석했다. 

또한 “여성 후보자의 경우 지난 제7회 지방선거 때보다는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며 “앞서 제7회 지방선거에서는 여성 후보가 65명에 불과했던 반면 이번 지선에서는 73명으로 약 13% 증가했다”고 분석했다.

이어 “전과 경력자 역시 직전 지방선거와 비교하면 매우 감소한 것으로 보였다”며 “2018년 지방선거 전라북도 후보자 전과 경력자 현황을 살펴보면 후보자 580명 중 전과 경력자가 240명으로 전과자 비율이 41.6%를 기록했다”는 기사는 “그러나 이번 더불어민주당 전북도당 후보자 전과 경력자는 263명 중 78명으로 29.6%에 불과했다”고 덧붙였다.

전북일보는 이처럼 민주당 전북도당의 지방선거 공천 결과를 놓고 청년 비율이 저조한 반면, 여성 비율은 지난 지방선거와 비교해 볼 때 높고, 전과 경력자는 지난 선거 때보다 매우 낮다는 점에 방점을 찍어 보도했다. 

“송하진 지사 컷오프로 정치권이 분열됐다?” 

전북도민일보 5월 11일 기사(홈페이지 갈무리)
전북도민일보 5월 11일 기사(홈페이지 갈무리)

전북도민일보는 민주당의 이번 공천 결과를 놓고 “‘3무(無) 행보’가 결국 민주당의 발등을 찍었다”고 다른 시각으로 분석했다. 신문은 ‘민주당 지선 ‘3무 행보’ 동부·서부권 ‘최대 격전지’ 초래‘란 제목의 기사에서 “전북의 14개 시·군중 기초단체장 관련 여론조사에서 1위·2위 후보가 탈당하지 않은 지역은 손에 꼽을 정도”라며 “정치권은 ’역대 지선에서 이번처럼 유력후보들이 민주당을 탈당한 적은 없었다‘고 말했다”고 운을 뗐다.

그러면서 민주당 관계자의 말을 인용한 기사는 “당의 무원칙한 복당이 결국 당 정체성 훼손으로 이어졌다”면서 “탈당과 복당이 민주당의 선거전략에 따라 수시로 바뀐다면 누가 당을 지키고 남아있겠냐고 반문했다”고 썼다. 이어 “민주당의 원칙 없는 공천도 유력 후보들에게 탈당 명분을 제공했다는 것이 정치권의 지적”이라고 밝힌 기사는 “민주당 중앙당은 당헌·당규는 물론이고 6·1 지방선거 시행세칙과 관계없이 송하진 전북지사를 공천에서 배제했다”고 지적했다. 

또한 기사는 “광역단체장 선출직 평가에서 하위 20%에 포함된 이용섭 광주시장은 후보 경선에 참여시킨 것과는 동떨어진 결정”이라며 “결국 이용섭 광주시장은 경선에서 현직임에도 강기정 후보에게 패했고 전북은 송하진 지사의 컷오프로 정치권이 분열됐다”고 결론을 내렸다. 

송 지사의 컷오프로 인한 분열 외에도 기사는 “지선 후보의 도덕성과 개혁성을 주장한 민주당 전북도당의 지역 공천결과도 전북 민심을 얻지 못했다”고 비판하면서 “중앙당 재심위원회에서 도당의 공천심사와 경선 결과가 뒤집어졌고 지선 후보에 대한 공천 잣대도 달랐다는 것이 정치권의 설명”이라고 강조했다.

기사는 이에 더해 “민주당의 무원칙의 행보는 이번 지선에서 전북 동부권, 서부권이 민주당 대 무소속 대결구도를 만든 결과를 낳고 말았다”면서 “동부권의 무주-장수-완주-남원-임실-순창, 서부권의 고창-정읍 등이 무소속 벨트 형성으로 지선 결과를 쉽게 예단할 수 없는 상황이 벌어진 것”이라고 에둘러 지적했다.

그러나 무원칙의 공천이 송하진 지사의 컷오프와 정치권 분열을 가져왔고, 무소속 바람을 불러 일으킨 것으로 분석한 기사에선 정치적 편향성이 다분히 묻어난다. 

새전북신문, “여성 비율 높아졌고 전과자 낮아졌다?” 전북일보와 다른 분석  

새전북신문 5월 11일 1면 기사
새전북신문 5월 11일 1면 기사

새전북신문은 민주당 공천 결과 중 전과자에 주목했다. 그런데 ’민주당 지선 공천자 30% '전과자'‘란 기사는 전북일보의 해석 방법과는 달랐다. “전체 후보자 263명 중 78명이 범죄 전력이 있다”고 쓴 기사는 “민주당이 공천한 전북지역 6월 지방선거 후보자 3명 중 1명가량은 범죄 전력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고 밝혔다. 

또한 “여성 후보자는 전체 약 28%(73명)를 차지해 2018년 제7회 지선 대비 그 비중은 3%p 높아졌다”면서 “청년 후보자(45세 미만) 비중 또한 2%p 늘어난 약 12%(31명)를 보였다”고 해석했다. 청년 비율이 저조한 반면, 여성 비율은 지난 지방선거와 비교해 볼 때 높고, 전과 경력자는 지난 지방선거 때보다 낮다고 분석한 전북일보와 시각이 달랐다. 

이러한 이유에 대해 신문은 기사에서 “이는 여성과 청년 등 정치신인을 적극 발굴할 것을 권고한 중앙당 방침에 따른 것으로 해석된다”며 “단, 청년 비중의 경우 당내 목표(20%)에 못 미친 것”으로 풀이했다. 그러면서 기사는 김성주 민주당 도당위원장 발언을 인용해 “2018년 지선 때 전북지역 후보자의 전과 경력자 비율이 41.6%를 보였던 것과 비교해봤을 때 이번 민주당 후보자들의 그 비율은 29.6%로 낮아졌다”고 에둘러 강조했다. 

“하지만 그가 제시한 2018년 전과자 비율(41.6%)은 민주당 후보자가 아닌 ‘전북지역 후보자’, 즉 모든 정당이 공천한 전북지역 후보자로 뭉뚱그려 제시한 탓에 실제 민주당측 공천자들의 전과자 증감 여부는 알 수 없었다”는 기사는 “더욱이 이번 지선 민주당측 전과자 비율(29.6%)은 ‘벌금 100만원 이상’ 선고자로 한정한 것으로 나타났다”고 덧붙였다. 

이처럼 전북일보와 새전북신문의 애매한 분석과 견해 차이는 전날 “정확한 통계자료를 구하지 못해서였다”고 밝힌 김성주 위원장의 발언 때문에 비롯된 해석 차이로 읽힌다.

“민주당, 전북 지선 후보 여성·청년 비율 확대?”

전민일보 5월 11일 2면 기사
전민일보 5월 11일 2면 기사

전민일보도 역시 전북일보와 달리 여성과 청년 비율이 확대됐다고 해석해 보도했다. 신문은 ‘민주당, 전북 지선 후보 여성·청년 비율 확대’란 제목의 기사 리드에서 “민주당 전북도당이 오는 6·1 전국동시지방선거 출마 후보들을 분석한 결과 지난 지방선거 때보다 여성 후보자는 늘고, 전과 경력자는 줄어든 것으로 파악했다”고 밝혔다. 

또한 기사는 “민주당 전북도당에 따르면 이번 공천의 핵심은 여성과 청년 참여 비율 확대였다”면서 “이번 공천에서 여성 후보자는 모두 73명으로 전체 후보 중 28%를 차지했다”고 썼다. 기사는 이어 “청년 후보자는 총 31명으로 전체의 12%를 차지했다”며 “지난 2018년 지선과 비교하면 여성 후보자 비율은 전체의 3%p, 청년 후보자 비율은 2%p씩 각각 증가한 셈”이라고 분석했다.

이 밖에 기사는 “부적격 후보자를 걸러내기 위한 작업을 통해 전과 경력자 후보 역시 지난 지선보다 절반 가까이 줄어들었다”며 “2018년 당시 도내 후보자 전과 경력자 비율은 41.6% 였지만 이번 6·1 지방선거에 출마하는 민주당 후보자들의 전과 경력자 비율은 29.6%로 낮아졌다”고 썼다. 

이처럼 신문들이 다른 해석을 내놓은 이유는 올해 민주당 전북도당의 전체 공천자에서 차지한 비율로 해석한 결과와 지난 지방선거와의 비율과 차이를 놓고 해석한 결과가 다르기 때문으로 파악됐다. 하지만 민주당 전북도당의 애매한 통계 인용과 언론사마다 다른 해석을 내놓은 것에 대해 유권자들과 독자들은 혼선을 피할 수 없게 됐다.

“수많은 탈당과 불만이 있었던 경선 과정은 처음”

KBS전주총국 5월 10일 뉴스 화면 캡처
KBS전주총국 5월 10일 뉴스 화면 캡처

이와 관련해 방송사들도 다소 다른 시각에서 바라보며 보도했다. KBS전주총국은 ‘민주당 지선 공천 마무리…‘혁신 공천’ 약속 얼마나 지켰나?‘란 제목의 기사에서 “민주당은 대선 패배 이후 이번 지방선거에서 혁신 공천을 약속했는데, 민주당 전북도당은 이 지침에 따라 광역의원의 20%, 기초의원의 30%를 청년, 여성 후보에게 우선 공천하기로 했다”고 전제하면서 “그러나 민주당 기초단체장 후보에 여성과 청년은 한 명도 없었고, 비례대표를 포함해 지방의원 선거 여성 후보는 전체 후보자의 28%를 차지했다”고 지적했다.

이어 기사는 “기초의회의 경우 여성 후보 비율이 상대적으로 조금 더 높았다”며 “청년 후보 비율은 광역의원 8%, 기초의원 13%로, 목표에 미치지 못했다”고 지적한 뒤 “하지만 2030세대만 놓고 보면, 지난 지방선거 보다 30% 이상 늘었다”고 분석했다.

그러면서 “음주운전, 직장 내 괴롭힘 등 공천 부적격 기준을 이전보다 확대·강화하면서 범죄 전력을 가진 후보 비율이 10%p 이상 줄었지만, 여전히 30%에 가까웠다”고 지적했다.

기사는 이 외에도 “수많은 탈당과 불만이 있었던 경선 과정은 처음”이라는 한 시민사회단체 관계자 말을 인용해 보도하면서 “엄정한 잣대가 일관되고 공정하게 적용됐는지 한번 돌아봐야 할 것 같다"고 꼬집었다

”광역·기초단체장 후보 통틀어 여성은 1명뿐, 2030 세대는 0명“

전주MBC 5월 11일 뉴스 화면 캡처
전주MBC 5월 11일 뉴스 화면 캡처

그러나 전주MBC는 ’각 당 공천 마무리...단체장 대진표 드러나‘란 제목의 기사에서 “현재 시점에서 전북지역 시·군 단체장 후보만 보면 정치개혁 지향점인 다당제와는 거리가 먼 실정”이라고 리드에서 지적했다. 

이어 기사는 “정당별로는 민주당이 15명으로, 역시 모든 단체장 선거구에 후보를 냈으나 국민의힘 후보는 5명, 정의당은 1명의 후보밖에 내지 못했다”고 비판했다. 또 기사는 “무소속이 28명으로 정당 소속 후보보다 훨씬 많지만, 사실 민주당 내부 경선을 전후로 탈당한 "무늬만 무소속"이 절반에 가깝다”고 분석했다.

기사는 또한 “광역과 기초단체장 후보를 통털어 여성은 조배숙 도지사 후보 1명 뿐이며, 2030 세대는 0명”이라고 지적하면서 “기초나 광역의회에는 여성이나 청년이 진출할 기회가 전에 비해 늘어난 게 사실이지만, 단체장은 벽이 여전하다”고 강조했다.

한편 전북CBS는 ‘민주당 공천 완료...여성 28%, 청년 12%, 전과 29.6%’란 제목의 기사에서 김성주 민주당 도당위원장이 발표한 내용을 정리해 보도한 반면 ”농촌지역에서 청년과 여성 지원자가 적어 당의 권고치에는 다소 미치지 못했다“고 지적했다. 

/박주현 기자

저작권자 © 전북의소리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