진단
선출직 공무원들의 재산 변동 사항이 공개돼 시선을 모으고 있다. 30일 정부 공직자윤리위원회가 공개한 2022년 정기 재산변동사항에 따르면 전북지역에선 송하진 지사의 재산이 지난해보다 2억 2,733만원이 증가한 27억 3,192만 원으로 나타났다.
송하진 지사, 서울 아파트 가격 2억 3천만원 올라
송 지사의 재산 증가 요인으로는 아파트값 상승으로 1년 만에 2억여원 넘게 증가했다. 전주시 한옥마을 내 관사에서 생활하는 송 지사는 서울 서초구 잠원동 아파트 가격이 2억 3,300만원 오른 것으로 나타났다. 조봉업 전북도 행정부지사는 6억 9,599만원을, 신원식 정무부지사는 5억 1,048만원을 신고했다.
김승환 전북교육감은 지난해보다 7,566만 원 늘어난 8억 6,855만 원을 신고했다. 송지용 전북도의회 의장은 지난해보다 8,755만원이 줄어든 4억 9,626만원을 신고했다.
최훈열 도의원 75억 6천여만원...가장 많지만 농지법 위반 ‘불명예’
그러나 전북도의원들 중에서 최훈열 의원은 지난해보다 2억 4,881만원이 늘어난 75억 6,309만원을 신고해 도의원 가운데 재산이 가장 많았다. 부안지역에 소유한 토지 가격 상승이 반영됐지만, 최 의원은 지난해 농지법 위반 혐의로 기소돼 벌금 7백만원을 선고받았다.
최 의원은 부안군 변산면 격포리의 농지 402㎡를 매입 후 농업경영계획서와 달리 실제로 농사를 짓지 않고 농지 취득 자격 증명을 발급받은 혐의로 기소됐었다.
기초단체장 중에는 이환주 남원시장이 17억 6,866만원으로 가장 많은 재산을 보유한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황인홍 무주군수는 5,777만원으로 가장 적은 재산을 신고했다.
김승수 전주시장은 4억 7,339만원, 강임준 군산시장 6,373만원, 정헌율 익산시장 3억 2,819만원, 유진섭 정읍시장 1억 2,318만 원, 박준배 김제시장 2억 776만원을 각각 신고했다.
군 단위 자치단체장들 중에는 박성일 완주군수가 13억 2,453만원, 전춘성 진안군수 7억 2,683만원, 장영수 장수군수 7억 9,482만원, 심민 임실군수 4억 3,142만원, 황숙주 순창군수 15억 1,717만원, 유기상 고창군수 4억 9,221만원, 권익현 부안군수 4억 3,217만원 등으로 집계됐다.
전북 국회의원 중 김수흥 의원 18억 8천만원 가장 많아...이상직 의원 171억원 줄어
전북지역 국회의원들 중 가장 많은 재산을 신고한 의원은 더불어민주당 김수흥 의원(익산갑)으로 18억 8,844만원을 신고해 지난해보다 1억 5595만원이 증가했다.
다음으로는 국민의힘 이용호 의원(남원·임실·순창) 15억 3,840만원(2억 8679만원 감소), 더불어민주당 안호영(완주·무주·진안·장수) 15억 2,072만원(1억 3512만원), 윤준병(정읍·고창) 14억 4,256만원(2억원), 김성주(전주병) 12억 545만원(535만원 감소), 김윤덕(전주갑) 10억 2,562만원(1억 2006만원), 한병도(익산을) 8억 7,520만원(1억 3,654만원), 이원택(김제·부안) 7억 8,243만원(970만원), 신영대(군산) 4억 3,710만원(6,208만원) 순으로 나타났다.
무소속 이상직 의원(전주을)은 경우 지난해 도내 의원 중 가장 많은 재산(177억 7,572만원)을 보유했으나 이스타항공 회생절차를 위해 장남과 장녀가 보유했던 이스타홀딩스 6,000주(168억 5,086만원)를 무상소각하면서 재산이 급감했다. 그 결과 이 의원이 신고한 재산은 6억 4,079만원으로 전년 대비 171억 1,650만원이 줄어들었다.
한편 국회공직자윤리위원회에 따르면 이번 재산공개 대상 국회의원 289명의 중 신고총액이 500억원 이상인 국회의원은 전봉민 의원, 박덕흠 의원, 윤상현 의원으로 나타났으며 이들을 제외한 286명의 신고재산액 평균은 23억 8,254만원으로 집계됐다.
정부 공직자윤리위원회는 재산공개 대상자 1,978명에 대한 정기 재산변동사항 신고내역을 31일 관보에 공개했다. 공개 대상은 행정부 소속의 정무직, 고위공무원단 가등급, 국립대학총장, 공직유관단체장, 광역·기초 지방자치단체장, 광역의회 의원, 시·도교육감 등이다.
/박주현 기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