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승종의 '역사칼럼'

스탈린은 강한 국가를 만든다면서 모든 권력을 자신의 수중에 넣었다. 1930년대 후반, 그는 잠재적으로 국가(실제로는 자신)에 위협을 가하는 모든 사람을 제거하기 시작했다. 1917년에 그와 함께 공산혁명 대열에 섰던 ‘볼셰비키’도 예외가 아니었다. 곧 많은 사람이 강제수용소에 수용되었다. 그들은 개인적 자유를 잃고 스탈린이 요구하는 대로 노동력을 제공하다가 탈진해서 쓰러졌다. 최소 700만 명에서 최대 1,500만 명이 노예처럼 수용소에 갇혔다.
소련 역사가인 로이 메드베데프는 스탈린의 범죄행위를 파헤쳐 후세에 이름을 남겼다. 그는 스탈린 시절에 권력에 의해 처형되었거나 굶어 죽은 사람 그리고 노동수용소에서 억울하게 죽은 이가 줄잡아 2,000만 명이었다고 추정했다. 그 밖에도 수천만 명이 감옥에 갇히거나 강제로 이주하는 운명에 놓였다.
(공산주의든 무엇이든 독재자들은 이념의 깃발 아래서 처참한 살육극을 연출하는가 봅니다. 20세기 후반 우리나라에서도 얼마나 많은 지식인과 노동자들이 정권 차원의 탄압을 받았던가요. 누가 대통령이 되느냐에 따라서 그런 비극은 언제든지 재현될 수 있습니다. 무서운 일이지요.)
1989년 동유럽의 공산 정권이 몰락하자 여러 작가와 연구자들이 스탈린 시대의 참상을 자세히 파헤쳤다. (자유란 이래서 좋은 것이지요. 숨기거나 봐주는 것이 없으니까요.) 그러나 오늘날에는 푸틴 대통령이 스탈린 시대의 영광을 동경하는 분위기를 연출하고 있어, 과거사의 어둠을 밝히려는 노력은 사라지고 말았다.
(푸틴은 소비에트의 영광을 재현한다는 미명 아래 모든 권력을 자신의 수중에 집어넣었습니다. 그를 반대하는 사람은 누구도 모스크바의 길거리를 자유롭게 활보하지 못합니다.)

푸틴은 지난날 소련에 속하였던 이웃 나라들과 전쟁을 일삼는다. 크림반도에서 침략 전쟁을 일으켰고, 시리아의 내전에도 깊숙이 개입하였다.
(2022년 2월에 푸틴이 일으킨 우크라이나 침공은 이미 예견된 일이었습니다. 러시아에 종속되기를 거부한 우크라이나 시민들은 오랫 동안 서구 여러 나라와 교류하면서 '유럽연합'과 '나토'에 가입하고자 노력하였습니다. 이와 같은 요구는, 독립국가로서 우크라이나 정부가 얼마든지 주장할 수 있는 것입니다.
그러나 푸틴은 우크라이나에 대한 처절한 응징을 결심했고, 마침내 실행에 옮겼습니다. 참으로 다행인 것은, 우크라이나 정부와 시민의 독립의지가 굳건하다는 사실입니다. 그들이 주권을 수호하기 위해 최선을 다하는 모습을 보고, 서방국가의 정치가들과 시민들이 감동을 느끼고 있습니다. 저도 한 사람의 세계 시민으로서 목숨을 바쳐서라도 우크라이나 시민들과 연대해서 러시아 군을 무찌르고 싶습니다.)
아울러 푸틴의 러시아는 서구에 대한 사이버 공격도 멈추지 않는다. 만일 이런 상태가 계속되면 미국이 이끄는 북대서양조약기구와의 군사적 충돌이 일어날 수도 있다. 당장에는 서구와의 갈등이 러시아 내부를 결속하고 푸틴의 정치적 지위를 강화하는 데 도움이 될 수 있다. 그러나 이런 세월이 오래 이어진다면 러시아의 장래는 더더욱 어두워질 것이다.
(푸틴의 우크라이나 침공으로 유럽에는 큰 변화의 바람이 불고 있어요. 심지어 독일처럼 군사력 증강에 무관심했던 나라조차 방위력 증강을 위해 특별 예산을 편성하기로 결정하였습니다. 뒤늦게나마 그들은 우크라이나 정부의 요청을 받아들여 대전차 미사일을 비롯해 여러 종류의 무기를 우크라이나에 보내기 시작했습니다.
전쟁 당사국에게는 무기를 제공하지 않는다는 그동안의 원칙을 포기하고, 독일까지도 팔을 걷고 나서 우크라이나의 독립을 지원합니다. 푸틴은 하루빨리 파렴치한 침략 전쟁을 중단하고, 국제사회에 사죄해야합니다. 그러나 지금까지 그가 보인 여러 가지 행태로 미루어 볼 때 개과천선은 기대하기 어렵지요.
이제 나토/북대서양조약기구는 무장을 서두를 것이고요, 러시아와 중국을 중심으로 한 하나의 블럭과 서방세계라는 또 다른 블럭 간에 군비경쟁이 가열되어 양측이 경제적으로도 전혀 다른 세계를 구축할 수도 있습니다. '신냉전'이 시작된다는 이야기인데요. 이런 일이 일어나지 않도록 우리는 무언가 새로운 출구전략을 마련해야할 것입니다.)
※출처: 백승종, <제국의 시대>(김영사, 2022)
/백승종 객원논설위원(역사학자, 전 서강대 사학과 교수)
